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유형>
(A) : 대명사 This를 주는 유형
(B) : However와 ‘지시어 the + 명사’를 주는 유형
(C) : Accordingly(원인&결과 즉 순접 기능어)를 주는 유형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작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2년 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7번 글의 순서 유형) 3점 정답 ⑤
Each beech tree grows in a particular location and soil conditions can vary greatly in just a few yards. The soil can have a great deal of water or almost no water. It can be full of nutrients or not.
해설본 : 각각의 너도밤나무는 고유한 장소에서 자라고 토양의 조건들은 단 몇 야드 안에서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토양은 다량의 물을 가지거나 거의 물이 없을 수도 있다. 그것은 영양분이 가득할 수도 아닐 수도 있다.
수정본 : 각 너도밤나무는 자란다 / 어떤 한 특정한 장소에서 / 토양의 조건들은 다를 수 있다 / 크게 / 불과 몇 야드 내에서도. 너도밤나무가 자라는 그 토양에는 있을 수 있다 / 다량의 물이 혹은 거의 물이 없을 수 있다. 그 토양은 영양분들이 가득 차 있을 수 있다 / 혹은 영양분이 가득 차 있지 않을 수 있다
in a particular location은 ‘고유한 장소에서’도 좋은 해석이고 부정관사 a의 으미를 살려서 ‘어떤 한 특정한 장소에서’로 해석해도 좋다.
vary는 ‘달라지다’가 아니라 ‘다르다’의 뜻이다.
a few 앞의 just는 ‘단, 단지’보다는 ‘겨우, 불과’로 해석한다.
‘장소주어 + can have + 명사A'는 ’-에 명사A가 있을 수 있다‘로 해석한다. 장소주어인 The soil은 ’토양은‘이 아니라 ’토양에는‘으로 해석한다.
or 뒤에 생략된 The soil can have를 넣어서 해석한다.
It은 The soil를 지칭하고 있다.
or 뒤는 생략된 부분을 넣어서 (It can) not (be full of nutrients)로 해석한다
(A) This is taking place underground through the roots. Whoever has an abundance of sugar hands some over; whoever is running short gets help. Their network acts as a system to make sure that no trees fall too far behind.
해설본 : 이것은 뿌리들을 통해 지하에서 일어나고 있다. 풍부한 당을 가진 나무가 누구든 간에 일부를 건네주고, 부족해지는 나무는 누구든 간에 도움을 받는다. 그들의 연결망은 그 어떤 나무도 너무 뒤처지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역할을 한다.
수정본 :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 지하에서 / 그 (나무들의) 뿌리를 통해. 풍부한 당분을 가지고 있는 나무가 어떤 나무이든지간에 그 나무는 일부 당분들을 건네 준다 / (당분이) 부족해 지고 있는 나무가 어떤 나무이든지간에 그 나무는 도움을 받는다. 그 나무들의 연결망은 역할을 해서 / 하나의 시스탬으로서의 / 확실하게 만들어 준다 / =을/를 / 어떤 나무들도 너무 멀리(=많이) 뒤처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This가 (B)의 the trees equalize this difference between them by transferring sugar를 지칭하고 있기 때문에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whoever의 who는 나무도 하나의 생명체이므로 의인화해서 나무를 who로 표현한 것이다.
whoever는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어떤 나무든지간에’로 한 번 해석하고 ‘그 나무는’으로 두 번 해석한다.
hands some over는 hands 뒤에 생략된 sugar를 넣어서 그리고 over 뒤에 생략된 other trees를 넣어서 해석한다. hans A over B는 A를 B에게 건네 주다‘의 뜻이다.
running short 뒤에 생략된 of sugar를 넣어서 ‘당분이 부족해지고 있는’으로 해석한다.
fall too far behind에서 too far는 ‘너무 멀리(=많이)’의 뜻이고 fall behind는 ‘뒤처지다’의 뜻이다.
(B) However, the rate is the same. Whether they are thick or thin, all the trees of the same species are using light to produce the same amount of sugar per leaf. Some trees have plenty of sugar and some have less, but the trees equalize this difference between them by transferring sugar.
해설본 : 그러나 그 정도는 동일하다. 그들이 굵든 가늘든 간에, 같은 종의 모든 나무들은 빛을 사용하여 이파리당 같은 양의 당을 생산한다. 어떤 나무들은 충분한 당을 지니고 어떤 것들은 더 적게 지니지만, 나무들은 당을 전달함으로써 그들 사이의 이 차이를 균등하게 한다.
수정본 : 그러나 / 그 속도는 똑같다 / 그 나무들이 굵든 가늘든 간에 / 그 모든 나무들은 / 똑같은 종의 / 빛을 사용해서 / 생산을 하고 있다 / 똑같은 양의 당분을 / 이파리당. 일부 나무들에게는 있다 / 많은 당분이 / 그리고 일부 나무들에게는 있다 / 더 적은 당분이 / 그러나 / 그 나무들은 균등하게 만든다 / 이런 차이를 / 그 나무들 사이에 있는 / 당분을 (서로서로에게) 전달함으로써
the rate is the same에서 The rate은 (C)의 at a different rate의 rate를 받고 있다. 따라서 (C)와 (B)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C)의 마지막 부분에 나온 different rate과 역접으로 However로 이어지고 역접관계의 단어인 same이 나오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또한 알 수 있다.
they are thick or thin에서의 they는 바로 뒤의 주절의 all the trees of the same species를 지칭한다.
use A to 동사원형은 ‘A를 사용해서 -하다’로 해석한다.
Some trees have A는 '일부 나무들에게는 A가 있다‘로 해석한다.
some have less는 생략된 부분을 넣어서 즉 some trees have less sugar로 해석한다.
by transferring sugar는 transfer의 목적지인 ‘서로서로에게’를 넣어서 해석한다.
(C) Accordingly, each tree grows more quickly or more slowly and produces more or less sugar, and thus you would expect every tree to be photosynthesizing at a different rate.
*photosynthesize 광합성하다
해설본 : 이에 따라, 각 나무는 더 빨리 혹은 더 느리게 자라고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당분을 생산하는데, 그래서 여러분은 모든 나무가 다른 정도로 광합성을 할 것이라고 기대할 것이다.
수정본 : 따라서 / 각 나무는 자란다 / 더 빠르게 혹은 더 느리게 / 그리고 (각 나무는) 생산한다 / 더 많은 당분을 혹은 더 적은 당분을 / 그래서 / 여러분은 예상할 것이다 / 모든 나무가 광합성을 하고 있을 것이다라고 / 서로 다른 속도로
Accordingly가 ‘따라서’의 뜻이라서 바로 앞 부분과 뒷 부분은 ‘원인&결과’ 즉 순접관계가 되어야 한다. Box 문장의 can be full of nutrients or not이 원인이 되고 그 결과가 grows more quickly or more slowly and produces more or less sugar이므로 (C)는 Box 문장과 이어짐을 알 수 있다.
Accordingly는 ‘이에 따라’보다는 ‘따라서’로 해석한다.
and와 produces 사이에 생략된 each tree를 넣어서 해석한다.
more 뒤에 생략된 sugar를 넣어 more sugar로 해석한다.
to be photosynthesizing는 ‘광합성을 할 것이다’가 아니라 ‘광합성을 하고 있을 것이다’로 해석한다.
at a different rate은 ‘다른 정도로’가 아니라 ‘서로 다른 속도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로 해석한다. rate : 속도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