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0번 어휘유형 영어구문독해방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유형별 풀이법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0번 어휘유형 영어구문독해방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유형별 풀이법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2. 26.

<어휘유형>

보기: 바로 뒷 문장과 순접관계를 봐야 하는 유향

보기: For example를 주는 유형

보기: 반복, 다시를 나타내는 접두사 re-를 주는 유형

보기: ‘ - ’를 주는 유형

보기: Although를 주는 유형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202312(11) 2 영어모의고사 30번 어휘유형) 3점 정답

 

Technology changes how individuals and societies understand the concept of privacy.

 

해설본 : 기술은 개인들과 사회가 사생활의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수정본 : 과학기술은 변화시킨다 / 방식을 / 개인들과 사회들이 이해하는 / 사생활이란 개념을

 

technology기술보다는 과학기술로 해석한다. technique과 구별이 필요하다.

the concept of privacy에서 of‘-가 아니라 동격으로 ‘-라는, -으로 해석한다.

 

The fact that someone has a new ability to access information or watch the actions of another does not justify doing so.

 

해설본 : 누군가가 정보에 접근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는 새로운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은 그렇게 하는 것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수정본 : 사실이 / -라는 / 누군가에게 있다라는 / 새로운 능력이 / 다른 어떤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 혹은 다른 어떤 사람이 하는 행동들을 지켜 볼 수 있는 (능력이) / 정당화시켜 주는 것은 아니다 / 그렇게 하는 것을(=다른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하는 행동들을 지켜 보는 것)

 

the fact 뒤의 that‘-라는으로 해석한다.

someone has A누군가에게 A가 있다로 해석한다.

access information 뒤에 생략된 of another을 넣어서 다른 어떤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다로 해석한다.

orwatch 사이에 생략된 a new ability to를 넣어서 해석한다.

does not justify에서 not‘-않다가 아니라 ‘-아니다로 해석한다. 정당화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정당화시켜 주는 것은 아니다로 해석해야 한다.

doing so다른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하는 행동들을 지켜 보는 것을 가리킨다.

 

바로 뒷 문장에서 rather 이하가 ‘-를 필요로 한다라는 내용이므로 does not justify가 문맥상 맞는 내용이 된다.

 

Rather, advances in technology require citizens and policy makers to consider how privacy protections should be expanded.

 

해설본 : 오히려, 기술의 발전은 시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어떻게 사생활 보호가 확장되어야 하는지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수정본 : 오히려 / 과학기술분야에서 이루어진 여러 발전들에는 필요했다 / 시민들과 정책입안자들이 고려해야 하는 것이 / 어떻게 사생활보호 정책들을 확장시켜야 하는 지를

 

advances in technology에서 in‘-가 아니라 ‘-분야에서 + 과학기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여러 발전들로 해석한다.

A require B‘A에는 B가 필요하다로 해석한다.

privacy protections should be expanded는 능동으로 바꾸어 ‘should expand privacy protections'로 해석한다.

protections는 복수 s가 있으므로 보호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정책들로 해석한다.

 

For example, when cameras first became available for commercial and private use, nations and citizens struggled over whether new laws should be enacted to protect individuals from being photographed without their permission.

 

해설본 : 예를 들어, 카메라들이 상업적이고 사적인 용도로 처음 사용될 수 있게 되었을 때, 국가들과 시민들은 그들의 허가 없이 개인들이 사진에 찍히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법들이 제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투쟁했다.

 

수정본 : 예를 들어 / 카메라들이 처음으로 사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 상업용으로 그리고 사적인 용도로 / 여러 국가들과 시민들은 고군분투했다 / 새로운 법률들이 제정되어야 하는 지 아닌지에 대해 / 막기 위해 / 개인들이 사진에 찍히는 것을 / 자신들의 허락없이

 

for commercial and private use에서 for‘-, -용도로의 뜻이다.

struggled over - : -에 대해 고군분투했다.

enact : (법률을) 제정하다

protect A from -ing : A-하는 것을 막다(못하게하다)

 

For example로 시작하는 문장이므로 바로 앞 문장과 내용상 순접관계가 되어야 한다. 바로 앞 문장에서 사생활 보호가 확장되다의 내용이므로 보기protect는 문맥에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econsideration of privacy brought about by this new technology re-affirmed a distinc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s.

 

해설본 : 이 새로운 기술이 가져온 사생활에 대한 재고는 사적 및 공적 공간의 구별을 재확인했다.

 

수정본 : 재고해 보게된 것은 / 사생활에 대해 / 이런 새로운 과학기술이 일으킨 것 이었다 / 그것은(사생활에 대해 재고해 보게 된 것은) 재확인해 주었다 / 구별해야 한다는 것을 / 사적인 공간들과 공적인 공간들 사이를

 

reconsideration of - ‘-에 대한 재고보다는 ‘-를 재고하게 된 것은으로 해석한다.

brought about by this new technology는 능동으로 바꾸어 이런 새로운 과학기술이 일으킨 것이었다로 해석한다.

re-affirmed a distinction'구별을 재확인했다로 해석하면 우리말에 안 맞아 모호한 의미가 된다. ’구별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해 주었다로 해석한다.

 

3번째 문장에서 consider이 한 번 나왔기에 보기reconsideration은 문맥에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t was determined by most cultures that people automatically gave consent to being seen and thus recorded once they voluntarily stepped into a public space.

 

해설본 : 일단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공공장소에 발을 들여놓으면, 보여지고, 따라서 녹화되는 것에 자동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문화에서 결정되었다.

 

수정본 : 결정을 했다 / 대부분의 나라들은 / 사람들이 자동으로 동의해 주는 것으로 / 다른 사람이 보는 것에 -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녹화하는 것에 - 일단 그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걸어 들어가면 / 공공 장소 안으로

 

It was determined by most cultures that -는 능동으로 바꾸어 해석한다.

most cultures에서 cultures문화들보다는 나라들로 해석한다.

gave consent to - ‘-에 동의를 해 주다의 뜻이다.

to being seen and thus recorded는 능동으로 바꾸고 생략된 주어 other people을 넣어서 다른 사람들이 보는 것에 - 따라서 녹화를 하는 것에로 해석한다.

 

' - ' 앞과 뒤는 부연설명 즉 순접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 - '뒤에 자발적으로 걸어 들어 갔다가 나오므로 보기consent가 문맥에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lthough some people might be uncomfortable with the spread of surveillance cameras, citizens in most cultures have adjusted to the fact that giving up the right not to be observed in these circumstances causes more harm to the community than failing to have surveillance.

* surveillance: 감시

 

해설본 : 일부 사람들은 감시 카메라들의 확산을 불편하게 여길지도 모르지만, 대부분의 문화권에 있는 시민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관찰되지 않을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 감시받지 못하는 것보다 지역 사회에 더 많은(더 적은) 해를 끼친다는 사실에 순응해 왔다.

 

수정본 : 비록 일부 사람들은 불편해할지도 모르지만 / 감시 카메라들이 확산되는 것과 관련해서 / 대부분의 나라들의 시민들은 순응을 해왔다 / 사실에 / -라는 / 권리를 포기하는 것은 / 관찰당하지 않을 / 이러한 환경 속에서 / 더 많은 해를 일으킨다 (라는) / 지역사회에 / (감시카메라들이 자신들을) 감시를 하지 않는 것보다

 

uncomfortable with the spread of surveillance cameras에서 with‘-/이 아니라 ‘-와 관련해서의 뜻이다.

the spread of surveillance cameras에서 of‘-가 아니라 ‘-///의 뜻이다. spread확산보다 확산되는 것으로 해석한다.

failing to have surveillance에서 fail to 동사원형은 ‘-않다라는 의미이다. ‘감시받지 못하는 것보다는 ‘(감시카메라들이) 감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Although 절과 주절은 역접관계 내용이 되어애 한다. Although 절이 불편해 한다라는 부정적 내용이므로 주절은 긍정적 내용이 되어야 하는데 보기more harm은 부정적 내용이므로 문맥에 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