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6강 3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 법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해석법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6강 3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 법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4. 22.

형용사유래명사 + of -'의 해석방법

형용사유래명사 : 형용사의미로 해석한다.(whether 첨가)

of : '-///로 해석한다

 

Piaget assumed that people continually test the adequacy of their thinking processes in order to achieve that balance.

Briefly, the process of equilibration works like this: If we apply a particular scheme to an event or situation and the scheme works, then equilibrium exists.

If the scheme does not produce a satisfying result, then disequilibrium exists, and we become uncomfortable.

(2024년 수능특강영어 263)

 

해설본 : Piaget는 사람들이 그 균형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사고 과정의 적절성끊임없이 시험한다고 가정했다.

간단히 말해서, 평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만약 우리가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특정한 도식을 적용하고 그 도식이 작동하면 평형이 나타난다.

그 도식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지 못하면, 비평형 상태가 생기고, 우리는 불편해진다.

 

Piaget assumed Piaget은 가정을 했다

 

that - -라고

타동사 뒤의 that‘-라고, -/로 해석한다

 

people continually test 사람들은 계속 테스트한다라고

tested로 과거시제가 아닌 이유는 사람은 항상 테스트한다라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기에 현재시제로 해야한다.

 

the adequacy 적절한 지 적절하지 않은 지를

적절성으로 해석하기 보다 ’be adequate' 으로 풀고 whether를 넣어서 적절한 지 적절하지 않은 지를로 해석한다.

 

of their thinking processes 자신들이 생각해 나가는 과정이

of‘-///로 해석한다.

their는 주어와 같으므로 그들의보다는 자신들이로 해석한다.

 

in order to achieve 달성하기 위해

 

that balance. 그러한 균형을

 

Briefly, 간단히 말해서

 

the process of equilibration 평형 상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은

‘equilibration'평형보다는 평형상태로 해석하는 것이 우리말로 연결이 더 잘 되는 해석이다

of‘-/로 해석하고 앞의 명사 process를 수식하므로 ‘-를 붙여서 해석한다.

 

works 작동된다

work은 자동사로 작동시키다가 아닌 작동되다이다.

 

like this: 다음과 같이

‘this :'다음과 같은, 아래와 같은의 의미이다.

 

If we apply 만약 우리가 적용하면

 

a particular scheme 한 가지 특별한 책략을

scheme도식보다는 책략, 계략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어울린다.

 

to an event or situation 어떤 사건이나 상황에

 

and 그리고

 

(If) the scheme works, 만약 그 책략이 효과가 있으면

생략된 if를 넣어서 해석한다.

이 문장에서의 work작동되다가 아닌 효과를 내다의 뜻이다.

 

then equilibrium exists. 그러면 평형상태가 존재하게 된다(있게 된다)

 

If the scheme does not produce 만약 그 책략이 정말로 만들어 내지 못하게 되면

does는 강조용법의 조동사이므로 정말()’를 넣어서 해석해야 한다.

 

a satisfying result, 만족스러운 결과를

satisfyresult는 능동관계이므로 과거분사 satisfied가 아닌 safisfying 현재분사로 해야 한다.

 

then disequilibrium exists, 그러면 비평형상태가 존재하게 된다(있게 된다)

 

and 그리고

 

we become uncomfortable. 우리는 불편한 (편치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