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문장 속에 순접 기능어가 있는 유형>
긍정적 내용 + 순접기능어(and therefore) + 긍정적 내용
부정적 내용 + 순접기능어(and therefore) + 부정적 내용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2023년 3월 고2 영어모의고사 30번)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해설본 : Robert Blattberg와 Steven Hoch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관성이 항상 장점인지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과 인간이 판단하는 것의 이점 중 하나는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수정본 : Robert Blattberg와 Steven Hoch는 언급했다(주목했다) / -사실을(-사실에) / 환경이 변할 때에는 / 분명하지 않다는 /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항상 장점이다 라는 것이 / 그리고 -라는 것이 / 유리한 점들 중의 하나는 / 인간이 판단을 할 줄 안다는 것이 가진 /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변화를
1, note는 ‘주목하다’ ‘언급하다’ 둘 다 해석으로 괜찮다
2, 타동사 뒤의 that은 ‘-라고, -라는 사실을/를’로 해석한다.
3, in a changing environment에서 in은 ‘when'으로’, changing environment는 ‘변화하는 환경’이 아니라 ‘환경이 변하다’로 해석한다.
4. it is not clear that에서 it은 가주어 that이하가 진주어인 구문이다.
5. consistency는 ‘일관성’보다는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6. and와 that 사이에는 it is not clear가 생략되어 있어 넣어서 해석한다.
7. advantage 뒤의 of는 ‘-을 가지고 있는’으로 해석한다.
8. human judgment는 ‘인간이 판단을 할 줄 안다는 것’으로 해석한다.
9. ‘be the abiliity to 동사원형'은 ‘-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can 동사원형' 즉 ‘-할 수 있다’로 해석한다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it might be ①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해설본 : 따라서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인간의 판단과 통계 모델들을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수정본 : 따라서 / 환경이 변활 때에는 / 유리할 지도 모른다 / 결합시키는 것이 / 인간이 하는 판단과 통계가 제시해주는 모형들을
1, 앞 문장과 이어짐을 나타내는 어구는? : thus
2. in a changing environment에서 in은 ‘when'으로’, changing environment는 ‘변화하는 환경’이 아니라 ‘환경이 변하다’로 해석한다.
3. human judgment는 ‘인간이 내린 판단’으로 해석한다.
4. statistical models은 ‘통계모형들’이 아니라 ‘통계가 제시해준 모형들’로 해석한다
5. advantage가 맞는 이유? : thus 앞 문장 내용은 인간이 내리는 판단에 대해 명확하지 않다라고 부정적이기 때문에 thus 뒤에는 둘(인간판단과 통계모형)을 합친 것이 긍정적이 된다.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and then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②past data.
해설본 : Blattberg와 Hoch는 슈퍼마켓 관리자들에게 특정한 제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게 한 다음, 이 판단을 지난 데이터에 근거한 통계 모델의 예측과 평균을 내어 종합적인 예측을 생성해 봄으로써 이러한 가능성을 조사했다.
수정본 : Blattberg와 Hoch는 조사를 했다 / 이러한 가능성을 / 수퍼마켓 관리자들이 예측을 하게 함으로써 / 수요를 / 특정한 제품들에 대한 / 그리고 나서 / 종합적인 예측을 만들어 냄으로써 / 평균을 냄으로써 / 이러한 판단들과 / 통계가 제시해준 모형들이 한 예측들과 / 과거의 데이터를 근거로 해서
1, 앞 문장과 이어짐을 나타내는 어구는? : this possibility이 앞 문장의 might be와 동의어 관계이다.
2. forecast로 동사원형인 이유는? : 앞에 사역동사 having이 있다
3. then과 creating 사이에는 by가 생략되어 있어 creating 동명사 형태가 온다.
4. these judgment는 ‘수퍼마켓 관리자가 수요에 대해 내린 판단’을 지칭한다.
5. forecast of -에서 of는 ‘-은/는/이/가’의 의미이다.
6. 앞에 statitical 통계가 나오므로 past가 맞다 (통계는 과거의 자료를 통계내는 것)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③deny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해설본 : (그들의) 논리는 통계 모델들은 변동이 없는 조건을 부정하기 (→가정하기) 때문에 경쟁자들에 의해 취해진 행동이나 신제품의 도입과 같은 새로운 사건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수정본 : (Blattberg와 Hoch가 내세우는) 논리는 / -였다 / 통계가 제시해 준 모형들은 부인한다는 것 / 변동이 없는 조건들을 / 따라서 /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였다) / 수요에 미치는 영향들을 / 새로운 사건들이 / -와 같은 / 여러 행동들 / 경쟁자들이 취한 / 혹은 / 도입한 것(과 같은) / 새로운 제품들을
1. The logic은 Blattberg와 Hoch가 내세우는 그 논리를 말한다.
2, deny가 맞지 않는 이유는 뒤에 and therefore(원인&결과)가 있고 그 내용이 cannot account for - new ...로 부정적 내용이기에 and therefore 앞부분도 긍정적 내용이 되려면 deny stable은 문맥상 안맞는 표현이다(stable은 긍정적 의미의 단어임)
3. of novel events에서 of는 ‘-은/는/이/가’이다.
4. introduction of -에서 of는 ‘-을/를’의 의미이다.
5. stable은 dl 문장에서는 ‘안정적인’보다는 ‘변화가 없는’이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Humans, however, can ④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해설본 : 그러나 인간은 이러한 새로운 요인들을 자신들의 판단에서 통합할 수 있다.
수정본 : 인간들은 / 그러나 / 통합할 수 있다 / 이러한 새로운 요인들을 / 자신들이 판단을 내릴 때
1. however로 이어지는 이유는? 앞 문장 - 통계모형의 단점지적, 뒷문장 - 인간(판단)의 장접 + these novel factors
2, these novel factors가 지칭하는 바는? : novel events
3, in their judgments는 ‘자신들의 판단에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판단을 내릴 때’가 맞는 해석이다. in 은 ‘=할 때’로 해석해야 한다.
4. 앞 문장은 novel events를 설명할 수 없다로 부정적 however 뒤에는 긍정적인 내용이 와야 하기에 incorporate이 문맥상 맞는 표현이다.
The composite─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 ─proved to be more ⑤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orking alone.
해설본 : 종합된 것, 즉 인간의 판단과 통계 모델의 평균이 통계 모델이나 관리자들이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수정본 : 종합된 것 - 혹은 평균을 낸 것 / 인간이 내리는 판단들과 통계가 제시해준 모형들을 / - 증명되었다 / 더 정확하다고 / =보다 / 통계가 제시해준 모형들 혹은 관리자들이 혼자서 일한 것 둘 중 어느 하나(보다)
* composite: 종합적인; 종합된 것
1. ‘average of -’는 ‘-의 평균’이 아니라 ’-를 평균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2. 인간판단 혹은 통계모형 둘 중 하나보다라고 나와 있기에 more accurate이 문맥상 맞는 표현이다.
'수능영어해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해석법 & 20234년 수능특강영어 20강 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05 |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0강 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05 |
[영어해석법&영어단어 : 2023년 3월 영어모의고사 고1 2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3.25 |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고2 영어모의고사 2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방법 (0) | 2023.03.24 |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2024년수능특강영어 18강 1-2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