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6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6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4. 2.

<글의 순서 유형>

접속사 혹은 전체적, 추상적 의미의 단어와 부분적, 구체적 의미의 단어들을 주는 유형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33월 영어모의고사 고1 36)

 

In the Old Stone Age, small bands of 20 to 60 people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in search of food. Once people began farming, they could settle down near their farms.

 

해설본 : 석기 시대에는 2060명의 작은 무리가 식량을 찾아 이곳저곳을 돌아다녔다. 단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자신들의 농경지 근처에 정착할 수 있었다.

 

수정본 : 석기 시대에는 / 조그만 무리들이 / 20에서 60명으로 구성된 / 돌아 다녔다 / 이곳에서 자곳으로 / 식량을 찾아서. 일단 사람들이 농사짓는 것을 시작했을 때 / 사람들은 정착할 수 있었다 / 자신들의 농경지 근처에

 

1. bands 뒤의 of‘-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된의 뜻이다.

2. ‘Once + 주어 + 동사 -’일단 -하면, 일단 -할 때로 해석한다.their farms에서 their은 주어와 같으므로 자기자신의로 해석한다.

 

(A) While some workers grew crops, others built new houses and made tools. Village dwellers also learned to work together to do a task faster.

 

해설본 : 어떤 노동자들은 농작물을 재배한 반면, 다른 노동자들은 새로운 집을 짓고 도구를 만들었다. 마을 거주자들은 또한 일을 더 빨리 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것도 배웠다.

 

수정본 : 반면에 / 몇몇 일하는 사람들은 농작물을 재배했다 / 다른 일하는 사람들은/ 짐을 지었고 도구들을 만들었다. 마릉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또한 배웠다 / 함께 일하는 방법/ 일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

 

1. (C)의 끝부분에 They could divide up the work이 있고 이 Theypeople(전체적 표현)을 지칭하고 그 구체적인 것에 해당하는 단어 some workers가 나오므로 전체적 내용과 부분적 내용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2. madebuilt와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다.

 

(B) For example, toolmakers could share the work of making stone axes and knives. By working together, they could make more tools in the same amount of time.

 

해설본 : 예를 들어, 도구 제작자들은 돌도끼와 돌칼을 만드는 작업을 함께 할 수 있었다. 께 일함으로써, 그들은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도구를 만들 수 있었다.

 

수정본 : 예를 들어 / 도구를 만드는 사람들은 공유할 수 있었다 / 일을 / 돌도끼와 돌칼을 만드는. 함께 일을 함으로써 / 그들은 만들 수 있었다 / 도구들을 더 많이 / 시간의 양이 똑같을 때에 

 

1. (A)village dwellers가 전체적 의미의 단어이고 그 구체적인 예에 해당하는 단어가 toolmakers이어서 for example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2. in the same amount of time같은 시간 안에보다는 시간의 양이 똑같을 때에도로 해석한다. in‘-할 때의 의미로 해석해도 괜찮다.

 

(C) As a result, towns and villages grew larger. Living in communities allowed people to organize themselves more efficiently. They could divide up the work of producing food and other things they needed.

                                                                                                                                                        * dweller: 거주자

 

해설본 : 그 결과, 도시와 마을이 더 커졌다. 공동체 생활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들을 더 효율적으로 조직할 수 있었다. 그들은 식량과 자신들에게 필요한 다른 것들을 생산하는 일을 나눌 수 있었다.

 

수정본 : 그 결과 / 도시들과 마을들이 점점 더 커졌다. 공동체 속에서 살았기 때문에 / 람들은 조직할 수가 있었다 / 자시자신들을 / 더 효율적으로 (이전보다). 사람들은 나눌 수가 있었다 / 완전히 / 일을 / 식량을 생산하는 / 그리고 자신들에게 필요한 다른 일들을 (완전히 나눌 수가 있었다)

 

1. Box문자에 정착할 수 있었다가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 (C)의 내용 get larger가 되었기As a resultBox문장과 이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roducing food의 구체적인 표현이 grew crops이고 other things they needed의 구체적인 표현이 built new houses and made tools이다.

 

 

2. ‘get + 비교급점점 더 -해지다로 해석한다.

3. Living은 사물주어이므로 ‘--해서, -때문에로 해석한다.

4. more efficiently 뒤에 구석기 시대 때보다가 생략되어 있다.

5. divide up에서 up완전히, 모두, 철저하게의 뜻이다.

6. andother사이에는 They could divide up이 생략되어 있으므오 넣어서 해석한다.

 

(A) - (C) - (B) (B) - (A) - (C)

(B) - (C) - (A) (C) - (A)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