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용이 ‘실험&연구 결과’인 유형>
Box문장에 ‘지시어 + 명사’를 주는 유형
Box문장 바로 뒤에 이어지는 문장에 also를 주는 유형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3년 7월 고3 영어모의고사 38번)
The result was that we don’t always buy what we like best, but when things have to happen quickly, we tend to go for the product that catches our eye the most.
결과는(그 실험결과는) 우리가 항상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것을 사지는 않지만, 일이 빨리 일어나야 할 때, 우리는 우리의 눈에 가장 띄는(우리의 눈을 가장 사로잡는)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었다.
go for - : -를 선택하다, -를 선호하다
The result는 ‘결과’가 아니라 ‘그 실험결과’로 해석하면 정답을 아는 데에 더 도움이 되는 해석이다
The result was that -로 result에 지시어 The가 붙어 있으므로 that이하의 결과내용(항상 가장 좋아하는 것을 사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눈을 가장 사로잡는 것을 선택한다)의 원인이 되는 문장이 바로 앞에 오는 문장이 된다 보기③문장의 끝부분까지가 실험내용이고 그 실험결과가 Box문장에 해당하므로 보기③뒤에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Often time, or lack of ti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of everyday products. Milica Milosavljevic and his coworkers conducted an experiment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salience and the decision to purchase.
종종 시간 또는 시간의 부족은 일상 제품 구매에(일상용품들을 구매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Milica Milosavljevic과 그의 동료들은 시각적 두드러짐과(시각적으로 눈에 두드러 지는 것과) 구매 결정 (구매를 하기로 결정을 하는 것)간의 관계를 보는 실험을 수행했다.
in the purchase of - : in은 when의 뜻이고 of는 ‘-을/를’ㅇ로 해석한다 ‘-를 구매할 때’
( ① ) They showed subjects 15 different food items on fMRI, such as those we find in a candy vending machine at the train station, that is, bars, chips, fruity items, etc.
그들은 피실험자들에게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으로 우리가 기차역의 사탕 과자 자판기에서 발견하는 것들, 즉, 막대 모양의 과자, 감자칩, 과일 맛이 나는 품목 등과 같은 15가지의 다른 음식 품목들을 보여주었다.
They가 앞문장의 Milica Milosavljevic and his coworker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ubjects : 실험 대상자들, 피실험자들
as those(=food items) we find : 우리가 발견하는 음식 품목들
( ② ) These were rated by the subjects on a scale of 1–15 according to “favorite snack” to “don’t like at all.”
이것들은 피실험자들에 의해 ‘가장 좋아하는 간식’에서 ‘전혀 좋아하지 않음(전혀 좋아하지 않는 간식)’에 따라 1~15의 척도로 등급이 매겨졌다.
These가 바로 앞문장의 15 different food item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cale : 등급
on a scale of 1-15 : 1에서 15까지로 나눈 등급을 토대로
( ③ ) They were then presented in varying brightness and time, with subjects always having to make a choice between two products.
그러고 나서 그것들은 밝기와 시간을 달리하여(다양한 밝기로 그리고 다양한 시간에) 제시되었으며, 피실험자들은 항상 두 제품 중 선택해야 했다.
They were then presented는 능동태로 바꾸어 '그리고나서 그들에게 제시했다‘로 해석한다
in varying brightness and time는 ‘밝기와 시간을 달리하여’로 해석하면 in의 의미가 애매하다. ‘다양한 밝기로 그리고 다양한시간에’로 해석한다
‘ , with -'는 ’and 동시에‘로 해석한다
They가 바로 앞문장의 the subject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 ④ ) If we are also distracted because we are talking to someone, on the phone, or our thoughts are elsewhere at the moment, our actual preference for a product falls further into the background and visual conspicuousness comes to the fore.
또한 우리가 누군가와(누군가에게) 이야기하고 있거나, 통화 중이거나, 그 순간에 우리의 생각이 다른 곳에 있어서 주의가 산만해질 때(산만해져 있을 때), 어떤 제품에 대한 우리의 실제 선호는(우리가 어떤 제품을 실제로 선호하는 마음은) 뒤쪽으로 더 떨어지고(더 뒤로(=베경으로) 물러나게 되고) 시각적으로 눈에 잘 띔이 두드러진다(시각적으로 눈에 잘 띄는 것이 전면으로 나오게 된다).
falls further into the background는 ‘뒤로(=배경으로) 물러나게 된다의 뜻이다
comes to the fore는 ‘앞으로(=전면으로) 나오다의 뜻이다
we are also distracted에 also가 있고 주어가 we이므로 바로 앞문장은 we가 주어이고 we가 처해있는 상태가 나오는 문장이다. 보기③문장에는 we가 없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이 될 수 없다. Box문장에 we가 있기에 Box문장과 이어짐을 알 수 있다
( ⑤ ) Col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색깔은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는 바로 앞문장의 내용을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 salience: 두드러짐 ** fMRI: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 conspicuousness: 눈에 잘 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