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to부정사의 결과용법'] 3단계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해석법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to부정사의 결과용법'] 3단계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3. 12.

‘to 부정사의 결과용법의 해석방법

-해서 그 결과 ...하다

 

Rather, there is a coherent scheme of things. This is often expressed by the simple saying that there is order in nature. But scientists have gone beyond this vague notion to formulate a system of well-defined laws.

(수능특강영어 155)

 

해설본 : 오히려, 일관성 있는 '사물의 체계'가 있다. 이것은 흔히 자연에는 질서가 있다는 간단한 경구로 표현된다. 하지만 과학자는 이 막연한 개념을 넘어서 잘 정의된 '법칙' 체계를 정립해 왔다.

 

Rather, 오히려

 

there is 있다.

 

a coherent scheme of things. 사물들에 관한 일관성 있는 하나의 계획이

scheme'체계아니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으로 해석해야 한다.

of‘-가 아니라 ‘-에 관한으로 해석해야 한다.

 

This is often expressed 이것은 종종 표현되고 있다.

This는 앞 문장의 ‘a coherent scheme of things'를 지칭한다.

 

by the simple saying 간단한 말로

saying경구보다는 이 어울리는 해석이다.

by는 수동태 뒤에 왔지만 ‘-에 의해서보다는 ‘-으로로 해석한다.

 

that - -라는

that명사이 같음을 나타내는 동격접속사이므로 ‘-라는, -으로 해석한다.

 

there is order 질서가 있다

 

in nature. 자연 속에는 (=자연에는)

 

But 그러나

 

scientists have gone beyond 과학자들은 넘어서

‘go beyond -'’-를 넘어 서다, 초월하다의 의미이다.

have gone beyond 현재완료 시제의 계속용법이므로 ‘-해왔다로 해석한다.

 

this vague notion 이런 애매모호한 개념을

‘this vague notion'자연 속에는 질서가 있다를 지칭하고 있다.

 

to formulate 그 결과 만들어 냈다

to결과용법으로 그 결과 -하다로 해석한다.

formulate정립해왔다보다는 ‘(세심하게) -를 만들어 내다의 의미이다.

 

a system of well-defined laws. 정의가 잘된 법칙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체계를(=과학을)

 

a system of well-defined laws과학을 지칭한다.

of'구성'을 나타낸다. (-으로 이루어진)

well-defined능동태의미 + -로 바꾸어 해석한다. ’정의가 잘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