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9번 문장끼워넣기유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구문독해방법 수능특강영어해석법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9번 문장끼워넣기유형 영어직독직해방법 영어구문독해방법 수능특강영어해석법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2. 25.

<문장끼워넣기 유형>

Box 문장 : However를 주는 유형 + 시제가 단서가 되는 유형(현재시제와 과거시제가 역접관계)

Box 문장 : 전체적 추상적 의미의 단어를 주는 유형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312(11) 2 영어모의고사 39번 문장끼워넣기 유형) 정답

 

Box 문장 : However, contrary to the trend of the past several decades, in many new situations that are occurring today, allowing for imprecision for messiness may be a positive feature, not a shortcoming.

 

해설본 : 그러나, 지난 수십 년간의 경향과 반대로, 오늘날 발생하는 많은 새로운 상황에서 부정확성, , 번잡함을 허용하는 것은 단점이 아니라 긍정적인 특성이 될 수 있다.

 

수정본 : 그러나 / 경향과는 반대로 / 과거 몇 십 년의 / 새로운 많은 상황들에서는 /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 부정확한 것을 허용하는 것은 - 즉 번잡한 것을 허용하는 것은- 긍정적인 특성이 될 수도 있다 / 단점이 아니라

 

allowing for imperfection부정확성을 허용하는 것보다는 부정확한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for messiness는 생략된 allowing을 넣어서 번잡한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By the nineteenth century, France had developed a system of precisely defined units of measurement to capture space, time, and more, and had begun to get other nations to adopt the same standards.

 

해설본 : 19세기까지, 프랑스는 공간, 시간, 그리고 더 많은 것을 포착하기 위해 정밀하게 규정된 측정 단위의 체계를 개발했고, 다른 국가들이 동일한 기준을 채택하도록 만들기 시작했었다.

 

수정본 : 19세기까지 / 프랑스는 개발을 해왔다 / 체계를 / (프랑스 국가가) 정밀하게 규정을 한 측정단위로 이루어진 / 공간, 시간, 그리고 더 많은 것을 포착하기 위해 / 그리고 프랑스는 시작을 했다 / 다른 국가들이 채택하라고 설득하는 것을 / 똑같은 기준들을

 

By the nineteenth century에서 By는 뒤에 과거완료시제가 나오므로 ‘-무렵에, -경에보다는 ‘-까지로 해석한다.

a system 뒤의 of‘-보다는 ‘-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된의 뜻이다.

precisely defined units of measurement에서 defined는 능동으로 바꾸어 프랑스 국가가 정밀하게 규정을 한 측정단위로 해석한다.

more는 명사로 사용되었기에 더 많은 것으로 해석한다.

get other nations to adopt에서 get설득하다의 뜻이다.

 

( ) Just half a century later, in the 1920s, the discoveries of quantum mechanics forever destroyed the dream of comprehensive and perfect measurement.

 

해설본 : 불과 반세기 후, 1920년대에, 양자 역학의 발견은 포괄적이고 완벽한 측정에 대한 꿈을 영원히 깨 버렸다.

 

수정본 : 불과 반세기 뒤에 / 1920년대에 / 발견한 것들이 / 양자역학을 / 영원히 파괴시켜 버렸다 / 꿈을 / 포괄적이고도 완벽하게 측정한다라는

 

‘just + 숫자에서 just불과, 겨우라는 뜻이다.

‘the discoveries of -’에서 of‘-가 아니라 ‘-/로 해석한다.

‘the dream of -’에서 of‘-에 대한보다는 ‘-라는, -의뜻이다.

comprehensive and perfect measurement에서 comprehensive and perfec는 뒤에 타동사유래명사가 있으므로 부사로 즉 포괄적이고도 완벽하게 측정한다라는으로 해석한다.

 

( ) And yet, outside a relatively small circle of physicists, the mindset of humankind’s drive to flawlessly measure continued among engineers and scientists.

 

해설본 : 그러나 비교적 소수 집단의 물리학자를 제외하고는 공학자와 과학자 사이에서 완벽하게 측정하려고 하는 인류의 추진 정신은 계속되었다.

 

수정본 : 그러나 / 밖에서는(=제외하고) / 상대적으로 적은 무리의 물리학자들() / 사고방식은 / 인류가 흠없이(=완벽하게) 측정을 하는 것을 추진하려는 / 계속되었다 / 공학자들과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

 

And yet : 앞뒤가 반대 +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But : 앞뒤가 반대 + 그 차이가 큰 경우

outside -‘-밖에라는 뜻이므로 ‘-을 제외하고의 뜻이 되기도 한다.

circle집단도 가능한 해석이지만 무리로 해석한다.

mindset : 사고방식

the mindset of humankind’s drive to flawlessly measurehumankind's를 주격으로 해석해서 인류가 흠없이 측정을 하는 것을 추진하려는 사고방식으로 해석한다.

 

( ) In the world of business it even expanded, as the precision-oriented sciences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began to influence all areas of commerce.

 

해설본 : 정확성을 지향하는 수학과 통계학이라는 과학이 상업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그것은 심지어 확장되었다.

 

수정본 : 비즈니스 세계에서 / 그것은(그 사고방식은) 확장되었다 / 정확성을 지향하는 학문들이 / 수학과 통계학이라는 / 영향을 끼치기 시작하면서 / 모든 영역에 / 상업의

 

as the precision-oriented sciences -에서 as‘-하면서의 뜻이다.

the precision-oriented sciences of -에서 sciences과학들이 아니라 학문들로 해석한다, of는 동격으로 ‘-라는, -의 뜻이다.

 

it even expanded에서 it은 바로 앞 문장의 mindset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 ) As a tradeoff for relaxing the standards of allowable errors, one can get a hold of much more data.

 

해설본 : 허용할 오류의 기준을 완화하기 위한 거래로서 사람은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수정본 : 절충해준 대가로 / 완화시켜 주는 것에 대해 / 허용오차에 대한 기준들을 / 사람은 얻을 수 있다 /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tradeoff거래가 아니라 절충, 절충해준 대가의 뜻이다.

standards of -‘-에 대한 기준들이란 의미이다.

allowable errors허용할 오류가 아니라 전문 용어로 허용오차란 뜻이다.

get a hold of -‘-를 얻다라는 뜻이다. ‘동사 get + 동사유래명사 hold + of -'에서는 앞의 동사 get은 해석하지 않아도 되고 of’-/로 해석한다.

 

보기바로 앞 문장까지는 과거에 대한 내용이고 However로 시작하는 Box 문장의 내용부터 현재에 대한 내용이므로 역접관계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보기뒤의 내용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Box 문장의 may be a positive feature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도 Box 문장과 보기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 ) It isn’t just that “more is better than some,” but that, in fact, sometimes “more is greater than better.”

 

해설본 : 그것은 단순히 더 많은 것이 조금보다 더 나을뿐만 아니라, 사실은 때때로 더 많은 것이 더 좋은 것보다 더 훌륭하기도 하다.

 

수정본 : 그것은 단지 / “더 많이 있는 것이 약간 있는 것보다 더 좋다라는 뜻이다 / 뿐만아니라 사실 더 많이 있는 것이 더 좋은 것보다 더 훌륭하다라는 뜻이다.

 

not just that ... but that --- : ---뿐만아니라 ...이다

more is better더 많은 것이보다는 더 많이 있는 것이로 해석한다.

 

it이 바로 앞 문장의 one can get a hold of much more data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