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친 부분에 ‘지시어 + 명사’를 주는 유형>
바로 앞 문장에서 정답인 보기와 동의어를 찾아 보는데 바로 앞 문장에도 this라는 대명사가 있으므로 한 문장 더 앞 문장에서 정답인 보기와 동의어 관계를 찾아 본다.
밑줄 친 challenge this sacred cow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022년 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21번) 정답 ③
Our language helps to reveal our deeper assumptions.
해설본 : 우리의 언어는 우리의 더 깊은 전제를 드러내는 것을 돕는다.
수정본 :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 드러내는 것을 도와 준다 / 우리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하는 생각들을
Our language는 ‘우리의 언어’로 해석하면 의미가 명확하지 않게 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으로 해석한다
reveal : -을 드러내다
our deeper assumptions는 ‘우리의 더 깊은 전제’로 해석하면 ‘전제가 더 깊다’라는 알쏭달쏭한 말이 된다. deeper는 ‘우리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라는 의미이다.
assumptions는 ‘전제들’도 좋은 해석이지만 원래 의미인 ‘가정들=생각들’로 해석해도 좋다.
Think of these revealing phrases: When we accomplish something important, we say it took "blood, sweat, and tears."
해설본 : 이것을 잘 드러내는 다음과 같은 문구들을 생각해 보라. 우리가 중요한 무언가를 성취할 때, 우리는 그것이 ‘피, 땀, 그리고 눈물’을 필요로 했다고 말한다.
수정본 : 생각해 보라 / 우리가 이러한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하는 생각들을 드러내는 다음과 같은 문구들을 / 우리가 달성할 때 / 중요한 어떤 것을 / 우리는 말한다 / 그것을 달성하는 데에는 필요했다 라고 / 피, 땀, 그리고 눈물들이
these revealing phrases:에서 ‘ ; ’은 ‘다음과 같은’의 뜻이다. reveal 의 목적어인 ‘우리가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하는 생각들’를 넣어 해석한다
‘A take B'는 ’A에는 필요하다 B가‘로 해석한다.
We say important achievements are "hard-earned."
해설본 : 우리는 중요한 성과는 ‘힘들게 얻은’ 것이라고 말한다.
수정본 : 우리는 말한다 / 달성한 중요한 것들은 ‘힘들게 얻은 것’들 이라고
We say 뒤에 생략된 접속사 that을 넣어서 해석한다. that은 ‘-라고’로 해석한다.
important achievements는 어순대로 ‘중요한 성과들’보다는 복수 s를 ‘-것들’로 풀어서 ‘달성한 중요한 것들’로 해석한다
We recommend a "hard day's work" when "day's work" would be enough.
해설본 : 우리는 ‘하루 동안의 일’이라는 말로도 충분할 때 ‘힘든 하루 동안의 일’이라는 말을 권한다.
수정본 : 우리는 추천한다 / ‘하루 동안 힘들게 해야 하는 일’이라는 말을 / ‘하루 동안 하면 되는 일’이라는 말로도 충분할 때에
a "hard day's work"은 ‘힘든 하루 동안의 일’로 해석하면 우리말에 맞지 않아 이해하기 힘들다. day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로 즉 ‘하루 동안’으로 해석하고 hard를 work과 연결해서 해석하면 ‘하루 동안 힘들게 해야 하는 일’로 해석한다.
"day's work"도 ‘하루 동안의 일’보다는 ‘하루 동안 하면 되는 일’로 해석한다.
would be -는 ‘가능성, 가정’을 나타낸다.
When we talk of "easy money," we are implying it was obtained through illegal or questionable means.
해설본 : 우리가 ‘쉬운 돈’이라는 말을 할 때, 우리는 그것이 불법적이거나 의심스러운 수단을 통해 얻어졌다는 것을 넌지시 드러내고 있다.
수정본 : 우리가 말을 할 때는 / ‘쉽게 번 돈’에 대해 / 우리는 넌지시 드러내고 있다 / 그 쉽게 번 돈을 벌었다 라는 점을 / 불법적인 수단을 통해서 혹은 의심스러운 수단을 통해서
talk 뒤의 of는 ‘-에 대해서, 관해서’의 뜻이다.
easy money는 ‘쉬운 돈’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쉽게 번 돈’으로 해석한다.
implying 뒤에 생략된 접속사 that을 넣어서 해석한다
it은 앞의 easy money를 가리키고 있다.
We use the phrase "That's easy for you to say" as a criticism, usually when we are seeking to invalidate someone's opinion.
해설본 : 우리는 보통 누군가의 의견이 틀렸음을 입증하려고 할 때, 우리는 ‘말은 쉽지’라는 문구를 비판으로 사용한다.
수정본 : 우리는 사용한다 / 문구를 / ‘말하는 것은 쉽지’ 라는 문구를 / 비판하는 말로 / 보통 우리가 애를 쓸 때는 / 어떤 이의 의견이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as a criticism에서 a criticism은 a가 붙어 있으므로 ‘비판’이 아니라 ‘비판하는 말’로 해석해야 한다.
seek to 동사원형 : 노략하다, 애를 쓰다
invalidate - : -가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다
It's like we all automatically accept that the "right" way is, inevitably, the harder one.
해설본 : 이는 마치 우리 모두가 ‘올바른’ 방법은 반드시 더 어려운 방법이라는 것을 자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같다.
수정본 : 이것은 -와 같다 / 우리 모두가 자동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과 / -라는 말을 / ‘올바른 방법은 반드시 더 힘이 드는 방법이다’라는 말을
타동사 accept 뒤의 that은 ‘-을/를’의 뜻인데 문맥상 ‘말’을 넣어 ‘-라는 말을’로 해석한다.
the harder one에서 harder는 ‘더 힘이 드는 ’으로 해석하고 one은 way를 지칭하므로 ‘방법’으로 해석한다.
In my experience this is hardly ever questioned.
해설본 : 나의 경험상 이것은 거의 한 번도 의문이 제기되지 않는다.
수정본 : 내 경험상 / 이 말은 거의 지금까지(=여태껏) 틀린 말이라고 의심을 받지 않았다
this는 앞 문장의 the "right" way is, inevitably, the harder one를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ever는 ‘여태껏, 지금까지’의 뜻이다.
is questioned는 ‘의문이 제기되다’보다는 ‘의심을 받다’로 해석한다.
What would happen if you do challenge this sacred cow?
해설본 :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이 신성한 소에 맞선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정본 : 무슨 일이 일어날까? /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이의를 제기한다면 / 이 신성한 소와 같은 말에
do challenge에서 do는 강조 조동사이므로‘정말(로)’를 넣어서 해석해야 한다.
challenge는 ‘맞서다’보다는 ‘-에 이의를 제기하다’로 해석한다.
this sacred cow는 앞에 나온 말에 대한 비유적인 표현이므로 ‘이 신성한 소’보다는 ‘이 신성한 소와 같은 말’로 해석한다.
<밑줄 친 부분에 ‘지시어 + 명사’를 주는 유형>
바로 앞 문장에서 정답인 보기와 동의어를 찾아 보는데 바로 앞 문장에도 this라는 대명사가 있으므로 한 문장 더 앞 문장에서 정답인 보기와 동의어 관계를 찾아 본다.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
challenge(-에 이의를 제기하다) = doubt
right(올바른) = worthy
the harder one(=way) = hard work
inevitably(반드시) = only
We don't even pause to consider that something important and valuable could be made easy.
해설본 : 우리는 중요하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쉬운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잠시 멈춰 생각해 보지도 않는다.
수정본 : 우리는 심지어 잠시 멈추고서 고려하는 것조차도 하지 않는다 / -라는 사실을 / 중요하고 가치있는 것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다라는 사실을
‘pause to 동사원형’은 ‘잠시 멈추고 -하다’의 뜻이다
타동사 consider 뒤의 that은 ‘-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A could be made easy는 능동 형태로 즉 could make A easy로 해석한다.
What if the biggest thing keeping us from doing what matters is the false assumption that it has to take huge effort?
*invalidate 틀렸음을 입증하다
해설본 : 만약 우리가 중요한 일을 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것이 중요한 일은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잘못된 전제라면 어떨까
수정본 :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 / 가장 큰 것이 / 우리가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을 막는 것 중에서 / 잘못된 가정이라면(=생각이라면) / 그 중요한 일에는 필요해야 한다 라는(=꼭 있어야 한다 라는) / 엄청난 노력이
what if -? 는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라는 뜻이다.
thing과 keeping사이에 생략된 that을 넣어서 해석한다. 이 때의 관계대명사 that은 최상급 뒤이므로 ‘-중에서’로 해석한다.
keep A from -ing에서 keep은 ‘막다, 못하게 하다’의 뜻이다.
assumption은 ‘전제’로 해석하면 좋은 해석이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인 ‘가정’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assumption that -에서 that은 동격 접속사이므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
it은 앞 부분에 나온 what (matters)를 지칭하고 있다
take는 need의 뜻이다.
① resist the tendency to avoid any hardship
② escape from the pressure of using formal language
③ doubt the solid belief that only hard work is worthy
④ abandon the old notion that money always comes first
⑤ break the superstition that holy animals bring good l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