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21번 함축의미추론 유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구문독해방법 수능특강영어해석법 고1영어모의고사 풀이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21번 함축의미추론 유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구문독해방법 수능특강영어해석법 고1영어모의고사 풀이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2. 27.

<함축의미 추론 유형>

밑줄 친 어구가 비유적인 표현으로 정답인 보기의 단어들과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유형

 

밑줄 친 be more than just sugar on the tongue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312(11) 2 영어모의고사 21번 함축의미 추론 유형) 3점 정답

 

The arts and aesthetics offer emotional connection to the full range of human experience.

 

해설본 : 예술과 미학은 다양한 인간 경험에 대한 정서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수정본 : 여러 가지 예술들과 여러 미학들은 /감정을 연결시켜 준다 / 전 영역으로 / 인간이 겪는 경험의

 

The arts and aesthetics예술과 미학보다는 art에 복수 s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예술들로 해석한다.

offer emotional connection to -정서적인 연결을 제공한다로 해석하는 것은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한 것이다. emotional을 목적어로, offer connection to‘-로 연결시키다로 해석한다.

 

“The arts can be more than just sugar on the tongue,” Anjan Chatterjee,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ays.

 

해설본 : “예술은 단순히 혀 위의 설탕 이상의 것이 될 수 있다,”라고 Pennsylvania 대학교의 교수인 Anjan Chatterjee는 말한다.

 

수정본 : “여러 가지 예술들은 이상의 것이 될 수 있다 / 단순한 설탕 / 혀 위에 있는라고 Anjan Chatterjee는 말한다 / Pennsylvania 대학교에서 근무 중인 교수인

 

more than - : -이상의 것

at + 학교, 대학에서 at’-가 아닌 ’-근무 중인의 뜻이다.

 

<밑줄 친 어구가 비유적인 표현으로 정답인 보기의 단어들과 동의어 관계를 이루는 유형>

more than - = beyond

sugar = pleasure

 

“In art, when there’s something challenging, which can also be uncomfortable, this discomfort, if we’re willing to engage with it, offers the possibility of some change, some transformation.

 

해설본 : “예술에서, 무언가 도전적인 것이 있고 그것이 또한 불편할 수 있을 때, 이 불편은, 만약 우리가 기꺼이 그것에 참여하려 한다면, 어떤 변화, 어떤 변형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수정본 : “예술에서는 / (기존의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어떤 것이 있을 때에는 / 그리고 그 이의를 제기하는 어떤 것이 또한 불편할 수도 있을 때에는 / 이 불편함은 / 만약 우리가 기꺼이 그 불편함에 대응을 한다면 /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 어떤 변화를 할, 어떤 변모를 할

 

something challenging도전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문맥에 전혀 맞지 않다. ‘(기존의 생각에) 이의를 제기하는 어떤 것으로 해석한다.

‘ . which'에서 whichsomething challenging을 지칭하고 있다.

engage with - 참여하다보다는 ‘-에 대응하다로 해석한다.

 

That can also be a powerful aesthetic experience.” The arts, in this way, become vehicles to contend with ideas and concepts that are difficult and uncomfortable otherwise.

 

해설본 : 그것은 또한 강력한 미적 경험이 될 수 있다.” 예술은, 이런 방식으로, 그렇지 않았더라면 어렵고 불편한 아이디어 및 개념들과 싸우는 매개체가 된다.

 

수정본 : 그것은(=그 불편함은) 또한 될 수 있다 / 미적인 것을 강력하게 경험하는 것이“ / 그 여러 가지 예술들은 / 이런 식으로 / 매개체가 된다 / 싸우는 /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과 여러 가지 개념들과 / 어렵고 불편한 / 그렇지 않았더라면(=예술이 불편함을 다루지 않았더라면)

 

Thatthis discomfort를 가리킨다.

in this way 이의를 제기하는 식으로의 뜻이다.

otherwise'예술이 이의를 제기하는 어떤 것 즉 불편함을 다루지 않았더라면의 뜻이다.

 

When Picasso painted his masterpiece Guernica in 1937, he captured the heartbreaking and cruel nature of war, and offered the world a way to consider the universal suffering caused by the Spanish Civil War.

 

해설본 : Picasso가 그의 걸작 Guernica1937년에 그렸을 때, 그는 가슴 아프고 잔인한 전쟁의 본질을 포착했고, 스페인 내전으로 인한 보편적인 고통을 숙고할 방법을 세상에 제공했다.

 

수정본 : Picasso가 그렸을 때 / 자신의 걸작 Guernica/ 1937년에 / 그는 포착했다 / 가슴 아프고 잔인한 전쟁이 가진 본질을 / 그래서 (Picasso) 제공했다 / 세상에 / 한 가지 방법을 / 고려하게 하는 / (전 세계가) 보편적으로 겪는 고통을 / 스페인 내전이 일으킨

 

the universal suffering 보편적인 고통이 아니라 전 세계가 보편적으로 겪는 고통으로 해석한다.

 

When Lorraine Hansberry wrote her play A Raisin in the Sun, she gave us a powerful story of people struggling with racism, discrimination, and the pursuit of the American dream while also offering a touching portrait of family life.

 

해설본 : Lorraine Hansberry가 그녀의 희곡 A Raisin in the Sun을 썼을 때, 그녀는 또한 가족생활에 대한 감동적인 초상화를 제공하면서 인종 차별, 차별, 아메리칸드림의 추구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의 강력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주었다.

 

수정본 : Lorraine Hansberry가 썼을 때 / 자신의 희곡 A Raisin in the Sun/ 그녀는 우리에게 들려주었다 / 호소력이 강한 이야기를 / 사람들에 관한 / 고군분투하는 / 인종 차별주이, 차별, 그리고 American Dream을 추구하는 것과 관련해서 / 또한 제공해 주는 반면에 / 감동적인 초상화 같은 것을 / 가족생활을 보여 주는

 

a powerful story of people사람들의 강력한 이야기로 해석하면 우리말로 어색하다. ‘사람들에 관한 호소력이 강한 이야기로 해석한다.

a touching portrait감동적인 초상화가 아니라 비유적인 표현이므로 감동적인 초상화 같은 것으로 해석한다.

'portrait of family life'가족생화의 초상화가 아니라 가족생활을 보여 주는 초상화 같은 것으로 헤석한다.

 

play a role in relieving psychological anxiety

enlighten us about the absoluteness of beauty

conceal the artist’s cultural and ethnic traditions

embrace a variety of experiences beyond pleasure

distort the viewers’ accurate understanding of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