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특강영어 26강 1번 문제 분석 및 해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능특강 영어 26강 1번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지문의 내용을 구절별로 나누어 정확한 한국어 해석을 제공해 드립니다. 언어의 다양한 쓰임새와 그 본질적인 기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절의 문맥적 의미와 함께 필요한 해석 기술, 그리고 어려운 단어의 뜻을 함께 설명합니다. 수능을 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께 이 글이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구절별 영어 원문 및 한국어 번역
🌱 You may have noticed
해석: 여러분은 알아차렸을지도 모른다
해석 기술: 'may have p.p.' 구문은 과거 사실에 대한 약한 추측을 나타내며, '~이었을지도 모른다' notice 알아차리다
📌 that language has
해석: 언어가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해석 기술: 타동사 'noticed' 뒤에 오는 **'that'**은 명사절을 이끌어 '~라는 사실을'로 해석합니다.
🌱 a variety of actual and potential uses.
해석: 다양한 실제적인 용도와 잠재적인 용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해석 기술: **'a variety of ~'**는 '~의 다양성' 또는 '다양한 ~'으로 해석하며, 여기서는 명사 'uses'를 수식합니다.
📌 Marvel for just a moment
해석: 잠시동안만 감탄을 해보라
해석 기술: 명령문 형태이며, **'for just a moment'**는 '잠시동안만'이라는 시간 부사구입니다. marvel 감탄하다, 놀라워하다
🌱 at the flexibility, utility, and power of language
해석: 언어가 가지고 있는 유연성과 유용성, 그리고 힘에 (대해)
해석 기술: 전치사 **'at'**은 감정이나 놀라움의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utility 유용성
📌 as a set of tools. 해석: 일련의 도구들로서 해석 기술: **'as'**는 '~로서'라는 자격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a set of ~'**는 '일련의 ~'라는 의미로 덩어리 표현입니다.
🌱 Language can be used
해석: 언어는 사용될 수 있다
해석 기술: **'can be p.p.'**는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내는 수동태 구문입니다.
📌 to describe the world or some part of it,
해석: 세상을 또는 세상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해석 기술: **'to 부정사'**는 '~하기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describe 묘사하다, 설명하다
🌱 pose problems,
해석: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해석 기술: 앞선 **'to 부정사'**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목적을 나타냅니다. pose : (문제나 의무늘) 제기하다
📌 suggest solutions,
해석: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해석 기술: 앞선 **'to 부정사'**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목적을 나타냅니다.
🌱 issue orders,
해석: 명령을 내리기 위해
해석 기술: **'issue orders'**는 '명령을 내리다'라는 의미의 동사구입니다. 앞선 **'to 부정사'**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목적을 나타냅니다.
📌 make agreements,
해석: 합의를 하고
해석 기술: 앞선 **'to 부정사'**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목적을 나타냅니다.
🌱 tell stories,
해석: 여러 이야기들을 하기 위해
해석 기술: 앞선 **'to 부정사'**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목적을 나타냅니다.
📌 tell jokes, sing songs, exchange greetings,
해석: 농담들을 하기 위해, 노래를 하기 위해, 인사말을 나누기 위해
해석 기술: 콤마(,)로 연결된 여러 동사구들이 앞선 **'to 부정사'**에 병렬적으로 이어져 목적을 나타냅니다.
🌱 buy things, sell things, make friends,
해석: 물건을 사기 위해, 물건을 팔기 위해, 친구들을 사귀기 위해
해석 기술: 콤마(,)로 연결된 여러 동사구들이 앞선 **'to 부정사'**에 병렬적으로 이어져 목적을 나타냅니다.
📌 insult enemies, and so on.
해석: 적을 모욕하기 위해, 기타 등등을 하기 위해
해석 기술: **'and so on'**은 '기타 등등'을 의미하는 관용 표현입니다. insult 모욕하다
🌱 Can language be said to serve
해석: 언어가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해석 기술: **'be said to 부정사'**는 '~한다고 말해지다'라는 의미의 수동태 구문입니다. 능동태로 전환하여 '사람들이 언어가 ~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로 이해하면 자연스럽습니다. 즉, 'Can people say that language serves to~'의 의미입니다.
📌 any specific single, essential function
해석: 어떤 단 하나의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해석 기술: **'specific'**과 **'essential'**은 각각 '구체적인'과 '본질적인'이라는 의미로 'function'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specific 구체적인, function 기능
🌱 amid all this variety?
해석: 이 모든 다양한 것 중에서
해석 기술: **'amid'**는 '~의 한가운데에, ~중에'를 뜻하는 전치사입니다. **'variety'**는 문맥상 앞서 나열된 언어의 '다양한 쓰임새들'을 의미합니다.
📌 Remember
해석: 기억하라
해석 기술: 명령문으로, 뒤에 오는 'that'절의 내용을 기억하라는 의미입니다.
🌱 that humans are social animals.
해석: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사실을
해석 기술: 명령문 뒤에 'that' 절이 와서 '~라는 사실을 기억하라'로 해석합니다.
📌 Our chances of survival and of flourishing
해석: 우리가 생존하고 번영할 가능성은
해석 기술: **'chances of ~ing'**는 '~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survival'**과 **'flourishing'**은 병렬 구조를 이룹니다. flourish 번창하다, 번영하다
🌱 are greatly enhanced
해석: 크게 높아진다(=고양된다)
해석 기술: **'be enhanced'**는 '~에 의해 고양되다, 높아지다'라는 의미의 수동태 구문이며, **'greatly'**는 '크게, 대단히'라는 부사로 동사를 수식합니다. enhance 고양시키다, 높이다
📌 by association with others
해석: 다른 이들과 어울릴 때(=교류를 할 때)
해석 기술: **'by ~ing'**는 '~함으로써'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association with ~'**는 '~와의 교류, 어울림'을 의미합니다.
🌱 of our kind.
해석: 우리와 같은 종류의
해석 기술: **'of our kind'**는 '우리와 같은 종류의'를 의미하는 전치사구입니다.
📌 We do much better
해석: 우리는 훨씬 더 잘 한다
해석 기술: **'much better'**는 비교급 'better'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훨씬 더 잘'로 해석합니다.
🌱 in groups
해석: 집단으로 (있을 때)
해석 기술: 전치사 **'in'**은 '어떤 상태나 집단 안에 있을 때'를 나타냅니다.
📌 than as individuals.
해석: 개인으로서 보다는
해석 기술: **'than as ~'**는 '~로서라기보다는'이라는 비교를 나타냅니다.
🌱 This places a high premium
해석: 이것은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해석 기술: **'place a high premium on ~'**은 '~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다, ~를 중요하게 여기다'라는 관용구입니다.
📌 on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해석: 협력하는 것과 조정하는 것에
해석 기술: 전치사 'on' 뒤에 명사구 **'cooperation and coordination'**이 이어져 '어떤 것에 대해'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coordination 조정
🌱 with others. 해석: 다른 사람들과 해석 기술: 전치사 **'with'**는 '~와 함께'라는 의미로 동반을 나타냅니다.
📌 Thus
해석: 그러므로
해석 기술: **'Thus'**는 '그러므로, 따라서'라는 의미의 접속 부사로, 앞선 내용에 대한 결론을 이끌 때 사용됩니다.
🌱 the essential function,
해석: 언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기능은
해석 기술: **'of language'**가 'function'을 수식하여 '언어가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 해석합니다.
📌 as well as the functional essence,
해석: 언어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본질 뿐만 아니라
해석 기술: **'as well as A, B'**는 'B뿐만 아니라 A도'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기능적인 본질뿐만 아니라 본질적인 기능'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of language
해석: 언어가 가지고 있는
해석 기술: **'of'**는 '~에 대한, ~을 가지고 있는' 등의 소유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 would seem to be communication.
해석: '의사소통'인 것처럼 보인다
해석 기술: **'would seem to be'**는 '~인 것처럼 보이다'라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 What exactly is communication?
해석: 의사소통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해석 기술: **'What'**은 의문사로 '무엇'을 의미하며, **'exactly'**는 '정확히'라는 의미의 부사입니다.
📌 Communication is what we do
해석: 의사소통이란 우리가 하는 것이다
해석 기술: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로 '~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to achieve common understanding
해석: 공동으로 이해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 기술: **'to 부정사'**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achieve 달성하다, 이루다
📌 — essential to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
해석: (이는 협력하는 것과 조정하는 것에 필수적이다)
해석 기술: 대시(—)는 앞선 내용을 부연 설명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essential to ~'**는 '~에 필수적인'이라는 의미입니다.
🌱 among two or more sentient beings.
해석: 두명 이상의 지각 능력이 있는 존재들 사이에서
해석 기술: **'among'**은 셋 이상 사이를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sentient 지각 능력이 있는
💡 주제 해설 및 핵심 파악 (Topic Explanation & Key Points)
이 글은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에 대해 탐구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언어가 세상을 묘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도 언어가 수행하는 단 하나의 핵심 기능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이어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며, 생존과 번영을 위해 타인과의 협력과 조정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본능이 언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의사소통'**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을 펼칩니다. 결국 필자는 의사소통을 **'두 존재 이상 사이에서 협력과 조정에 필수적인 공통의 이해를 이루기 위해 우리가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언어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로 공통의 이해를 통한 의사소통에 있음을 역설합니다.
핵심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언어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집단 행동이 생존과 번영에 유리하다.
- 사회적 협력과 조정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공통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 이러한 공통의 이해를 달성하는 것이 바로 '의사소통'이며, 이것이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이다.
선택지 분석
- ① 비 언어적 신호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 발달했다: 지문에서 언어의 다양한 쓰임새를 언급했지만, 비언어적 신호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그 발달 과정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② 언어의 통일성은 구성원 간의 결속력을 향상한다: 언어의 '통일성'에 대한 내용은 지문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공통의 이해'를 통해 결속력이 생긴다는 점은 맞지만, '통일성' 자체가 핵심은 아닙니다.
- ③ 언어의 변화는 문화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언어와 문화의 관계나 언어의 변화에 대한 내용은 지문에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④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언어 규칙이 존재하다: 지문은 언어의 기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보편적인 언어 규칙의 존재 여부는 다루지 않습니다.
- ⑤ 언어의 본질적인 기능은 공동의 이해를 추구하는 의사소통이다: 지문의 마지막 문장들에서 언어의 핵심 기능이 **'communication'**이며, 이는 **'common understanding'**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과 결론과 일치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요지입니다.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학년도 대비 수능 특강 영어 27강 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수능 영어 수능 독해 (1) | 2025.05.25 |
---|---|
2026학년도 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24강 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수능 해석과 수능 독해를 위한 영어 구문 독해 (0) | 2025.05.23 |
2026학년도 대비 수능특강 영어 24강 1번 분석 및 변형 문제 (0) | 2025.05.21 |
2026학년도 대비 수능특강 영어 25강 3번 분석 및 변형 문제 (1) | 2025.05.20 |
2026학년도 대비 수능특강 영어 23강 3번 분석 및 변형 문제 (1)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