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유형>
(A), (B), (C) 첫 문장 모두에 ‘지시어 + 명사’ 혹은 ‘접속사’를 주는 유형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정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2 36번)
Like positive habits, bad habits exist on a continuum of east-to-change and hard-to-change.
해설본 : 긍정적인 습관과 마찬가지로, 나쁜 습관은 바꾸기 쉬움과 바꾸기 어려움의 연속체에 존재한다.
수정본 : 긍정적인 습관들처럼 / 나쁜 습관들도 존재한다 / 연속체 상에 / 바꾸기 쉬운 습관과 바꾸기 어려운 습관으로 이루어진
1. continuum 뒤의 of는 ‘-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되어 있는’의 의미이다.
2. ‘바꾸기 쉬움, 바꾸기 어려움’보다는 ‘바꾸기 쉬운 습관’과 ‘바꾸기 어려운 습관’으로 해석한다.
(A) But this kind of language (and the approaches it spawns) frames these challenges in a way that isn’t helpful or effective. I specifically hope we will stop using this phrase: “break a habit.” This language misguides people. The word
“break” sets the wrong expectation for how you get rid of a bad habit.
해설본 :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언어(그리고 그것이 낳는 접근법)는 도움이 되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이러한 도전에 틀을 씌운다. 나는 특히 우리가 ‘습관을 깨다’라는 문구를 그만 사용하기를 바란다. 이 언어는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이끈다. ‘깨다’라는 단어는 나쁜 습관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형성한다.
수정본 : 그러나 / 이런 종류의 언어는(그리고 그것이 낳는 접근법은) 틀을 씌운다 / 이러한 도전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에 / 방식으로 / 도움이 되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은. 나는 특히 바란다 / 우리가 중단하기를 / 이러한 어구들을 : “습관 깨기‘라는. 이런 언어는 잘못 이끌고 간다 / 사람들을. ”break"라는 단어는 세우게 한다 / 잘못된 기대를 / 여러분들이 나쁜 습관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
1. (C)문장의 끝부분("깨기“와 ”싸우기“같은 언어는 적극적으로 패배시킨다 - 긍정적)과 (A)문장의 첫 문장이(도움이 되지 않고 효과적이지 않다 -= 부정적) But 역접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지시어 this kind of language가 "breaking' or "battling'을 지칭하고 있어서 (C)부분과 이어짐을 알 수 있다.
2. challenges는 ‘도전'보다는 ‘도전해서 극복해야 할 문제들’로 해석하는 것이 더 좋다.
(B) This word implies that if you input a lot of force in one moment, the habit will be gone. However, that rarely works, because you usually cannot get rid of an unwanted habit by applying force one time.
해설본 : 이 단어는 여러분이 한순간에 많은 힘을 가하면, 그 습관이 없어질 것이라고 암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거의 효과가 없는데 왜냐하면 대체로 여러분이 한 번 힘을 가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을 없앨 수 없기 때문이다.
수정본 : 이 단어는 암시한다 / -을/를 / 만약 여러분들이 투입하면 / 많은 힘을 / 한 순간에 / 그 습관은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그러나 / 그것은 거의 효과가 없다 / 왜냐하면 / 여러분들은 보통 없앨 수 없기 때문이다 / 원치 않는 습관을 / 힘을 적용함으로써 / 한번에
1. This word가 (A) 끝문장에 나오는 “breaking'을 지칭하기에 (A)와 이어짐을 알 수 있다.
2, input은 원래 의미대로 ‘투입하다’로 해석해도 좋다
3. work은 ‘효과를 내다’의 뜻이다.
(C) When you get toward the “hard” end of the spectrum, note the language you hear — breaking bad habits and battling addiction. It’s as if an unwanted behavior is a nefarious villain to be aggressively defeated.
* spawn: 낳다 ** nefarious: 사악한
해설본 : 그 연속체의 ‘어려움’의 끝에 가까워질 때, 여러분이 듣는 언어, 즉 나쁜 습관을 ‘깨기’와 중독과 ‘싸우기’에 주목하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마치 격렬하게 패배시켜야 할 사악한 악당인 것 같다.
수정본 : 여러분들이 가까워 졌을 때에는 / “어려운 습관” 부분의 끝에 / 그 연속체의 / 주목하라 / 여러분들이 듣는 언어에 - 나쁜 습관 ‘깨기’와 중독되는 것과 ‘싸우기’ 라는 / 그런 언어(말)는 마치 원치않는 행동은 사악한 악당과 같다(라는 말이다) / 적극적으로 패배시켜 나가야 할
1, get toward - : -에 가까워지다
2. box 문장의 a continuum을 the spectrum으로 받았기에 이어지는 문장이다.
3. hard는 ‘어려움’보다는 ‘어려운 습관’으로 해석한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7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02 |
---|---|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6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02 |
[영어해석법 & 영어단어 외우는 법]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4번 3단계영어학원 (0) | 2023.03.30 |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2 35번] 3단계영어학원영어단어 외우는 법 (0) | 2023.03.30 |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2 34번] 3단계영어학원 영어단어 외우는 법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