<‘명사 + of + 명사’에서 of의 다양한 해석방법>
1. '은/는/이/가 + -ㄴ‘로 해석한다
2. 동격(-라는, -인)으로 해석한다
<특정단어의 해석>
puzzle(자동사) : 머리를 쥐어 짜내다, 골똘히 생각하다
Thinkers of the eighteenth century puzzled over what contemporary aesthetics calls ‘the paradox of negative emotion in art’.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18세기의 사상가들은 현대 미학이 ‘예술에서 부정적인 감정의 역설’이라고 부르는 것을 두고 골똘히 생각했다.
Thinkers of the eighteenth century 19세기의 여러 사상가들은
puzzled 골똘히 생각했다(=머리를 쥐어짜내고 있었다)
puzzle은 자동사일 때는 ‘머리를 쥐어짜내다, 골똘히 생각하다’의 뜻이다
over what contemporary aesthetics calls 현대의 미학이 부르는 것 전반에 대해서
over은 ‘- 전반에 대해서’라는 의미이다
‘the paradox of negative emotion 부정적인 감정이 일으키는 역설이라고
이 문장에서의 of는 ‘-가 일으키는’의 뜻이다
(슬픔이라는 부정적 의미의 감정이 기쁨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모순을 의미한다)
in art’. 예술분야에서 일어나는
in은 ‘-분야에서’의 뜻에 앞의 명사를 수식하므로 ‘-ㄴ’를 붙여서 해석한다
L’Abbe Dubos noted that, 'at the theatre, man finds more pleasure weeping than he does laughing’, in that ‘the art of poetry and the art of painting are never more appreciated than when they succeed in stirring in us a sense of profound grief’.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l‘Abbé Dubos는 ‘시 예술과 회화 예술은 그것들이 우리 안에 깊은 슬픔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할 때보다 더 잘 감상되는 경우는 결코 없다’라는 점에서, ‘극장에서 사람들은 웃으면서보다 눈물을 흘리면서 더 많은 기쁨을 발견한다’라고 언급했다.
L’Abbe Dubos noted L’Abbe Dubos는 주목했다
note는 ‘언급하다’보다는 ‘-에 주목하다’로 해석한다 (골똘히 생각하는 단계이므로)
that, - -라는 사실에, -에
타동사 뒤의 that은 ‘-을/를, -라고’로 해석하지만 앞의 타동사가 ‘주목하다’의 뜻이므로 ‘-라는 사실에, -에’로 해석한다
'at the theatre, 극장에서
man finds 사람들은 발견한다는 것을
man은 ‘사람’으로 해석한다
more pleasure weeping 눈믈을 흘리면서 기쁨을 더 많이
완전한 문장 뒤의 ‘-ing'는 ’-하면서‘로 해석한다
‘더 많은 기쁨’도 좋지만 ‘기쁨을 더 많이’로 해석한다
than he does laughing’, 사람들이 웃으면서 기쁨을 발견하는 것보다
he는 man을 지칭한다
does는 앞 부분의 finds의 대동사이므로 finds로 해석한다 뒤에 생략된 pleasure을 넣어서 해석한다
in that - -라는 점에서
‘the art of poetry and the art of painting are never more appreciated 시예술과 회화예술을 (사람들은) 결코 더 많이 감상하지 않는다(라는 점에서)
수동태 문장으로 생략된 by man을 넣어서 해석한다
than - -보다
when they succeed in stirring 그것들이(시예술과 회화예술이) 불러 일으키는 데에 성공할 때보다
they는 앞의 ‘시예술과 회화예술’을 지칭한다
stir은 ‘휘젓다, 섞다’가 아닌 ‘불러 일으키다’의 뜻이다
‘in -ing'는 이 문장에서는 ’-할 때‘가 아닌 ’-하는데에‘로 해석한다
in us 우리들 마음 속에
‘우리들 속에’보다는 ‘우리들 마음 속에’로 해석한다
a sense of profound grief’. 깊은 슬픔이라는 감각을
of는 ‘-의’가 아닌 동격으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