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략된 what을 넣어서 해석하는 경우>
<특정단어의 해석방법>
secret(비밀의, 비밀스러운) : 신비한, 불가사의한
contradict(모순되다, 반박하다) : -에 맞지 않다고 반박하다
<‘타동사유래형용사 + 명사’의 해석방법>
타동사유래형용사 : 목적어를 넣어서 해석한다
<‘장소의미형용사 + 명사’의 해석방법
장소의미형용사 : ‘장소의미 + -ㄴ’로 해석한다
He wondered about the nature of this apparently ‘secret charm that draws us to artistic depictions of overwhelming events, while at the same time an internal tremor tells us that we are contradicting our own understanding of pleasure’.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그는 ‘어떤 내적인 전율이 우리가 즐거움에 관한 우리 자신의 이해를 부정하고 있다고 우리에게 말하고 있음과 동시에, 우리를 압도적인 사건들의 예술적 묘사로 끌어들이는’ 이 겉보기에는‘은밀한 매력’의 본질에 대해 궁금해했다.
He wondered 그는(앞문장의 L’Abbe Dubos는) 궁금했다
about the nature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about과 the nature 사이에 what을 넣어서 해석해야 우리말에 자연스러운 해석이 된다
about 뒷부분을 절로 풀어서 쓰면 what이 들어감을 알 수 있다
of this apparently ‘secret charm 겉으로 보기에 불가사의한(=신비한) 이런 매력의
apparently는 ‘겉으로 보기에(는)’의 뜻이다
secret은 ‘은밀한, 비밀스러운’보다는 ‘신비한, 불가사의한’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낫다
that draws us 우리를 끌고 가는
명사 뒤의 관계대명사 that은 ‘-ㄴ’로 해석한다
to artistic depictions 예술적으로 묘사한 것들로(즉 예술작품들로)
depictions는 ‘묘사들’이 아니라 ‘묘사한 것들’ 즉 ‘예술작품들’을 말한다
depictions를 동사의미로 풀어서 해석하므로 앞의 artistic은 ‘예술적인’이 아니라 ‘예술적으로’로 해석해야 한다
of overwhelming events, 우리의 감정들을 압도하는(=휩싸는) 사건들을
‘압도하는 사건들’이 아니라 overwhelm 압도하다의 목적어인 ‘우리들의 감정’을 넣어서 해석한다
while 한편으로(는)
at the same time 동시에
an internal tremor tells us 마음 속에 일어나는 떨리는 감정(=즐거움, 기쁨)은 우리에게 말해 주고 있다
‘internal tremor'를 ’내적 전율‘로 해석하면 무슨 의미인지 애매하다. internal은 ’마음 속에‘로 해석하고 tremor는 ’떨림‘인데 문맥상 ’떨리는 하는 것‘ 즉 ’기쁨, 즐거운 감정‘을 지칭한다
that - -라는 사실을
we are contradicting 우리가 맞지 않다고 반박하고 있다(라는 사실을)
contradict는 ‘부인하다’보다는 ‘-가 맞지 않다고 반박하다’가 더 어울린다
contradict는 뒤에 목적어가 없는 경우에는 ‘모순되다’로 해석한다
our own understanding 우리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것을
of pleasure’. 즐거움이 무엇인가에 대해 (즐거움은 좋은 감정에서 온다라고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맞지 않다고 반박하다의 의미이다)
‘무엇이라는 ’what‘을 넣어서 해석한다
of는 ‘-에 관해, -에 대해서'의 뜻이다
David Hume also underlines the strangeness of this pleasure that seems to contradict our human nature: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3번)
해설본 : David Hume은 또한 우리의 인간적인 본성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즐거움의 이상함을 강조한다.
David Hume also underlines David Hume도 또한 강조하고 있다
the strangeness of this pleasure 이런 즐거움은(=눈물을 흘리면서 오는 즐거움은) 이상하다는 것을
of는 ‘-은/는/이/가’의 뜻이다
that seems to contradict 맞지 않다고 반박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 문장에서 contradict는 ‘모순되다’의 의미가 아니다 contradict는 뒤에 목적어가 없는 경우에는 ‘모순되다’로 해석한다. ‘-에 맞지 않다고 반박하다’로 해석한다
our human nature: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과(=즐거움은 좋은 감정에서 나온다라는 본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