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문장에 시간부사 then을 주는 유형>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부사가 있는 문장 바로 뒤가 정답이 된다.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4회 39번 문장끼워넣기 유형) 정답 ⑤
<Box문장>
Then as now, herd sizes were cut, eventually leading to higher meat prices and reduced meat consumption in wealthy societies.
해설본 : 지금처럼 그 당시에, 가축 무리의 크기가 줄어들었고, 결국에는 부유한 사회에서 육류 가격 상승과 육류 소비의 감소로 이어졌다.
수정본 : 지금처럼 그때에도 / (가축)무리의 크기들이 줄어들었다 / 그리고 그것은 결국 초래했다 / 육고기 가격들이 더 올라가는 것을 / 그리고 육고기 소비가 감소하는 것을 / 부유한 사회들에서
as now에서 as는 ‘-처럼, -같이’의 뜻이다.
herd는 ‘무리’보다는 문맥에 맞춰 ‘가축 무리’로 해석한다.
‘ , (eventually) leading to -'는 ’그리고 (결국에는) -를 초래했다‘로 해석한다.
higher meat prices는 '더 높은 육고기 가격‘이 아니라 ‘육고기 가격들이 더 올라간 것’으로 해석한다. 여러 가지 육고기들의 가격이 올라간 것을 말하므로 prices 복수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reduced meat consumption도 ‘감소된 육고기 소비’가 아니라 ‘육고기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한다.
Consumption adjustments are made when international food prices spike upward, but most are made in rich countries rather than poor countries because the rich are the heaviest users of international markets.
해설본 : 소비량 조정은 국제 식량 가격이 급등할 때 이루어지지만, 대부분은 가난한 나라보다 오히려 부유한 나라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부유한 나라들이 국제 시장을 가장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수정본 : 소비를 조정하는 여러 가지 행위들이 이루어 진다 / 국제 식품 가격들이 급등할 때에는 / 그러나 대부분의 소비 조정 행위들은 이루어 진다 / 부유한 나라들에서 / 가난한 나라들보다는 오히려 / 왜냐하면 부유한 나라들이 / 가장 심하게 사용하는 나라들이기 때문입니다 / 국제 시장들을
Consumption adjustments은 ‘소비량 조정’이 아니라 ‘소비를 조정하는 여러 가지 행위들’이란 뜻이다.
spike upward는 ‘급등하다’의 뜻이다.
most are made에서 most 뒤에 생략된 consumption adjustments를 넣어서 해석한다.
the rich are에서 the rich 뒤에 생략된 countries를 넣어서 해석한다
users of -는 ‘-를 사용하는 나라들’로 해석한다. 즉 of는 ‘-을/를’로 'users'는 ‘사용하는 나라들’로 해석한다.
( ① ) In international corn markets, for example, the biggest importer is Japan, and the biggest exporter is the United States, so when international corn prices go up these rich countries make the biggest adjustments.
해설본 : 예를 들어, 국제 옥수수 시장에서, 가장 큰 수입국은 일본이며 가장 큰 수출국은 미국이기 때문에, 국제 옥수수 가격이 오르면, 이 부유한 나라들이 가장 큰 조정을 한다.
수정본 : 국제 옥수수 시장에서는 / 예를 들어 / 가장 큰 수입국은 일본이다 / 그리고 / 가장 큰 수출국은 미국이다 / 그래서 / 국제 옥수수 가격들이 올라가면 / 이 부유한 나라들은 가장 크게 (옥수수 소비를) 조정들을 한다
importer와 exporter는 문맥에 따르면 ‘수입, 수출’이 아니라 ‘수입국, 수출국’이다
these rich countries는 일본과 미국을 가리킨다
make the biggest adjustments는 make adjustments를 ‘여러가지 조정을 한다’로 해석하고 adjust의 목적어인 ‘옥수수 소비를’를 넣어서 해석한다.
( ② ) Typically, the first adjustment will be to feed less corn to farm animals such as chickens, pigs, and cattle.
해설본 : 일반적으로, 첫 번째 조정은 닭, 돼지, 그리고 소와 같은 가축에게 옥수수를 덜 먹이는 것이다.
수정본 : 일반적으로 / 첫 번째로 하는 조정행위는 먹이를 주는 것이 될 것이다 / 옥수수를 더 적게 / 농장의 동물들에게 / 닭, 돼지 그리고 소와 같은
the first adjustment는 ‘첫 번째 조정’이 아니라 ‘첫 번째로 하는 조정행위는’으로 해석한다.
will be to feed less corn는 ‘옥수수를 덜 먹이는 것이다’가 아니라 ‘옥수수를 더 적게 먹이를 주는 것이 될 것이다’로 해석한다.
( ③ ) In wealthy countries, the fact that a great deal of grain is fed to animals actually provides a buffer against price fluctuations for food.
해설본 : 부유한 나라에서, 많은 양의 곡물을 동물에게 먹인다는 사실은 실질적으로 식량의 가격 변동에 대한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수정본 : 부유한 나라들에서 / 사실은 / -라는 / 많은 양의 곡물을 먹이로 준다는 (사실은) / 동물들에게 / 실제로 제공해 준다 / 하나의 완충장치를 / 가격 변동들에 맞서는(가격 변동들을 막아주는) / 식량에 대한
the fact 뒤의 that은 동격접속사이므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
a great deal of grain is fed는 능동태로 바꾸어 ‘많은 양의 곡물을 먹이를 준다’로 해석한다.
against price fluctuations에서 against는 ‘-에 대한’이 아니라 ‘-에 맞서는. 막아주는’으로 해석한다.
( ④ ) In 1974, when corn prices more than doubled, the United States reduced the feeding of grain to livestock by 25 percent, which freed up more grain for direct consumption as food.
해설본 : 1974년, 옥수수 가격이 두 배 넘게 올랐을 때, 미국은 가축에게 먹이는 곡물을 25% 줄였는데, 이것이 더 많은 곡물을 식량으로 직접 소비되도록 풀었다.
수정본 : 1974년에 / 즉 옥수수 가격들이 두 배 이상이 되었을 때 / 미국은 감소시켰다 / 곡물을 먹이로 주는 것을 / 가축에게 / 25퍼센트 쯤 / 그리고 그것은(줄인 것은) 완전히 풀어 주었습니다 / 곡물을 더 많이 / (곡물을) 직접 소비할 수 있도록 / 식량으로
Box 문장의 then이 이 문장의 ‘in 1974’를 지칭하는 표현이므로 보기 ⑤가 정답이 된다
more than doubled는 ‘두 배 넘게 오르다’도 좋은 해석이만 ‘두 배 이상이 되다’로 해석해도 좋다
the feeding of grain는 ‘먹이는 곡물을’이 아니라 ‘곡물을 먹이로 주는 것’으로 해석한다. 즉 feeding은 ‘먹이로 주는 것’으로 ‘of'는 '-을/를’로 해석한다.
by 25 percent는 ‘25%’가 아니라 ‘25퍼센트 쯤’의 뜻이다
, which freed up more grain에서 ' , '는 and로 해석하고 which는 ‘25퍼센트 쯤 줄인 것’으로 해석한다, freed up은 ‘-를 완전히 풀어 주다’의 뜻이다. up이 ‘완전히’의 뜻이다.
more grain는 ‘더 많은 곡물’이 아니라 ‘곡물을 더 많이’로 해석한다
for direct consumption에서 for는 뒤에 동사유래명사 consumption이 있으므로 ‘-할 수 있는, -하기 위해서’의 뜻이다. consume의 목적어인 ‘곡물을’를 넣어서 해석한다. 즉 전체 해석은 ‘곡물을 직접 소비할 수 있도록’이 된다.
( ⑤ ) With obesity a growing health concern today, higher meat prices may not be an entirely bad outcome.
✽buffer: 완충 장치
해설본 : 오늘날 비만이 커지는 건강 우려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 높은 육류 가격은 완전히 나쁜 결과는 아닐 지도 모른다.
수정본 : 비만이 이기 때문에 / 하나의 커지고 있는 건강에 대한 걱정거리 (이기 때문에) / 오늘날에는 / 육고기 가격들이 더 올라간 것은 아닐 수도 있다 / 완전히 나쁜 결과가
With obesity a growing health concern에서 with는 ‘-때문에’가 어울리는 해석이고 obesity 뒤에는 being이 생략되어 있다. health concern은 ‘건강 우려’보다는 ‘건강에 대한 걱정거리’로 해석한다.
higher meat prices는 ‘더 높은 육류 가격’보다는 ‘육고기 가격들이 더 오른 것’으로 해석한다. 육고기 한 가지 가격이 아니니라 여러 육고기 가격이 오른 것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 s를 붙이고 있다.
may not be -는 ‘아닐 지도 모른다’가 아니라 ‘-가 아닐 수도 있다’의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