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문장이 이중구조(역접관계)의 내용인 유형>
보기① : Accordingly 순접 기능어를 주는 유형
보기② : and 순접 기능어를 주는 유형
보기③ : 첫 문장의 이중구조 역접관계 혹은 바로 뒷 문장과의
순접관계를 봐야 하는 유형
보기④ : Therefore 순접 기능어를 주는 유형
보기⑤ : in turn 순접 기능어를 주는 유형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2022년 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어휘 유형) 정답 ④
Plant growth is controlled by a group of hormones called auxins found at the tips of stems and roots of plants.
해설본 : 식물의 성장은 식물의 줄기와 뿌리의 끝에서 발견되는 옥신이라고 불리는 호르몬 그룹에 의해 조절된다.
수정본 : 식물의 성장은 조절된다 / 일단의 호르몬들에 의해 / auxin이라고 불리는 / 끝에서 발견되는 / 식물들의 줄기들과 뿌리들의 끝에서
Auxins produced at the tips of stems tend to accumulate on the side of the stem that is in the shade.
해설본 : 줄기의 끝에서 생산된 옥신은 그늘진 곳에 있는 줄기의 옆면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수정본 : auxin은 / 생산되는 / 줄기들의 끝에서 /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 줄기의 옆면에 / 그늘 속에 있는
accumulate은 이 문장에서는 자동사의미 ‘축적되다’로 쓰였다.
명사 the stem 뒤의 that은 ‘-ㄴ’로 해석한다.
Accordingly, the auxins ① stimulate growth on the shaded side of the plant.
해설본 : 따라서, 옥신은 식물의 그늘진 면에서의 성장을 자극한다.
수정본 : 따라서 / 그 줄기에서 생산된 auxin들은 성장이 일어나도록 자극을 준다 / 그늘진 옆면에서 / 그 식물의
the auxins는 ‘옥신은’으로 해석하면 안된다 . 지시어 the가 붙어 있으므로 ‘그 auxin들 즉 줄기의 끝에서 생산되는 auxin들은’으로 해석해야 한다.
stimulate growth는 ‘성장을 자극한다’도 좋은 해석이고 ‘성장이 일어나도록 자극을 준다’도 괜찮은 해석이다.
Accordingly가 ‘따라서’의 뜻으로 ‘원인&결과 관계’ 즉 순접 관계을 나타내므로 이 문장은 앞 문장(줄기의 옆면에 축적된다)과 순접의미가 되어야 하는데 stimulate growth는 앞 문장의 내용과 순접관계를 만들어 주기에 stimulate은 어울리는 단어이다.
Therefore, the shaded side grows faster than the side facing the sunlight.
해설본 : 그러므로 그늘진 면은 햇빛을 마주하는 면보다 더 빨리 자란다.
수정본 : 그러므로 / 그 그늘진 옆면은 / 더 빨리 자란다 / 햇빛을 마주하고 있는 옆면보다
the shaded side는 지시어 the가 붙어 있으므로 그냥 ‘그늘진 면’이 아니라 ‘그 그늘진 면’으로 해석한다.
This phenomenon causes the stem to bend and appear to be growing ② towards the light.
해설본 : 이 현상은 줄기가 휘어지게 하고 빛을 향하여 성장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수정본 : 이런 현상는 만든다 / 그 줄기가 / 구부러지고 그리고 자라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 햇빛을 향해서
‘cause A to 동사원형’은 ‘A가 -하도록 만들다’로 해석한다.
and와 appear 사이에 생략된 to를 넣어서 해석하다.
towards - : -를 향해서
순접 관계를 나타내는 and가 있다. 따라서 and 앞 내용인 ‘구부려지게 만들다’와 and 뒤 내용인 ‘햇빛을 향해 자라다’는 순접 관계가 되므로 towards는 문맥에 맞는 단어이다.
Auxins have the ③ opposite effect on the roots of plants.
해설본 : 옥신은 식물의 뿌리에서는 반대의 효과를 가진다.
수정본 : auxin은 정반대의 영향을 끼친다 / 식물들의 뿌리들에는
have effect on - : -에 영향을 끼치다
첫 문장이 이중구조 역접관계(줄기의 끝에서 발견되는 auxin과 뿌리의 끝에서 발견되는 auxin)이므로 opposite(정반대의)은 문맥에 어울리는 단어이다. 빠로 뒷 문장의 lomit growth를 봐도 opposite이 문맥에 맞는 단어임을 알 수 있다.
Auxins in the tips of roots tend to limit growth.
해설본 : 뿌리 끝에 있는 옥신은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수정본 : auxin은 / 뿌리들의 끝에 있는 /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 성장을
If a root is horizontal in the soil, the auxins will accumulate on the lower side and interfere with its development.
해설본 : 만약 하나의 뿌리가 토양 속에서 수평이라면, 옥신은 아래쪽에 축적되어 그것의 발달을 방해할 것이다.
수정본 : 만약 하나의 뿌리가 수평으로 놓여 있다면 / 토양 속에서 / 그 뿌리에 있는 auxin은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 낮은 쪽에 / 그리고 방해를 하는 경향이 있다 / 그 뿌리의 발달을
is horizontal in -는 ‘수평이다’가 아니라 ‘-에 수평으로 놓여 있다’의 뜻이다.
the auxins는 일반 ‘옥신은’이 아니라 ‘그 뿌리에 있는 auxin은’으로 해석해야 한다.
will accumulate에서 will은 ‘-할 것이다’가 아니라 ‘-하는 경향이 있다, -하기 마련이다’로 해석한다.
and와 interfere 사이에 생략된 the auxins를 넣어서 해석한다.
interfere with its development에서 it은 root를 가리키고 있다.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root will grow ④ faster than the upper side.
해설본 : 그러므로 뿌리의 아래쪽은 위쪽보다 더 빠르게(→ 더 느리게) 자라게 된다.
수정본 : 따라서 / 뿌리의 낮은 면(=쪽)은 자라기 마련이다 / 더 빠르게 / 윗 쪽 면(=쪽)보다
will grow에서 will은 ‘-하기 마련이다, -하는 경향이 있다’로 해석한다.
Therefore가 원인&결과 즉 순접 과녜를 나나태는 단어이다. 따라서 바로 앞 문장의 내용인 interfere with its development(부정적인 내용)과 grow faster(긍정적인 내용)는 긍정과 부정으로 어울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is will, in turn, cause the root to bend ⑤ downwards, with the tip of the root growing in that direction.
해설본 : 이것은 결과적으로 뿌리가 아래로 휘어지게 하고 뿌리의 끝부분은 그 방향으로 자란다.
수정본 : 이것이 / 결국 / 뿌리가 구부러지도록 만든다 아래 쪽으로 / 그리고 동시에 뿌리의 끝은 자라게 된다 / 그 방향으로
This는 바로 앞 문장의 내용 전체(뿌리의 아래 쪽이 위쪽보다 더 빨리 자라는 경향이 있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in turn : 결국(에는)
‘cause A to 동사원형’은 ‘A가 -하도록 만들다’로 해석한다.
‘ , with -'는 ’그리고 동시에‘로 해석한다. 동시상화을 나타내는 with와는 다르다.
in turn(결국에는)은 원인&결과 순접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바로 앞 문장의 내용인 ‘더 느리게 자란다’와 ‘아래 쪽으로 구부러 진다’는 순접 내용이 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