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문장에 전체적, 추상적 의미의 어구를 주고 (B)의 첫 문장에 구체적인 의미의 어구를 주는 유형>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3년 7월 고3 영어모의고사 36번)
The desire to see and interact with animals, shaped as it is by popular culture, can be a motivating factor for travel, but negative perceptions of certain animals can perform an entirely opposite role in discouraging people from visiting some destinations.
대중문화에 의해 지금과 같이 형성된, 동물들을 보고 동물과 상호작용해보려는 욕구는 여행의 동기부여 요인이 될 수 있지만, 특정 동물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사람들이 특정동물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은) 사람들이 어떤 목적지들을 방문하는 것을 만류하는 완전히 정반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 For example, there are a variety of tshirt and tea towel designs which celebrate the dangerous animals that can be encountered in Australia. This is a whimsical reconfiguration of the perceived threat that these animals pose to some tourists considering travel to this country.
예를 들어, 호주에서 마주칠 수 있는 위험한 동물들을 기념하는 다양한 티셔츠와 행주 디자인들이 있다. 이것은 이 나라로의 여행을(이 나라로 여행가는 것을) 고려하는 일부 관광객들에게 이런 동물들이 제기하는 인식된 위협의 기발한 재구성이다(관광객들이 인식하고 있는 두려움을 기발하게 재구성한 것이다).
For example 뒷 부분의 t-shirt and tea-towel 은 (C)의 마지막 부분에 나온 marketing opportunity(상품을 마케팅할 수 있는 기회)의 상품들의 구체적인 상품으로 나온 것이므로 (C)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B) The harmful effects of animals on tourism experiences has been the subject of analysis in a small number of studies, but deaths or injuries caused by animals to tourists are tiny in comparison to other causes such as drowning and vehicular accidents.
소수 연구에서 분석 주제가 동물이 관광 체험에 끼치는 해로운 영향이 되어 왔는데, 동물에 의해 관광객들에게 초래된 사망이나 부상은 익사(익사사고)와 교통사고(차량사고)와 같은 다른 원인에 비해(다른 원인과 비교해 보면) 미미하다.
Box 문장에 나온 표현 negative perceptions of certain animals(전체적, 추상적 표현)의 구체적 부분적 표현이 (B)에 나온 The harmful effects of animals on tourism experiences이므로 Box문장과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C)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that they might encounter a dangerous animal such as shark or snake or catch a disease such as malaria is sufficient to stop at least some tourists from visiting destinations where such threats exist. Sometimes this fear is turned into a marketing opportunity. * whimsical: 기발한 ** reconfiguration: 재구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상어나 뱀과 같은 위험한 동물과 마주칠지 모르거나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에 걸릴지도 모르는 가능성은 적어도 일부 관광객들이 그러한 위협이 존재하는 목적지들을 방문하는 것을 단념시키기에 충분하다. 때때로 이런 두려움은 마케팅 기회로(상품들을 마케팅할 수 있는 기회로) 전환된다.
Nevertheless는 역접기능어인데 (B)의 마지막 부분의 내용(익사사고나 차량사고보다 미미하다)과 Nevertheless 뒷 부분이 역접관계의 내용이므로 (B)와 이어지는 문장이다 또한 they도 (B)의 tourists를 지칭하고 있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