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의 해석방법>
‘ , ’ : and, but, because로 대개 해석한다
관계대명사 : 주격(-은/는/이/가) 혹은 ‘목적격(-을/를)로 해석한다
'It seems an unaccountable pleasure, which the spectators of a well‑written tragedy receive from sorrow, terror, anxiety, and other passions that are in themselves disagreeable and uneasy.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그것은 설명할 수 없는 즐거움으로, 잘 쓰인 비극의 관객은 슬픔, 공포, 불안, 그리고 그 자체로는 불쾌하고 불편한 여타의 격정으로부터 그것을 받는다.
'It seems an unaccountable pleasure 이것은(이러한 즐거움은) 설명하기 어려운 즐거움인 것처럼 보인다
It은 앞 문장의 this pleasure를 지칭한다
, which 그리고 그런 즐거움을
‘ , ’는 and의 의미이다
which는 앞의 선행사 an unaccountable pleasure로 해석한다 뒤의 receive의 목적어이므로 ‘-을/를/을 붙여 해석한다
the spectators of a well‑written tragedy (작가가) 잘 쓴 비극의 관객들은
well-written tragedy는 동사의 능동의미로 바꾸어 해석한다
receive 받는다
from sorrow, terror, anxiety, 슬픔, 공포, 불안으로부터
and other passions 그리고 다른(=기타) 여러 감정들로부터
that are in themselves disagreeable and uneasy. 본질적으로는(=원래는) 불쾌하고 불편한
명사 뒤의 관계대명사 that은 ‘-ㄴ’로 해석한다
in themselves는 ‘그 자체로는’도 좋고 ‘원래는, 본래는’으로 해석해도 좋다
<주어 + be동사 + 과거분사>의 해석방법
생략된 ‘전치사구, 목적어’를 넣어서 해석한다
The more they are touched and affected, the more they are delighted with the spectacle‘.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그들이 더 많이 감동하고 영향을 받을수록, 그들은 그 광경에 더 많이 기뻐한다.’
The more they are touched and affected, 그들이(관객들이) 감동을 더 많이 받고 영향을 더 많이 받을수록(그런 잘 쓴 비극에)
단순히 ‘영향을 받을수록’보다는 ‘영향을 받는 대상을 넣어서 ’그런 잘 쓴 비극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을수록‘으로 해석한다
the more they are delighted 그들은(관객들은) 점점 더 기뻐한다
with the spectacle‘. 그 (비극에 나오는) 광경에
with는 ‘=와 관련된, 관련해서’의 뜻이지만 ‘느낌, 감정 형용사’ 뒤에 오면 ‘-에’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