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친 부분이 비유적 표현인 유형>
구체적인 설명에 해당하는 바로 뒤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찾아 본다.(바로 뒷 문장이 이중구조 역접관계)
밑줄 친 driving with the emergency brake on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4년대비 수능완성 test 2회 21번)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quantum-mechanics revolution was made by a virtually orphaned generation of scientists.
양자 역학의 혁명이(양자역학이라는 혁명이) 사실상 고아가 된 과학자 세대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언급하는 것은 흥미롭다(사실에 주목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It은 가주어이므로 해석하지 않는다.
It is interesting to note -는 ‘흥미롭다’보다는 ‘흥미로운 일이다’로 해석한다
note that -는 ‘-라는 사실에 주목하다’의 뜻이다.
the quantum-mechanics revolution은 ‘양자역학 혁명’이 아니라 ‘복합명사’이므로 ‘양자역학이라는 혁명’으로 해석한다.
virtually : 사실상, 거의
orphaned : 고아가 된
Many members of the generation above them had been slaughtered in World War I.
그들 윗세대의 많은 구성원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학살당했다.
them은 바로 앞 문장의 orphaned generation of scientist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e generation above them는 ‘그들의 윗 세대’라는 의미이다.
had been으로 과거완료시제인 이유는 바로 앞 문장의 ‘고아가 된 과학자 세대가 일으킨 양자역학이라는 혁명’을 일으킨 시간이 과거인데 1차 세계대전은 그 이전의 시간이기 때문이다.
slaughter는 ‘학살하다’로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been slaughtered로 수동태 형태를 취하고 있다.
There simply weren’t many senior scientists around to tell them they were crazy.
그야말로 그들에게는 그들이 미쳤다고 말할 선배 과학자들이 주변에 많지 않았다.
바로 앞 문장의 Many members of the generation above them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many senior scientists가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imply는 ‘정말로, 그야말로’의 뜻이다. ‘간단하게, 단순하게’의 뜻이 아니다.
to tell them에서의 to는 ‘-할 수 있는’의 뜻이다. 앞의 many senior scientists를 수식하고 있다.
them, they는 바로 앞 문장의 them 즉 orphaned generation of scientists를 가리키고 있다.
Today, for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s to survive, they have to do things that people near retirement can understand.
오늘날 대학원 학생과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연구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은퇴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일(들)을 해야만 한다.
바로 앞 문장까지가 과거에 대한 진술이고 이 문장부터 쭈욱 Today 즉 현재에 대한 진술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em은 바로 앞 문장의 the, they 즉 orphaned generation of scientists를 가리키고 있다.
graduate students : 대학원생들
postdocs : 박사학위를 취득한 연구원들
for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s to survive,에서 for는 뒤의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이므로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Doing science this way is like driving with the emergency brake on.
이런 식으로 과학을 하는 것은 비상 브레이크를 밟고 운전하는 것과 같다.
this way가 바로 앞 문장의 방식 즉 ‘은퇴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일들을 하는 방식’을 가리키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with the emergency brake on에서 즉 ‘with + 명사 + 전치사’에서 with는 ‘-한 채로, -하면서’로 해석한다. on은 ‘켜다’의 뜻인데 브레이크이므로 ‘밟은’으로 해석한다.
Science requires a balance between rebellion and respect, so there will always be arguments between radicals and conservatives.
과학은 반항과 존중 사이의 균형을 필요로 하고, 급진파와 보수파 사이에(는) 항상 논쟁이(여러 논쟁들이) 있기 마련이다.
바로 앞 문장의 driving with the emergency brake on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rebellion, radicals가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A require B'는 ’A에는 B가 필요하다‘로 해석한다.
there will always be -에서 will은 ‘-하기 마련이다, -하는 경향이 있다’의 뜻이다.
arguments : 여러 논쟁들
바로 앞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이 비유적인 표현이므로 그 비유적인 표현을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바로 뒷 문장인 이 문장에 나와 있는 단어들과 동의어 관계가 성립하는 보기가 정답이 된다. 또한 이 문장은 이중구조(역접관계)이므로 정답인 보기도 이중구조(역접관계)를 나타내는 보기가 정답이 된다.
보기⑤ experiencing restraints when trying to make revolutionary changes는 이중구조(역접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respect, conservatives = restrains
rebellion, radicals = make revolutionary changes
But there is no balance in the current academic world.
하지만 현재의 학계에서는 균형이 없다.
But 바로 앞 문장의 require a balance와 But 뒤의 there is no balance가 역접 내용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More than at any time in the history of science, the cards are stacked against the revolutionary.
과학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어떤 때에 있어서 보다도) (더), 혁명가는 지극히 불리한 입장에 있다.
바로 앞 문장의 ‘현재의 학계’를 더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문장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revolutionary : 혁명가
the cards are stacked against - : -는 지극히 불리한 입장에 있다
Such people are simply not tolerated in the research universities.
그런 사람들은 연구 대학에서(연구 중심의 대학들에서는) 그야말로 용인되지 않는다.
바로 앞 문장의 the revolutionary(‘the 형용사’로 복수보통명사 혁명가들) 즉 혁명가들을 such people가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imply는 ‘정말로, 그야말로’의 뜻이다.
tolerate은 ‘용인하다, 용납하다’의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are tolerated 수동태 형태로 쓰여져 있다.
research universities는 ‘연구 대학들’이 아니라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대학들’로 해석한다.
Little wonder, then, that even when the science clearly calls for one, we can’t seem to pull off a revolution.
✽slaughter: 학살하다
그렇다면, 과학이 분명히 혁명을 요구한다고 해도, 우리가 그것을(혁명을) 해낼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then이 ‘그렇다면’의 뜻인데 바로 앞 문장의 ‘그런 사람들이 용인되지 않는다면’의 뜻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en : 그렇다면
Little wonder that - : -는 조금도 놀랄 일이 아니다
call for - : -를 요구하다
one은 ‘revolution’을 지칭한다.
put off - : -(힘든 일)을 해내다
① convincing science deniers to reconsider their beliefs
② stopping the expansion of non-scientific arguments
③ proposing accurate predictions about natural phenomena
④ encouraging novelty-seeking behavior with meaningful reward
⑤ experiencing restraints when trying to make revolutionary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