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회 33번 빈칸유형] 수능영어해석법 영어독해 영어해석 혼자하기 영어모의고사풀이 부산진구 영어학원 영어독해 혼자하기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회 33번 빈칸유형] 수능영어해석법 영어독해 영어해석 혼자하기 영어모의고사풀이 부산진구 영어학원 영어독해 혼자하기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0. 23.

<첫 문장이 단정문 = 용어가 등장하는 문장인 유형>

<빈칸문장이 지시어 + 명사로 시작해서 바로 앞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봐야 하는 유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test 333번 빈칸유형)

 

Fashion is a way of communicating ideas, values, and aspirations through clothes.

 

패션은 옷을 통해 생각(여러가지 생각들), 가치관(), 열망()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communicate - : -를 전달하다

values : 가치관들

aspiration : 열망

 

<첫 문장인 이 문장은 A is B 즉 단정문이고 Fashion이란 하나의 용어가 등장하는 문장이므로 정답인 보기와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Fashion = clothes

communicating ideas, values, and aspirations = make the man

 

Through our clothing, we announce who we are, what we care about, and where we belong or aspire to belong in society.

 

우리의 옷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무엇에(무엇에 대해) 관심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사회 안에서 어디에 속해 있는지 또는 어디에 속하길 열망하는지를 말한다(알린다).

 

announce말하다가 아닌 알리다로 해석한다.

oraspire 사이에 생략된 where we를 넣어서 해석한다.

 

바로 앞 문장의 communicating ideas, values, and aspirations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문장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ometimes the message is obvious and direct, like the way an officer’s uniform conveys authority; other times, more inchoate and figurative, like the way a punk-rockgirl’s denim jacket covered with patches and pins conveys rebellious swagger.

 

때때로 그 메시지는 경찰관의 제복이 권위를 전달하는 방식처럼 분명하고 직설적이며(의미를 분명하고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이며), 다른 경우에는, (<여러>장식용)패치와 핀으로 덮인 펑크록 소녀의 청재킷이 반항적인 허세를(자신감 넘치고 당당하게 반항하는 태도를) 전달하는 방식처럼 더 미숙하고 비유적이다(분명하지 못하고 더 미숙하고 직접적이지 못하고 비유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메시지이다).

 

the message가 바로 앞 문장의 we announce 즉 우리가 알리는 그 메시지를 뜻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is obvious and direct 뒤에 주어인 message를 첨가해서 분명하게 의미를 전달하는 메시지이며 직접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메시지이다로 해석한다.

‘ ; ’', 말하자면의 뜻이다.

inchoate : 미숙한, 불완전한

figurative : 비유적인

swagger : 자신감 넘치고 당당한 태도

sometimes <obvious and direct> & other times <more inchoate and figurative>로 역접의미를 이루고 있다.

rebellious swagger반항적인 허세가 아니라 자신감 넘치고 당당하게 반항하는 태도라는 뜻이다.

 

Less obviously, but perhaps more importantly, fashion is a means of transforming our sense of self and our sense of our place in society what I will call, borrowing from the historian Stephen Greenblatt, self-fashioning.

 

덜 분명하지만, 아마도 더 중요하게, 패션은 사회 안에서() 우리의 자아의식과 우리의 위치에 대한 의식을 바꾸는(바꾸고자 하는) (하나의) 수단이라는 것인데, 즉 역사가 Stephen Greenblatt의말을 빌려 내가 셀프-패셔닝이라고 부르고자 하는 것이다.

 

borrowing은 분사구문이다, borrow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는 것이 아니라 self-fashioning이 목적어로 있기 때문에 현재분사 형태를 취하고 있다.

 

Clothing can also change our self-perception and affect our learning, development, and sense of possibility.

 

옷은 또한 우리의 자아 인식을(자신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고(바꾸어 줄 수 있고) 우리의 학습, 발달, 가능성에 대한 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로 앞 문장의 Fashion - transforming -Clothing can change가 순접의미로 also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andaffect 사이에 생략된 Clothing을 넣어서 해석한다.

sense of possibilitysense 앞에 생략된 our를 넣어서 우리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으로 해석한다.

 

In a sense, we become what we dress for: our clothing trains us to occupy a social role giving us confidence or weakening our courage, straightening our posture or forcing us to slouch, offering a sense of physical comfort and support or constraint and irritation.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는 우리가 그렇게 되기 위해 (옷을) 입은 바로 그 존재가 되는데, (말하자면) 우리의 옷은(우리가 입는 옷이) 우리에게 자신감을 주거나 우리의 용기를 약화시키고, 우리의 자세를 똑바르게 하거나 우리가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게 만들고(취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고), 신체적 안정과 지지의 감각(옷은 신체를 편안하게, 신체를 지지하게 해주고) 혹은 제약과 불편의 감각을(신체를 제약하고 신체에 자극을) 제공하면서 우리의 옷은 우리가 어떤 사회적 역할을 차지하도록 우리를 훈련한다(훈련시켜 준다).

 

In a sense는 순접의미이므로 바로 앞 문장의 Clothing can also change our self-perceptionwe become what we dress for순접의미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we become what we dress for : 우리는 우리가 입는 옷이 된다.

‘ ; ’', 말하자면의 뜻이다.

posture : 자세

slouch :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다

force 사람 to 동사원형은 사람이 -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다의 뜻이다.

offering a sense of physical comfort and support신체적 안정과 지지의 감각을 제공해주고보다는 ‘physical를 목적어로 해석해서 신체를 편안하게 해주고 신체를 지지해주고로 해석한다. 뒤의 (physical constraint and irritation'과 역접의미를 이루고 있다.

constraint and irritationconstraint앞에 생략된 physical을 넣어서 해석한다. ‘신체를 제약하고 신체에 자극을 주는으로 해석한다.

 

<마지막 문장이면서 빈칸문장인 문장이 지시어 + 명사In this respect로 시작하므로 바로 앞 문장인 이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we become what we dress for = clothes actually do make the man

 

In this respect, in contradiction to the old saying, ________.

 

이러한 면에서, 속담과는 반대되게, 옷이 사실상 정말로 그 사람을 만든다.

 

this respect가 바로 앞 문장의 we become what we dress for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respect는 이 문장에서는 존경, 존중이 아이라 ‘()이라는 의미이다.

 

 

clothes actually do make the man

good clothes cannot open all doors

beauty is, in fact, not in the eye of beholder

beauty is the food only for eyes, not for souls

expensive clothing cannot hide a man’s pov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