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회의원 불체포 폐지…사전투표 대신 본투표 이틀" 영작
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영작

김문수 "국회의원 불체포 폐지…사전투표 대신 본투표 이틀" 영작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2.

안녕하세요! 한국어 문장을 영어로 번역하고, 왜 특정 영어 표현을 사용했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이번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발언을 담은 기사 일부를 더 짧은 구절로 나누고, 각 번역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Tistory 블로그에 게시하실 때 참고하시면 SEO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원본 한국어 문장: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는 2일 "방탄 국회의 상징이 된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을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민국의 정치, 사법, 선거관리 제도를 바꿔야 한다"며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국회가 추천하는 헌법재판관의 의결 정족수를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강화해 다수당이 일방적으로 헌법기관을 장악하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무능, 사법 방해까지 일삼는 민주당의 후안무치를 국민 모두가 알게 됐다"며 공수처 폐지, 사법방해죄 신설도 공약했다. 그는 "국민적 불신이 선거제도 전반에 번지고 있다"며 "논란이 많은 사전투표제를 폐지하고 본투표를 이틀간 실시하며, 외국인 투표권에 대한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절별 번역 및 설명: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는 2일

People Power Party presidential primary candidate Kim Moon-soo on the 2nd

주체(소속 정당, 후보 지위, 이름)와 시점(날짜)을 명시합니다. 'on the 2nd'는 특정 날짜에 일어난 일을 표현할 때 쓰는 전치사입니다.

 

"방탄 국회의 상징이 된

said, "which has become a symbol of the 'bulletproof National Assembly',

인용문의 시작을 알리는 'said'와 함께, '~이 된'을 'which has become'으로 표현하여 앞선 내용을 수식합니다. '방탄 국회'는 비격식 표현으로 흔히 ''bulletproof National Assembly''로 번역하며, 인용 부호 안에 넣어 해당 표현임을 보여줍니다.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을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the parliamentary immunity privilege must be abolished."

인용문의 나머지 부분입니다.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은 공식 용어로 'parliamentary immunity privilege'를 사용합니다. '~해야 한다'는 강한 필요성을 나타내므로 'must be abolished'로 번역했습니다.

 

김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Candidate Kim, through a press release on the same day,

앞서 언급된 '김 후보'를 다시 지칭하고, 정보 전달 수단인 '보도자료를 통해'를 'through a press release'로, '이날'을 'on the same day'로 표현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정치, 사법, 선거관리 제도를 바꿔야 한다"며

stated, "We must change South Korea's political, judicial, and election management systems," and 주

장을 펼칠 때 'stated'를 사용합니다. '~ 바꿔야 한다'는 'must change'로, 언급된 제도들을 나열합니다. '~며'는 다음 내용과 연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and'로 이어줍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약을 발표했다.

announced pledges including these points.

'공약을 발표했다'는 'announced pledges'로, '이러한 내용을 담은'은 'including these points'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김 후보는 "국회가 추천하는

Candidate Kim said, "We must strengthen the quorum for approving

새로운 인용문의 시작입니다. '국회가 추천하는'을 뒤따라올 내용과 연결하여 '우리는 ~을 승인하기 위한 정족수를 강화해야 한다'는 구조로 시작합니다. '정족수'는 'quorum'입니다.

 

헌법재판관의 의결 정족수를

Constitutional Court justices recommended by the National Assembly

정족수의 대상인 '헌법재판관'은 'Constitutional Court justices'입니다. '국회가 추천하는'과 연결되어, 영어에서는 명사 뒤에서 수식하는 형태('recommended by the National Assembly')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강화해

to require the consent of more than two-thirds of incumbent members,

강화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 '~으로'는 '~를 요구하다'는 의미로 풀어 'to require the consent'로 표현했습니다.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은 'more than two-thirds of incumbent members'입니다.

 

다수당이 일방적으로 헌법기관을 장악하는 일은

so that the unilateral seizure of constitutional bodies by a majority party

막고자 하는 상황입니다. '~하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한다'와 연결하기 위해 'so that'(~하기 위해)을 사용하여 목적절을 유도합니다.

'일방적인 장악'은 'unilateral seizure', '헌법기관'은 'constitutional bodies', '다수당이'는 'by a majority party'로 표현했습니다.

 

이제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should no longer happen."

앞선 구절과 연결되어 '그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should no longer happen'이 이 의미를 잘 전달합니다.

 

이어

He continued,

앞선 발언에 이어서 다른 내용을 말할 때 '이어'는 'He continued'로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무능과,

"the incompetence of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CIO),

and 새로운 인용문의 시작이며, 첫 번째 비판 대상을 나열합니다. '무능'은 'incompetence',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공식 명칭인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CIO)'를 사용합니다. 뒤따를 내용과 연결하기 위해 'and'를 붙였습니다.

 

사법 방해까지 일삼는

the obstruction of justice carried out by

행동('사법 방해')과 그 주체('일삼는')를 나타냅니다. '사법 방해'는 'obstruction of justice', '일삼는'은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내어 'carried out by'로 풀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민주당의 후안무치를

the shamelessness of the Democratic Party

비판 대상('민주당의')과 그 속성('후안무치')을 명시합니다. '후안무치'는 'shamelessness'로 번역됩니다.

 

국민 모두가 알게 됐다"며

which the entire nation has come to know," and

앞선 비판 내용을 누가 알게 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국민 모두가'는 'the entire nation', '~게 됐다'는 변화를 나타내므로 'has come to know'로 표현합니다. 뒤따를 내용과 연결하기 위해 'and'를 사용합니다.

 

공수처 폐지,

pledging the abolition of the CIO,

첫 번째 공약 내용입니다. '공수처 폐지'는 'abolition of the CIO'로, 이는 뒤따르는 '공약했다'는 행동의 일부이므로 'pledging'과 함께 나열합니다.

 

사법방해죄 신설도 공약했다.

he also pledged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of obstructing justice.

두 번째 공약 내용입니다. '사법방해죄 신설'은 'establishment of a crime of obstructing justice'로 번역됩니다. 앞선 공약 외에 '도' 공약했으므로 'he also pledged'를 사용합니다.

 

그는 "국민적 불신이

He promised, "Public distrust

새로운 주제(선거 제도)에 대한 발언 시작을 알립니다. '약속했다'는 'promised'로, '국민적 불신이'는 'Public distrust'로 시작합니다.

 

선거제도 전반에 번지고 있다"며

is spreading throughout the election system," adding,

불신이 퍼지는 범위와 상태를 나타냅니다. '번지고 있다'는 현재 진행형 'is spreading'으로, '선거제도 전반에'는 'throughout the election system'으로 표현합니다. 이어서 공약을 말하므로 'adding'을 사용합니다.

 

"논란이 많은 사전투표제를 폐지하고

"We will abolish the highly controversial early voting system,

첫 번째 선거 제도 관련 공약입니다. '~를 폐지하고'는 'We will abolish'로 시작하며, '논란이 많은'은 'highly controversial', '사전투표제'는 'early voting system'으로 번역합니다.

 

본투표를 이틀간 실시하며,

conduct main voting over two days, and

두 번째 공약입니다. '본투표를 실시하다'는 'conduct main voting', '이틀간'은 'over two days'입니다. 다음 공약과 연결하기 위해 'and'를 사용합니다.

 

외국인 투표권에 대한

regarding voting rights for foreigners,

마지막 공약의 대상입니다. '~에 대한'은 'regarding'으로 표현하여 뒤따르는 내용의 주제를 명시합니다. '외국인 투표권'은 'voting rights for foreigners'입니다.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약속했다.

appl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마지막 공약 내용입니다.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며 'appl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로 번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