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문장 + 두 번째 문장’이 이중구조(역접관계)인 유형>
1. But 이하만 주제문인 유형
2. A But B에서 A, B 둘다 정답인 보기에 들어가는 유형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3년 9월 고1 영어모의고사 24번 글의 제목 유형)
We think we are shaping our buildings.
우리는 우리가 건물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But really, our buildings and development are also shaping us.
그러나 실제로 우리의 건물과 개발도(우리가 짓는 건물들과 우리가 개발하는 것) 또한 우리를 형성하고 있다.
But 앞과 뒤 부분이 역접관계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our buildings and development는 ‘우리의 건물과 개발’이 아니라 ‘우리가 짓는 건물들과 우리가 개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첫 문장과 두 번째 문장이 이중구조 역접관계를 이루고 있고 But 이하를 더 강조하는 구문이므로 주제문이다.
<주제문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
Buildings = buildings
shaping = transform
us = how we live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is is the oldest-known construction: the ornately carved rings of standing stones at Göbekli Tepe in Turkey.
이것의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건축물인 튀르키예의 Göbekli Tepe에 있는 화려하게 조각된 입석의 고리이다(입석들로 이루어진 고리들이다).
this가 바로 앞 문장의 내용 전체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carve(조각하다)는 명사 rings 앞에 있고 수동관계이므로 과거분사 형태를 취ㅏ고 있다.
rings 뒤의 of는 ‘-의’보다는 ‘-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된’으로 해석한다.
Before these ancestors got the idea to erect standing stones some 12,000 years ago, they were hunter-gatherers.
이 조상들이 약 12,000년 전에 입석을 세우는 아이디어를 얻기 전에 그들은 수렵 채집인이었다.
these ancestors가 바로 앞 문장의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건축물’을 지은 조상들을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erect : 세우다, 건립하다
ago는 과거시제를 사용해야 한다.
It appears that the erection of the multiple rings of megalithic stones took so long, and so many successive generations, that these innovators were forced to settle down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works.
거석으로 된(이루어진) 여러 개의 고리를 세우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고 많은 잇따른 세대를 거쳤어야 해서(여러 후세 세대의 시간이 걸려야 했다 그래서) 이 혁신가들은 건설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정착해야만 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se innovators가 바로 앞 문장의 these ancestor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It appears that -는 ‘-인 것 같다, -처럼 보인다’의 뜻이다.
the erection 뒤의 of는 ‘-을/를’의 뜻이고, the multiple rings 뒤의 of는 ‘-으ㅗ 구성된, -으로 이루어진’의 뜻이다.
that these innovators에서 that은 앞에 so가 있기 때문에 ‘그래서, 그결과’로 해석한다.
be forced to 동사원형 : -할 수 밖에 없다, 어쩔 수없이 -해야 하다
settle down : 정착하다
In the process, they became the first farming society on Earth.
그 과정에서, 그들은 지구상 최초의 농업 사회가 되었다.
the process가 바로 앞 문장의 건설과정을 가리키고 they도 바로 앞 문장의 these innovator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is is an early example of a society constructing something that ends up radically remaking the society itself.
이것은 결국 사회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는 무언가를 건설하는 사회의 초기 예이다.
This가 바로 앞 문장까지의 사례 이야기 전체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construct는 명사 society 뒤에 있고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있으므로 현재분사 형태를 취하고 있다.
end up -ing : 결국에는 -하다
Things are not so different in our own time.
* ornately: 화려하게 ** megalithic: 거석의
우리 (자신의) 시대에도 상황이 그렇게(아주) 다르지 않다.
Things는 ‘상황’이란 의미이다.
① Buildings Transform How We Live!
② Why Do We Build More Than We Need?
③ Copying Ancient Buildings for Creativity
④ Was Life Better in Huntergatherer Times?
⑤ Innovate Your Farm with New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