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회 36번 글의 순서 유형] 영어독해 영어해석 혼자공부하기 영어모의고사풀이 영어단어어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회 36번 글의 순서 유형] 영어독해 영어해석 혼자공부하기 영어모의고사풀이 영어단어어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0. 27.

<Box 문장과 순접 기능어 없이 순접내용으로 이어지는 유형>

<앞 문장에 명사(e)s 있고 그 구체적 내용이 뒤에 이어지는 유형>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36번 글의 순서 유형) 정답

 

Culture has been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since the first anthropological definitions were published in the 1860s, but at the heart of the concept is the idea that culture is learned.

 

해설본 : 문화는 1860년대에 첫 인류학적인 정의가 발표된 이래로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으나 그 개념의 중심부에는 문화는 학습된다는 생각이 있다.

 

수정본 : (여러 학자들이) 문화에 대해서 정의를 내려 왔다 /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 인류학자들이 최초로 (문화에 대해) 정의를 내린 것들이 출판된 이래로 (쭈욱) / 1860년데에, / 그러나 / 그 문화라는 개념의 중심에는 있다 / 개념이 / 사람들은 문화를 학습을 한다라는

 

(A) This broader definition of culture allows scholars to address interesting questions about the different kinds of culture across species, the role culture plays in helping different species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the evolution of culture across species in combination with genetic evolution.

 

해설본 : 이 더 넓은 문화의 정의는 학자들이 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문화, 다양한 종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데 문화가 하는 역할, 그리고 유전적 진화와 결합하여 종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문화의 진화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다루도록 해 준다.

 

수정본 : 이렇게 문화에 대해 더 넓은 의미로 정의를 내리면 / 학자들은 다룰 수 있게 된다 / 흥미로운 여러 가지 질문들을 / 다양한 종류들의 문화에 대한 / 종 전반에 걸쳐 있는 / 그리고 문화가 하는 역할에 대한 (여러 가지 질문들을 다룰 수 있게 된다) / 다른 종이 환경에 적응한 것을 도와주는데 있어서 / 그리고 문화의 진화에 대한 (여러 가지 질문들을 다를 수 있게 된다) / 종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 유전적 진화와 결합해서

 

(B)This broader definition of culture(B)Some have argued that - & Others have argued that - Others have argued that -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B) Some have argued that culture distinguishes humans from animals; they tend to focus on definitions of culture as complex systems of meaning. Others have argued that some animals do have culture; they tend to define culture as shared behaviors acquired through social learning.

 

해설본 : 몇몇 사람들은 문화가 인간과 동물을 구별 짓는다고 주장해왔는데, 그들은 복잡한 의미 체계로서 문화의 정의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들은 몇몇 동물이 정말로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 왔는데, 그들은 문화를 사회적 학습을 통해 습득된 공유된 행동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있다.

 

수정본 : 몇몇 학자들은 주장을 해왔다 / -라고 / 문화가 인간들을 구별해 준다라고 / 동물들과 ; 그 학자들은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 문화에 대해 내린 여러 정의들에 / (문화를) 복잡한 의미체계로. (동물들은 문화가 없다라고 보는 주장) / 다른 학자들은 주장을 해왔다 / =라고 / 일부 동물들은 정말로 문화를 가지고 있다라고 / (, 말하자면) / 그 다른 학자들은 정의를 내리는 경향이 있다 / 문화를 /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행동들로 / 습득되는 / 사회적 학습을 통해서(동물도 문화를 가지고 있다라고 보는 주장)

 

(C)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Debates about whether or not animals have culture 즉 여러 논쟁들(=주장들)의 구체적 표현이 Some have argued that - & Others have argued that - 이므로 이어지는 문자임을 알 수 있다.

 

(C) People learn culture by observing and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in this process, they construct shared systems of meaning and shared norms of behavior. Debates about whether or not animals have culture depend on how culture is defined.

 

해설본 :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고 그들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문화를 학습하며, 이 과정에서 그들은 공유된 의미 체계와 공유된 행동 규범을 구성한다. 동물이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혹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은 문화가 어떻게 규정되느냐에 달려있다.

 

수정본 : 사람들은 문화를 학습한다 / (다른 사람들을) 관찰함으로써 /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교류를 함으로써 ; 이 과정에서 / 사람들은 구축을 한다 /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의미체계를 /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를 하는 행동 규범들을. / 여러 논쟁들은(=주장들은) / 동물들이 문화를 가지고 있느냐 가지고 있지 않느냐에 대한 / 달려 있다 / 어떻게 (학자들이) 문화에 대해서 정의를 내리느냐에

 

Box 문장의 마지막 부분인 culture is learned를 능동으로 바꾸어 해석하면 people learn culture가 되어 (C)의 첫부분인 People learn culture와 순접으로 이어지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A)-(C)-(B)

(B)-(A)-(C)

(B)-(C)-(A)

(C)-(A)-(B)

(C)-(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