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문장이 주제문인 유형(when=if가 있어서)>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3년 3월 고2 영어모의고사 30번 글의 제목 유형) 정답 ④
Winning turns on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
해설본 : 승리는 다른 사람이 바라보고 있다는 자의식적 인식을 촉발한다.
수정본 : 승리를 하는 것은 달려 있다 / 자기 스스로 / / 다른 사람들이 지켜 보고 있다 라는 것을 자기 스스로 의식하는 인식(=자의식이)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
Winning'은 동명사이므로 ‘승리’보다는 ‘승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turn on -는 turn이 ‘달려 있다’의 뜻이고 on은 ‘-에’로 해석한다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는 awareness를 타동사 aware(-를 인식하다)로 해석하면 뒤의 that 절은 ’-을/를‘로 해석한다. 그리고 whether 즉 ’-하느냐 못하느냐‘를 첨가해서 ’-를 인식하느냐 못하느냐에 달려 있다‘로 해석한다. self-conscious는 ’자기 스스로 의식하는‘으로 해석한다.
It’s a lot easier to move under the radar when no one knows you and no one is paying attention.
해설본 : 아무도 여러분을 모르고 (여러분에게) 집중하고 있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게 움직이기가 훨씬 더 쉽다.
수정본 : 훨씬 더 쉬운 일이다 / 레이더 아래에서 움직이는 것은(=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고 움직이는 것은) / 어느 누구도 여러분을 모를 때에는 / 그리고 어느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을 때에는
It’s a lot easier to move -에서 It은 가주어이고 to move -가 진주어인 구문이다.
비교급 앞의 a lot은 ‘훨씬’으로 해석한다.
move under the radar는 ‘레이더 아래에서 움직이다’ 즉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고’로 해석한다.
when no one knows you and no one is paying attention에서 when은 ‘-때에는’으로도 ‘if로 해석해도 둘 다 좋다. and와 no 사이에 생략된 when을 넣어서 해석한다.
You can mess up and be rough and get dirty because no one even knows you’re there.
해설본 : 여러분은 일을 망치고, 난폭해지며, 비열해져도 되는데, 왜냐하면 여러분이 그곳에 있다는 것을 아무도 심지어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정본 : 여러분은 완전히 엉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곳을) / 그리고 난폭한 사람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곳에서) / 그리고 더러워 질 수도 있습니다 (그곳에서) / 왜냐하면 / 어느 누구도 모르고 있기 때문에 / 심지어 여러분이 그곳에 있다는 사실조차도
can mess up에서 up은 ‘완전히’라는 의미이고 mess 는 ‘엉망으로 만들다’의 뜻이다.
and be rough는 and와 be 사이에 생략된 You can을 넣어서 해석하고 주어가 여러분 즉 사람이므로 rough 뒤에는 ‘사람’을 넣어서 해석한다.
no one even knows you're there에서 even은 한 문장성분 뒤로 이동시켜 knows 뒤에 놓고 해석한다. 즉 'knows even (that) you're there'로 해석한다. (that)은 타동사 know의 목적어절을 이끌고 있으므로 ‘-라는 사실조차도 알지 못하다’의 뜻이 된다.
But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 others start to notice, you’re suddenly aware that you’re being observed.
해설본 : 하지만 여러분이 승리하기 시작하거나, 다른 사람이 알아차리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여러분은 관찰되고 있다는 것을 갑자기 인식한다.
수정본 : 그러나 / 여러분이 승리를 거두기 시작하자마자 /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을) 알아보기 시작하자마자 / 여러분은 갑자기 인식을 하게 된다 /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을 관찰하고 있다(=지켜보고 있다) 라는 사실을
as soon as - : -하자마자
and와 others 사이에 생략된 as soon as를 넣어서 해석한다.
notice - : -를 알아 보다
be aware that - : -를 인식하다, -를 알다
be aware이 ‘-를 알다, 인식하다’로 타동사이므로 뒤의 목적어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을/를’로 해석한다.
you’re being observed는 생략된 ‘by others'를 넣고 능동태로 바꾸어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을 지켜보고 있다‘로 해석한다.
You’re being judged.
해설본 : 여러분은 평가받고 있다.
수정본 : 여러분을 판단하고 있다(=평가를 하고 있다) / 다른 사람들이
생략된 ‘by others'를 넣고 능동태로 바꾸어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을 평가하고 있다‘로 해석한다.
You worry 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 and you start hiding your true personality, so you can be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 and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
해설본 : 여러분은 다른 사람이 여러분의 실수와 약점을 발견할 것이라고 걱정하고, 여러분이 좋은 본보기이자 훌륭한 시민이고 다른 사람이 존경할 수 있는 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여러분 본래의 성격을 숨기기 시작한다.
수정본 : 여러분은 걱정을 한다 / -라고 / 다른 사람들이 발견할 것이라고 / 여러분의 여러 결점들과 약점들을 / 그래서 여러분은 숨기기 시작한다 /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진짜 성격을 / 여러분이 훌륭한 롤모델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 그리고 훌륭한 시민과 리더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 다른 사람들이 존경할 수 있는
so 뒤에 생략된 that을 넣으면 so that you can be - 가 된다. ‘so that 주어 can 동사원형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의 뜻이다.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해설본 : 그것에 문제는 없다.
수정본 : 잘못된 것은 없다 / 그렇게 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with that에서 with는 ‘-와 관련된’의 뜻이고 that은 앞 문장의 ‘훌륭한 롤모델, 훌륭한 시민, 리더가되기 위해 진짜 성격을 숨기기 시작하는 것‘을 지칭하고 있다.
But if you do it at the expense of being who you really are, making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 yourself, you’re not going to be in that position very long.
해설본 : 하지만 자기 자신을 기쁘게 하기보다, 타인을 기쁘게 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자신의 진정한 모습이 되는 것을 희생하면서까지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은 그 지위에 그리 오래 머물지 못할 것이다.
수정본 : 그러나 / 만약 여러분이 그것을 하기 시작한다면 / 희생시키면서 / 진짜 모습의 여러분이 되는 것을 / 그리고 여러분이 결정들을 내린다면 /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 여러분 자신을 즐겁게 하는 대신에 / 여러분은 그 자리에 있지 못하게 될 것이다 / 아주 오래
it은 바로 앞 문장의 ‘훌륭한 롤모델, 시민, 리더가 되려고 숨기기 시작하는 것’을 지칭하고 있다.
at the expense of -는 ‘-를 희생시키고서’의 뜻이다.
being who you really are은 ‘되는 것 / 여러분이 실제로 인 모습’을 풀어서 우리말에 맞게 해석하면 ‘진짜 모습의 여러분이 되는 것’이란 해석이 된다.
, making decisions that -는 생략된 if you를 넣어서 ‘and if you make decisions that -'로 해석한다.
be in that position에서 that position은 앞 문장의 ‘훌륭한 롤모델, 시민, 리더 자리’를 가리키고 있다.
When you start apologizing for who you are, you stop growing and you stop winning. Permanently.
해설본 : 여러분이 누구인지에 대해 사과하기 시작하는 순간, 여러분은 성장을 멈추고, 승리를 멈추게 된다. 영원히.
수정본 : 여러분이 사과하는 것을 시작하면 / 현재의 여러분의 모습에 대해 / 여러분은 성장을 멈추게 된다 / 그리고 여러분은 승리하는 것을 멈추게 된다. / 영구히
When은 ‘-할 때’보다는 ‘if'fh 해석하는 것이 우리말 문맥에 어울리는 해석이다.
who you are는 현재시제로 쓰여 있으므로 ‘현재 여러분의 모습’으로 해석한다. 이 문장에서의 현재 모습은 앞 문장의 ‘훌륭한 롤모델, 시민, 리더’의 모슴을 가리키고 있다.
마지막 문장이 이 문장은 주제문이다(When이 If의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
you = winners
trap = 사과하면 성장을 멈추게 되는 것
who you are = be Themselves
① Stop Judging Others to Win the Race of Life
② Why Disappointment Hurts More than Criticism
③ Winning vs. Losing: A Dangerously Misleading Mindset
④ Winners in a Trap: Too Self‑conscious to Be Themselves
⑤ Is Honesty the Best Policy to Turn Enemies into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