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5회 32번 빈칸유형] 영어독해 영어구문독해 수능영어해석법 영어모의고사풀이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5회 32번 빈칸유형] 영어독해 영어구문독해 수능영어해석법 영어모의고사풀이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1. 3.

<바로 뒷 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 조동사라서 어려운 유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532) 정답

 

Under good conditions, deliberation is likely to clarify the basis for disagreement.

 

해설본 : 좋은 상황에서 숙의는 의견 충돌의 근거를 명확하게 할 것 같다.

 

수정본 : 조건들이 좋은 상황 아래에서는 / 심사숙고하는 것이 명확하게 만들어 줄 가능성이 많다 / 근거가 무엇인지를 / 의견불일치에 대한

 

Under good conditions에서 conditions상황보다는 조건들로 해석한다.

deliberation숙고혹은 심사숙고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clarify : -를 명확하게 만들어 주다

the basis근거를보다는 what을 넣어서 근거가 무엇인지를로 해석한다. 절로 풀어서 보면 'clarify what the basis for disagreement is'이기 때문이다.

disagreement의견 충돌이 아니라 의견 불일치의 뜻이다.

 

Sometimes it will bring people into ________.

 

해설본 : 때때로 그것은 사람들을 서로 간의 의견 일치에 이르게 할 것이다.

 

수정본 : 때때로 / 그것은(심사숙고하는 것은) 사람들이 서로 의견일치를 보게 할 수도 있다.

 

will‘-할 것이다가 아니라 ‘-할 수도 있다라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bring people into accord with one another'사람들을 의견 일치 안으로 가져가다의 뜻이므로 우리말에 맞게 수정하면 사람들이 의견일치를 보게될 것이다로 해석된다.

 

Some people will have misunderstood the relevant facts.

 

해설본 : 어떤 사람들은 관련 사실을 오해해 왔을 것이다.

 

수정본 : 일부 사람들은 오해를 해왔을 것이다 / (의견 불일치의 근거와) 관련된 사실들을

 

the relevant facts‘the'가 붙어 있으므로 관련 사실들을보다는 의견불일치의 근거와 관련된 사실들을로 해석한다.

 

<빈칸 바로 뒷 문장인 이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이 문장의 will have misunderstood the relevant facts에서 will have misunderstoodsms '지금까지 오해해 왔을 것이다라는 뜻은 이제는 이해를 하게 되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accord와 동의어가 된다. Some people = with one another

 

Or they might not have seen the likely consequences of proposed policies.

 

해설본 : 또는 그들이 제안된 정책의 가능한 결과를 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수정본 : 혹은 / 그 사람들은 보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결과들을 / 제안된 정책들의

 

might have p,p, -‘-이었을 지도 모른다의 뜻이다.

likely가능한이 아니라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의 뜻이다.

 

Once it is shown that some policy will actually make things worse rather than better, those who initially supported it are likely to reconsider.

 

해설본 : 일단 어떤 정책이 상황을 더 좋게 만들기보다는 실제로는 더 나쁘게 만들 것이라는 점이 보이면, 처음에 그것을 지지했던 사람들이 재고할 가능성이 있다.

 

수정본 : 일단 (that-)가 보이면 / 어떤 정책이 실제로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게 되면 / 더 좋게 보다는 오히려 / 처음에 그 정책을 지지했던 사람들은 / (그 지지했던 것을) 재고를 할 가능성이 많다

 

‘Once + 주어+ 동사 -'일단 -하면의 뜻이다.

it is shown that -에서 it은 가주어이고 that-가 진주어인 구문이다.

itsome policy를 지칭하고 있다.

reconsider은 생략된 목적어인 그 정책을 지지한 것을을 넣어서 해석한다.

 

If a high minimum wage really would increase unemployment, people who thought that they favored a high minimum wage might consider other ways of helping low-income employees.

 

해설본 : 만약 높은 최저 임금이 정말로 실업을 증가시킨다면 자신이 높은 최저 임금을 선호한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저소득 근로자를 도울 다른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다.

 

수정본 : 만약 최저임금이 높은 것이 정말로 실업을 증가시킨다면 / (that-)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 자신들이 선호한다고 / 최저임금이 높은 것을 / 고려할 수도 있다 / 다른 방법들을 / 저소득 근로자들을 도와줄

 

a high minimum wage높은 최저임금보다는 최저임금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thought 뒤의 that‘-라고로 해석한다.

they favored에서 they는 주어인 people과 같으므로 자기들이로 해석한다.

might consider고려할 것이다가 아니라 고려할 수도 있다로 해석한다 may : -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people might even be convinced to reconsider what they thought were their priorities, or their judgments of value.

 

해설본 :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심지어 자신의 우선순위라 생각했던 것, 즉 자신의 가치 판단을 재고하도록 설득될 수도 있다.

 

수정본 : 어떤 경우에는 / (심사숙고가) 사람들을 심지어 설득할 수도 있었다 / 재고해 봐 라고 /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자신들에게 우선순위을 가진 것들이 무엇인지를 / 혹은 자신들이 내린 가치에 대한 판단들을 (재고해 봐 라고)

 

might be convinced to reconsider은 능동태로 바꾸어 재고해 봐 라고 설득할 수도 있었다로 해석한다. may - : -할 수도 있다

what were their priorities자신들에게 우선순위를 가진 것들이 무엇인지를로 해석한다

their judgments of value‘of''-에 대해의 뜻이다. ‘자신들이 가치에 대해 내린 판단들을 (재고해 봐 라고)’로 해석한다. their judgments자신들이 내린 판단들로 해석한다.

 

They might have believed, for example, that the overriding social goal is to promote economic prosperity, but after discussion, they might come to think that it makes sense to sacrifice overall prosperity for other social goals.

 

해설본 : 예를 들어, 그들은 최우선적인 사회적 목표가 경제적 번영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믿었을 수도 있지만, 토론 후에 그들은 다른 사회적 목표를 위해 전반적인 번영을 희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게 될 수도 있다.

 

수정본 : 그들은(=그 사람들은) 믿었을 지도 모른다 / 예를 들어 / -라고 / 사회의 최우선 목표는 촉진하는 것이다(라고) / 경제적 번영을 / 그러나 / 토론을 하고 난 뒤에는 / 그 사람들은 생각하게 될 수도 있다 / =라고 / 타당하다라고 / 전반적인 번영을 희생하는 것이 / 사회의 다른 목표들을 위해

 

might have p.p - : -이었을 지도 모른다

타동사 뒤의 that‘-라고로 해석한다

the overriding social goal최우선적인 사회 목표보다는 social을 먼저 해석해서 사회의 최우선 목표로 해석한다.

might come to think에서 come to become의 뜻이므로 생각하게 될 수도 있다보다는 생각하게 될 수도 있다로 해석한다

it makes sense to sacrifice -에서 it은 가주어 ‘that -’가 진주어인 구문이다.

 

Shifts of this sort happen all the time.

overriding: 최우선적인

 

해설본 : 이런 종류의 변화는 항상 일어난다.

 

수정본 : 이런 종류의 변화들은 일어 난다 / 항상

 

all the time : 항상

 

conflict with employers (고용주와의 갈등)

accord with one another (서로간의 의견 일치)

division in policy making (정책 입안에 있어서의 분열)

action for setting an agenda (의제 설정을 위한 조치)

agreement on economic strategy (경제 전략에 대한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