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문장에 대명사가 있는 유형>
바로 앞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4회 34번 빈칸유형) 정답 ③
For a linguist to hope that the public will give up the idea that ________ would be pointless — especially since all linguists agree with the public on this.
해설본 : 언어학자가 어떤 말하기 방식이 다른 방식보다 공적인 상황에 더 적합하다는 생각을 대중이 버리기를 바라는 것은 무의미할 터인데, 특히 모든 언어학자가 이 점에 대해서는 대중과 같은 의견이기 때문이다.
수정본 : 어떤 한 언어학자가 바라는 것은 / 대중이 포기하기를 / ---- 라는 생각을 / (현재상황에 비추어 보면) 무의미할 것이다 - 특히 / 모든 언어학자들이 동의를 하고(=뜻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 대중들과 / 이 생각에 관해
For a linguist에서 a linguist는 ‘언어학자가’로 해석하면 안되고 ‘어떤 한 언어학자가’로 해석한다. 뒤에 all linguist와 대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타동사 hope 뒤의 that은 ‘-을/를’로 해석한다.
the idea 뒤의 that은 동격접속사이므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
would be pointless는 (현재상황에 비추어 보면) 무의미할 것이다의 의미이다.
on this에서 on은 ‘-에 관하여’의 뜻이고 this는 빈칸 내용을 지칭하고 있다.
빈칸 내용은 모든 언어학자들과 대중이 동의하는 내용인데 어떤 한 언어학자가 포기하기를 바라는 내용이다.
Often we are asked, “If all these things considered bad grammar are really okay, then why don’t you use them in your writing and speeches?”
해설번 : 자주 우리는 “만약 나쁜 문법이라고 생각되는 이 모든 것들이 정말 괜찮다면, 그렇다면 왜 글을 쓰고 연설을 할 때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받는다.
수정본 : 자주 / 우리는 질문을 받는다 / “만약 이 모든 것들이(=글이나 말들이) /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간주되는 / 정말로 괜찮다면, 그러면 / 왜 당신은 그것들을(=그 글이나 말들을) 사용하지 않는가? / 당신이 글을 쓸 때 그리고 당신이 말을 할 때
these things는 ‘이 모든 것들’보다는 ‘이 모든 글이나 말들’로 해석한다.
considered는 과거분사로 ‘간주되는’으로 해석한다.
bad grammar는 ‘나쁜 문법’은 말이 어색하므로 (서술어 + 주어)로 풀어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해석한다.
them은 앞의 all these things considered bad grammar를 지칭한다.
in your writing and speeches 즉 ‘in + 소유격 + 동사유래명사’는 ‘-가 -할 때’로 해석한다.
However, none of us is pretending that a society of human beings could function in which all spoke or wrote however they wanted to and yet had equal chances at success in life.
해설본 : 하지만 우리 중 누구도 모두가 어떤 방식이라도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말하거나 글을 쓰면서 여전히 삶에서 똑같이 성공할 가능성을 가지는 인간 사회가 기능할 수도 있다고 거짓 주장을 하지는 않고 있다.
수정본 : 하지만 / 우리 중의 어느 누구도 거짓으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라고 / 인간 존재로 이루어진 사회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라고) / 모두가 말하고 글을 쓰는 (사회가) /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 그러나 가능성을 똑같이 가지는 / 인생에서 성공하는데 있어서
pretend that - : -라고 거짓 주장을 하다. that은 타동사 뒤이므로 ‘-라고’으로 해석한다
a society of human beings는 ‘인간사회’보다는 ‘인간이라는 존재로 이루어진 사회’로 해석한다. of는 ‘-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된’의 뜻이다.
could function은 ‘기능할 수 있다’보다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로 해석한다.
in which는 ‘-ㄴ’으로 해석한다. 앞의 a society of human beings를 수식하고 있다.
however they wanted to는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의 뜻이다.
The linguist’s point is that there are no scientific grounds for considering any way of speaking erroneous in some structural or logical sense.
해설본 : 언어학자의 취지는 어떠한 말하는 방식도 어떤 구조적 혹은 논리적 의미에서 틀린 것으로 여기는 것에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점이다.
수정본 : 그 언어학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 - 것이다 / 어떤 과학적 근거들도 없다는 것이다 / 간주하는 것에 대해서는 / 어떤 말하는 방식을 / 잘못된 방식이다라고 / 어떤 (글과 말의) 구조적인 의미에서 혹은 (글과 말의) 논리적인 의미에서
The linguist’s point에서 The linguist는 ‘언어학자’가 아니라 첫 문장에 나온 ‘그 언어학자’로 해석해야 한다.
point는 ‘취지’도 좋지만 ‘요점’이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is that -’은 ‘-것이다’로 해석한다.
erroneous는 뒤에 way를 첨가해서 ‘잘못된 방식’으로 해석한다.
in some structural or logical sense.에는 structural과 logical 앞에 ‘글과 말의’를 넣어서 해석한다. 말과 글의 구조와 논리이므로
To understand this is not to give up on learning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to context.
해설본 :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상황에 알맞게 의사소통을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다.
수정본 :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 포기하라는 것이 아니다 / 배우는 것에 관해 / 적절하게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 상황에 맞추어
this는 앞 문장의 내용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not to give up은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포기하라는 것’으로 해석한다. ro부정사의 to는 미래의 동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on learning에서 on은 ‘-에 관해’의 뜻이다.
즉 to give up on learning는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포기하라는 것’으로 해석한다.
communicate appropriately to context에서 to는 ‘-에 맞춰(서)’의 뜻이다.
마지막 문장에 대명사 this가 있어 바로 앞 문장인 이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communicate appropriately to context
= some ways of speaking are more appropriate for formal settings than others
communicate = speaking
appropriately = appropriate
context = formal settings
To understand this is, rather, to shed the contempt: the acrid disgust so many seem to harbor for people who use the forms we have been taught are “bad.”
✽contempt: 경멸 ✽✽acrid: 신랄한
해설본 : 오히려 이 점을 이해한다면 경멸을, 즉 우리가 ‘나쁜’ 것으로 배워 온 (언어) 형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그렇게 많은 이들이 품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신랄한 혐오를 떨쳐 버리게 된다.
수정본 :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 오히려 / (잘못된 방식으로 말하는 것을) 경멸하는 것을 떨쳐 내는 것이다 : / 즉 신랄하게 혐오하는 것을 (떨쳐 내는 것이다) / 아주 많은 사람들이 품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 사람들에게 / (언어) 형태를 사용하는 / 우리가 잘못된 것으로 배워 온
To understand this에서 this는 앞앞 문장의 내용을 지칭하고 있다(어떤 말하는 방식을 잘못된 방식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것)
shed the contempt는 contempt의 목적어인 ‘잘못된 방식으로 말하는 것’을 넣어서 해석한다. shed는 '떨쳐 내다‘의 뜻이다.
acrid disgust는 ‘신랄한 혐오’보다는 원래의 품사로 풀어서 ‘신랄하게 혐오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so many 뒤에 생략된 people를 넣어서 해석한다.
harbor(동사) : -를 품다
have been taught는 능동태로 바꾸면 ‘쭈욱 배워왔다’로 현재완료시제의 계속용법이다.
① the words we use influence or determine the way we think
② all languages contain similar grammar rules we’re born with
③ some ways of speaking are more appropriate for formal settings than others
④ language changes to suit the communication needs of the people using it
언어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요구에 맞게 변한다
⑤ part of what makes a language alive is using words from other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