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2년 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8번 문장끼워 넣기 유형 영어구문독해 영어직독직해 고1 영어모의고사풀이 고2 영어모의고사 풀이 고3 영어모의고사풀이 수능특강영..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2년 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8번 문장끼워 넣기 유형 영어구문독해 영어직독직해 고1 영어모의고사풀이 고2 영어모의고사 풀이 고3 영어모의고사풀이 수능특강영..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2. 11.

<문장끼워 넣기 유형>

Box 문장이 역접 기능어 Nevertheless로 시작하는 유형(글의 소재에 대한 긍정적 내용)은 글의 소재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끝난 바로 뒤에 들어가야 한다.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2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8번 문장끼워 넣기 유형) 3점 정답

 

Nevertheless, language is enormously important in human life and contributes largely to our ability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dealing with the world.

 

해설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어는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며 세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 서로 협력하는 우리의 능력에 상당히 기여한다.

 

수정본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언어는 엄청나게 중요하다 / 인간의 생활에서 / 그리고 대게 이바지 하고 있다 / 우리의 능력에 / 서로 협력할 수 있는 / 세계를 다루는데 있어서

 

Nevertheless로 시작하는 문장인데 language에 대한 긍정적 내용이다. 따라서 바로 앞 문장의 내용은 language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끝나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human life인간의 삶혹은 인간의 생활로 해석해도 어울리는 해석이다.

in dealing with the world에서 in‘-할 떼, -하는데에 있어서로 해석한다.

 

Should we use language to understand mind or mind to understand language?

 

해설본 : 우리는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가 아니면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 사고를 사용해야 하는가?

 

수정본 : 우리는 언어를 사용해서 / 마음을 이해해야 하는가? / 아니면 / 마음을 사용해서 / 언어를 이해해야 하는가?

 

use A to 동사원형은 ‘A를 사용해서 -하다로 해석한다.

mind사고로 해석해도 좋은 해석이다.

 

( ) Analytic philosophy historically assumes that language is basic and that mind would make sense if proper use of language was appreciated.

 

해설본 : 분석 철학은 언어가 기본이고 적절한 언어 사용이 제대로 인식된다면 그 사고가 이치에 맞을 것이라고 역사적으로 가정한다.

 

수정본 : 분석 철학의 역사에서는 가정을 한다 / -라고 / 언어는 기본적인 것이다라고 / 그리고 가정을 한다 / 마음은(=사고는) 이치에 맞게 될 것이다라고 /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했다 라는 것이 인식된다면

 

Analytic philosophy historically assumes분석 철학은 역사적으로 가정한다로 해석하면 의미가 제대로 파악이 안되는 해석이다. ‘분석 철학의 역사에서는 -라고 가정을 한다로 해석한다.

타동사 assume 뒤의 that‘-/, -라고, -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andmind 사이에 생략된 Analytic philosophy historically assumes를 넣어서 해석한다.

make sense : 이치에 맞다, 타당하다

proper use of language적절한 언어 사용보다는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 ) Modern cognitive science, however, rightly judges that language is just one aspect of mind of great importance in human beings but not fundamental to all kinds of thinking.

 

해설본 : 그러나 현대 인지 과학은 언어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사고의 한 측면일 뿐 모든 종류의 사고에 근본적이지는 않다고 당연히 판단한다.

 

수정본 : 현대 인지 과학은 / 그러나 / 올바른 판단을 하고 있다 / -라고 / 언어는 마음을 구성하는 단지 한 측면일 뿐이다라고 / 아주 중요한 / 인간 존재에게 있어서는 / 그러나 근본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모든 종류의 생각에

 

rightly judges that -’‘-라고 당연히 판단한다는 어색한 해석이다. ‘-라고 올바른 판단을 하고 있다, -라고 올바르게 판단을 하고 있다로 해석한다.

one aspect of mind에서의 of는 단순히 ‘-보다는 ‘-를 구성하고 있는, -으로 이루어진의 뜻이다.

of great importance에서 of importanceimportant의 뜻이다.

in human beings인긴에게가 아니라 인간 존재에게 있어서는의 뜻이다.

 

( ) Countless species of animals manage to navigate the world, solve problems, and learn without using language, through brain mechanisms that are largely preserved in the minds of humans.

 

해설본 : 수많은 종의 동물들이 인간의 사고 속에 대체로 보존된 두뇌의 메커니즘을 통해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세계를 항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해낸다.

 

수정본 : 수 많은 종의 동물들은 / 용케도 세계를 항해를 하고,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리고 학습하는 것을 해낸다 /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 두뇌 메카니즘을 통해 / 대개 보존되어 있는 / 인간의 마음들 속에

 

manage to 동사원형 : 용케도 -를 해내다

 

( ) There is no reason to assume that language is fundamental to mental operations.

 

해설본 : 언어가 정신 작용의 기본이라고 가정할 이유는 없다.

 

수정본 : 이유는 없다 / 가정을 할 / -라고 / 언어는 근본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 마음을 작동시키는 것에

 

assume 뒤의 that‘-라고의 뜻이다.

is fundamental기본이다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있어야 하는 것이다로 해석한다.

mental operations.정신 작용도 좋지만 문맥에 맞춰 마음을 작동시키는 것들로 해석한다.

 

바로 이 문장까지는 language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다. Box 문장은 Nevertheless로 시작하는 language에 대한 긍정적 내용이므로 Box 문장은 보기자리에 들어가야 함을 알 수 잇다. 그리고 보기뒤에도 language에 대한 긍정적 내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 ) Our species homo sapiens has been astonishingly successful, which depended in part on language, first as an effective contributor to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much later, as collective memory through written records.

*appreciate (제대로) 인식하다

 

해설본 : 우리 종족, ‘호모 사피엔스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어 왔는데, 이것은 처음에는 협력적인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기여 요소로서, 그리고 훨씬 나중에는 글로 쓰인 기록을 통한 집단 기억으로서의 언어에 부분적으로 의존했다.

 

수정본 : 우리 인간 종족 즉 호모 사피엔스는 놀라울 정도로 성공을 거두어 왔다 / 그리고 그 거두어 온 성공은 부분적으로는 달려 있었다 / 언어에 / 처음에는 효과를 발휘한 하나의 기여요인으로 / 협력을 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 그리고 훨씬 나중에는 / 집단 기억을 나타내는 것으로 / 글로 쓴 기록들을 통해

 

‘ , which depended -’and 그 거두어 온 성공은 =에 달려 있었다로 해석한다.

effective contributor to효과적인 기여 요소가 아니라 ‘’-에 효과를 발휘한 기여 요인으로 해석한다.

to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협력적인 문제 해결이라고 해석하면 우리말에 매우 어색하다. collaborative를 부사로 풀고 solving을 동사의미를 가진 해결하는 것으로 풀어서 협력을 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as collective memory는 단어 의미 그대로 집단 기억으로 해석하면 언어 = 집단 기억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된다. ‘언어 = 집단 기억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한다.

through written records.에서 written은 능동으로 바꾸어 글로 쓴 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