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 유형>
밑줄 친 부분이 있는 문장에 대명사가 있고 이중구조인 문장은 바로 앞 문장에서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밑줄 친 a nonstick frying pan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4년대비 수능영어 21번) 3점 정답 ④
How you focus your atten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how you deal with stress.
해설본 : 여러분이 여러분의 주의를 집중하는 방식은 여러분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정본 : 방식은 / 여러분이 집중시키는 /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관심을 / 하나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방식에서 / 여러분이 스트레스를 다루는
How를 뒷부분의 내용과 맞지 않은데 ‘어떻게’로 해석하면 안된다. ‘방식’으로 해석해야 한다.
attention을 ‘주의’로 해석하는 것도 우리말에 안 어울린다. ‘주목, 집중’으로 해석하는 것도 문맥에 맞지 않는 해석이다. ‘관심’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해석이다.
plays a critical role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로 해석하는 것도 잘못이다. a critical role이라고 단수로 나와 있으니 ‘한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다’로 해석해야 한다.
Scattered attention harms your ability to let go of stress, because even though your attention is scattered, it is narrowly focused, for you are able to fixate only on the stressful parts of your experience.
해설본 : 주의가 분산되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능력이 손상되는데, 왜냐하면 여러분의 주의가 분산되더라도, 여러분은 여러분의 경험 중 스트레스가 많은 부분에만 집착할 수 있으므로, 그것이 좁게 집중되기 때문이다.
수정본 : 관심이 분산되면 / 그것은 손상시킨다 / 여러분의 가진 능력을 /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 왜냐하면 / 비록 여러분의 관심이 분산되더라도 / 여러분은 여러분의 관심을 좁게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 여러분이 집착할 수 있기 때문에 / (여러분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부분들에만 / 여러분이 경험한
Scattered attention를 ‘분산된 주의, 집중, 주목’으로 해석하면 우리말에 맞지 않는 모호한 해석이 된다. 사물주어 구문이기도 해서 ‘관심이 분산되면’으로 해석하고 harms의 주어이기 때문에 ‘그것은’으로 한 번 더 해석해 준다.
ability 뒤의 to 정사의 to는 ‘-할 수 있는’으로 해석한다.
‘let go of -’는 ‘놓아 주다’의 뜻인데 stress와 관련해서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다, 풀다’로 해석한다.
it is narrowly focused에서 it은 your attention이고 능동으로 바꾸어 해석해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관심을 좁게 집중시킨다’로 해석한다. narrowly를 ‘편협하게’로 해석하면 정말 잘못 해석하는 것이고 수동태 그대로 ‘그것은 좁게 집중된다’라고 해석하는 것도 우리말에 맞지 않게 해석해서 학생들이 영어해석이 어렵다고 느끼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 , for + 주어 + 동사 -’에서 for는 because의 뜻이다.
fixate on - : -에 집착하다
of your experience는 ‘여러분의 경험 중에서’로 해석하면 너무나 영어해석이 서툰 틀린 해석이다. of 뒤에 단수명사가 있으면 '-중에서'라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안된다. ‘여러분이 경험한’으로 해석해야 한다.
When your attentional spotlight is widened, you can more easily let go of stress.
해설본 : 여러분의 주의의 초점이 넓어지면, 여러분은 스트레스를 더 쉽게 해소할 수 있다.
수정본 : 여러분의 관심이 집중조명되는 범위가 넓어지게 되면 / 여러분은 더 쉽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your attentional spotlight is widened는 spotlight가 우리밀로 ‘집중조명’이므로 ‘여러분의 관심이 집중조명되는 범위’로 해석한다. 뒤에 is widened가 있으므로 ‘범위’를 넣어서 해석한다.
You can put in perspective many more aspects of any situation and not get locked into one part that ties you down to superficial and anxiety-provoking levels of attention.
해설본 : 여러분은 어떤 상황이라도 그 상황의 더 많은 측면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볼 수 있으며, 피상적이고 불안을 유발하는 주의 수준으로 여러분을 옭아매는 한 부분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
수정본 : 여러분은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 더 많은 측면들을 / 어떤 상황이 가지고 있는 / 그리고 / (여러분의 관심은) 갇혀 있지 않을 수 있다 / 한 부분 안에 / 여러분의 관심을 묶고 좁혀서 / 그 결과 (여러분의 관심이) 피상적이고 불안감을 유발하는 수준들의 관심으로 되게 하는
‘put in perspective -’는 ‘-를 전체적으로 바라보다’의 뜻이다. perspective를 ‘시야’라든지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은 문맥을 보지도 않고 단어 그대로 해석하는 잘못된 해석이다.
many more -도 ‘훨씬 더 많은 -’가 아니다. much more이 ‘훨씬 더’의 뜻이다. ‘더 많은 -’로 해석한다.
of any situation에서 of는 ‘-의’가 아니라 ‘ -은/는/이/가 + 가지고 있는’으로 해석한다.
ties you down to -는 ‘-으로 옭아매는’이 아니다. ‘묶다, 제한하다’로 해석하는 것도 down을 무시하고 해석하는 잘못된 해석이다. down은 ‘small, 작게, 좁히다’의 뜻이므로 ‘여러분의 관심을 묶고 좁혀서’로 해석한다. you는 문맥에 맞게 ‘여러분의 관심’으로 해석한다.
ties you down to -에서 to는 ‘그 결과 -되다’의 뜻이다.
A narrow focus heightens the stress level of each experience, but a widened focus turns down the stress level because you’re better able to put each situation into a broader perspective.
해설본 : 초점이 좁으면 각 경험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지만, 초점이 넓으면 여러분은 각 상황을 더 넓은 시각으로 더 잘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진다.
수정본 : 초점이 좁아지면 그것은 높아지게 만든다 / 스트레스 수준을 / 각 경험이 발생시키는 / 그러나 / 초점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면 그것이 낮춰준다 / 스트레스 수준을 / 왜냐하면 / 여러분이 더 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각 상황을 / 더 (범위가) 넓은 관점에서
A narrow focus heightens은 ‘좁은 초점’이 아니라 사물주어 구문이므로 if를 첨가해서 ‘초점(-의 범위)가 넓어지면 그것은 높아지게 만든다’로 해석한다.
of each experience에서 of는 ‘-의’가 아니라 ‘-은/는/이/가 + -ㄴ’로 해석한다.
a widened focus turns down도 ‘넓어진 초점’이 아니라 사물주어 구문이므로 ‘초점(의 범위)가 넓어지면 그것은’으로 해석한다.
put each situation into a broader perspective에서 put은 문맥에 맞추어 ‘-를 넣다’의 뜻이지만 문맥상 ‘보다’로 해석한다.. 이 문장에서는 perspective는 ‘관점’이란 뜻이다. ‘각각의 상황을 더 넓은 관점 안으로 넣어 본다’가 원래 의미이다.
One anxiety-provoking detail is less important than the bigger picture.
해설본 : 불안감을 유발하는 하나의 세부 사항은 더 큰 전체적인 상황보다 덜 중요하다.
수정본 : 불안감을 유발하는 한 가지 세부 사항은 / 덜 중요하다 / 더 큰 그림보다(=더 큰 전체보다)
<밑줄 친 부분이 있는 문장에 대명사 It이 있고 두 개를 비교하는 이중구조 문장이기 때문에 바로 앞 문장인 이 문자에서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detail = its stressful aspects
the bigger picture = having a larger view of
이 문장에서의 picture은 비유적인 표현이므로 ‘그림’보다는 ‘전체’로 해석한다.
It’s like transforming yourself into a nonstick frying pan.
해설본 : 그것은 여러분 자신을 들러붙지 않는 프라이팬으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다.
수정본 : 그것은 변형시키는 것과 같다 / 여러분 자신을 / 들러붙지 않는 프라이 팬으로
You can still fry an egg, but the egg won’t stick to the pan. *provoke 유발시키다
해설본 : 여러분은 여전히 달걀을 부칠 수 있지만, 그 달걀이 팬에 들러붙지 않을 것이다.
수정본 : 여러분은 여전히 계란 후라이를 할 수 있다 / 그러나 / 그 계란은 들러 붙지 않을 것이다 / 그 후라이팬에
① never being confronted with any stressful experiences in daily life
② broadening one’s perspective to identify the cause of stress
③ rarely confining one’s attention to positive aspects of an experience
④ having a larger view of an experience beyond its stressful aspects
⑤ taking stress into account as the source of developing a wide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