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문장에는 전체적의미의 내용만 주는 유형>
(A) : 역접 기능어(Yet) & 대명사(they)
(B) : 순접 기능어(Thus)
(C) : 대명사 This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3년 7월 고3 영어모의고사 37번)
In the course of acquiring a language, children are exposed to only a finite set of utterances. Yet they come to use and understand an infinite set of sentences.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유한한 일련의 발화에만(발언들에만) 노출된다. 하지만 그들은(아이들은) 무한한(무한한 일련의) 문장들을 사용하고 이해하게 된다.
be exposed to - : -에 노출되다, -을 접하다
come to 동사원형 : = become
(A) Yet, they all arrive at pretty much the same grammar. The input that children get is haphazard in the sense that caretakers do not talk to their children to illustrate a particular point of grammar. Yet, all children develop systematic knowledge of a language.
하지만 그들은 모두 거의 동일한 문법에 도달한다. 돌봐주는(아이를 돌봐주는) 사람들이 문법의 특정한 점을(요점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해 자신의 아이들에게 말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아이들이 받는 입력은(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는) 무작위적이다(무작위적으로 입력되는 언어이다). 하지만 모든 아이들은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발달시킨다.
pretty much는 ‘거의’라는 의미이다
haphazard : 되는 대로의, 마구잡이의
in the sense that - : -라는 점에서, -라는 의미에서
illustrate - : 에를 들어 -를 설명해주다
point : 요점
The input that children get은 ‘아이들이 받는 입력’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의
뜻이다. input은 ‘입력’이 아니라 ‘입력되는 언어’를 말한다
be haphazard는 ‘무작위적이다’보다는 ‘주어를 첨가해서 ’무작위적으로 입력되는 언어이다‘로
해석한다
caretakers는 ‘돌봐주는 사람들’의 대상인 ‘아이들을’을 넣어서 해석한다
They가 (C)의 children을 지칭하고 (C)의 마지막 문장의 내용에
‘no --- the same'과 반의어로 (A)의 첫 문장에는 same만 나와있
으므로 (C)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B) Thus, despite the severe limitations and variation in the input children receive, and also in their personal circumstances, they all develop a rich and uniform system of linguistic knowledge. The knowledge attained goes beyond the input in various ways.
따라서, 아이들이 받는 입력에서의(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에서), 그리고 또한 그들의 개인적인(아이들이 개인적으로 처한) 상황에서의 극심한 한계들과 극심한 변동에도(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아이들) 모두는 언어 지식의(언어 지식에 관한) 풍부하고 동일한 체계를 발달시킨다. 습득된 지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그 입력을(그 입력된 언어를) 넘어선다.
despite - : -임에도 불구하고
severe : 극심한, 혹독한, 엄한
variation in the input children receive 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에서 나는 차이
their personal circumstances는 ‘그들의 개인적인 상황’도 좋은 해석이자만 ‘개인적으로 처
한 상황’으로 해석한다
goes beyond the input는 ‘그 입력을 넘어 선다’는 단어 그대로 해석한 것이다. 그 입력된
언어를 넘어서게 된다‘로 해석한다
Thus는 앞문장의 결과를 나타내는 순접 기능어이다. (A)의 마지
막 부분에 all children develop systematic knowledge of a
language의 결과로 (B)의 첫 문장에 they all develop a rich and
uniform system of linguistic knowledge가 있으므로 (A)와 이어
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C) This has been referred to as the creative aspect of language use. This ‘creativity’ does not refer to the ability to write poetry or novels but rather the ability to produce and understand an unlimited set of new sentences never spoken or heard previously. The precise linguistic input children receive differs from child to child; no two children are exposed to exactly the same set of utterances. [3점]
이것은 언어 사용의 창조적인 측면이라고 일컬어져 왔다. 이 ‘창조성’은 시나 소설을 쓸 수 있는 능력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이전에 결코 말하거나 듣지 못한(이전에 다른 사람이 말했거나 들어본 적이 없는) 새로운 문장을 무한히(무한한 일련의 새로운 문장들을) 만들어내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일컫는다) 아이들이 받는 정확한 언어적 입력은(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는 정확하게 말하면) 아이들마다 다르며, 두 아이가(어떤 두 아이도) 정확히 똑같은 발화에(발언에) 노출되지는 않는다.
has been referred to as - : -이라고 일걸어져 왔다
never spoken or heard는 생략된 주어인 ‘다른 사람들이’를 넣고 능동태로 바꾸어 해석한다
The precise linguistic input children receive differs는 ‘정확한 언어적 입력’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단어의 뜻 그대로 옮긴 해석이다. precise는 ‘정확한’이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면’ 즉 부사로 해석한다. ‘아이들이 받는 언어적 입력’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입력되는 언어’로 해석한다
This가 Box의 마지막 문장 내용을 받는 대명사이므로 Box 문장과 아어짐을 알 수 있다
* haphazard: 무작위적인, 되는 대로의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