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칸 유형 (중간 문장이 빈칸 문장인 유형>
버로 뒷 문장이 For example로 시작하는 유형인 경우에는 바로 뒷 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2년 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4번 빈칸유형) 3점 정답 ②
Observational studies of humans cannot be properly controlled.
해설본 : 인간에 대한 관찰 연구는 적절하게 통제될 수 없다.
수정본 : 인간을 관찰해서 하는 여러 연구들은 / (연구원들이 연구결과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다,
Observational studies of humans를 ‘인간에 관한 관찰 연구들은’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슨 의미인 지는 생각지 않고 그냥 단어만 연결해서 하는 해석이다. ‘관찰은 뭘 관찰하는 것인지, 연구는 뭘 연구하는 지’가 막연하다. ‘인간을 관찰해서 하는 여러 연구들’로 해석해야 한다.
cannot be properly controlled도 ‘통제될 수 없다’로 해석하는 것은 단어만 해석한 것이다. 해석하고 무슨 의미인 지도 모르고 해석하는 것이다. control이 나왔으므로 ‘뭐가 조절하는지’ ‘무엇을 조절하는 지’를 파악하고 해석해야 한다. 조절 주체는 ‘연구원들이’이고 ‘조절의 대상’은 ‘연구 결과들’이다.
Humans live different lifestyles and in different environments.
해설본 : 인간은 다양한 생활 방식으로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서 살고 있다.
수정본 : 인간들은 살아 가고 있다 / 다양한 생활빙식을 / 그리고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 가고 있다.
live는 타동사로 동족목적어인 lifestyles를 목적어로 취하고 있다. 뒤의 live in different environments에서는 동족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로 쓰였다.
and와 in 사이에 생략된 Humans live를 넣어서 해석한다.
Thus, they are insufficiently homogeneous to be suitable experimental subjects.
해설본 : 따라서 그들은 적절한 실험 대상이 되기에 충분히 동질적이지 않다.
수정본 : 따라서 / 인간은 충분히 동질의 인간은 아니다 / 그 결과 될 수가 없다 / 실험에 적당한 대상자들이
they는 바로 앞 문장의 Humans를 가리킨다.
are insufficiently homogeneous to be는 ‘-가 되기에는 충분히 동질적이지 않다’로 해석하는 것은 to be를 ‘-되기에’로 형용사 homogeneous를 수식하는 부사적 용법으로 해석한 것이다. to be를 결과 용법으로 해석해서 ‘그 결과 -가 될 수 없다’로 해석해야 한다.
be suitable experimental subjects는 ‘적절한 실험 대상이 되다’보다는 ‘실험에 적절한 대상이 되지 못한다’로 해석한다. 앞의 insufficient의 부정의미 in -를 붙여서 해석한다.
These confounding factors undermine our ability to draw sound causal conclusions from human epidemiological surveys.
해설본 : 이러한 ‘교란 변수’는 인간 역학 조사로부터 타당한 인과적 결론을 도출하는 우리의 능력을 손상시킨다.
수정본 : 이런 ‘교란 변수들’은 약화시킨다 / 우리의 능력을 / 도출할 수 있는 / 인과관계를 밝혀 주는 믿을 만한 결론들을 / 인간에 대한 역학조사들로부터
These confounding factors는 앞앞 무장에 나온 ‘다양한 생활방식들과 다양한 환경들’을 가리킨다.
undermine - : -를 약화시키다, -를 손상시키다
ability 뒤의 to 부정사의 to는 ‘-하는’이 아니라 ‘-할 수 있는’의 뜻이다.
sound (형용사) : 타당한, 믿을 만한
causal conclusions를 ‘인과적 결론’으로 해석하는 것은 우리말에도 없는 해석이다. ‘인과관계를 밝혀 주는 결론들’로 해석해야 한다.
human epidemiological surveys도 ‘인간 역학 조사’로 해석하면 의미가 애매모호하게 된다. ‘인간에 대한 역학조사들’로 해석한다.
Confounding factors are variables (known or unknown) that make it difficult for epidemiologists to ____________.
해설본 : 교란 변수는 역학자가 연구되고 있는 특정한 변수의 영향을 분리하기 어렵게 만드는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변수이다.
수정본 : 교란 뱐수들은 / 변수들이다 (알려져 있는 혹은 알려져 있지 않은) / 어렵게 만들어 주는 / 역학자들이 구분하는 것을 / 영향들을 / (역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특정한 변수가 끼치는
이 문장에서는 isolate를 ‘분리시키다’보다는 ‘구분하다’로 해석하는 것이 문맥에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For example, Taubes argued that since many people who drink also smoke, researchers have difficulty determining the link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cancer.
해설본 : 예를 들어, Taubes는 술을 마시는 많은 사람들이 흡연도 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알코올 섭취와 암 사이의 연관성을 결정짓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주장했다.
수정본 : 예를 들어 / Taubes는 주장을 했다 / -라고 / 술을 마시는 많은 사람들이 / 또한 흡연을 하기 때문에 / 연구원들은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라고 / 연결고리가 무엇인 지를 / 알코올 섭취와 암 사이에 있는
<이 문장은 바로 앞 문장인 빈칸 문장의 바로 뒷문장이고 For example로 시작하기 때문에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 관계를 살펴 본다.>
have difficulty determining the link
= difficult for epidemiologists to isolate
alcohol consumption = the specific variable being studied
determining the link는 ‘연관성을 결정짓다’라는 해석은 모호한 표현이다. what을 넣어서 '연결고리가 무엇인 지를 결정하다‘로 해석해야 무슨 의미인 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Similarly, researchers in the famous Framingham study ident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ffee drinking and coronary heart disease.
해설본 : 마찬가지로 유명한 Framingham 연구의 연구자들은 커피를 마시는 것과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수정본 : 마찬가지로 / 연구원들은 / 유명한 Framingham 연구에 참여한 / 확인했다 / 한 가지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 커피를 마시는 것과 관상동맥 심장병 사이에 존재하는
ident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를 ‘상관관계를 확인했다’보다는 절로 풀어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로 해석한다. a가 있으므로 ‘한 가지’를 넣어서 해석한다.
significant는 ‘상당한’보다는 ‘중요한, 의미있는’으로 해석한다.
However, most of this correlation disappeared once researchers corrected for the fact that many coffee drinkers also smoke.
해설본 : 그러나 연구자들이 커피를 마시는 많은 사람들이 흡연도 한다는 사실에 대해 수정을 하자 이러한 상관관계의 대부분은 사라졌다.
수정본 : 그러나 / 이런 상관관계의 대부분은 / 사라졌다 / 일단 연구원들이 (커피를 마시는사람은 흡연을 할 가능성이 많다 라고 즉 교란 변수를) 수정을 하면 / 사실에 대비해서 / 커피를 마시는 많은 사람들이 또한 흡연도 한다는
‘once + 주어 + 동사 -’는 ‘일단 -하면’의 뜻이다.
researchers corrected for -에서 for는 ‘-에 대비해서’의 뜻이다. 'corrected for'를 그냥 ‘-에 대해서 수정을 하면’으로 해석하면 정확한 의미를 모르고 하는 해석이다. corrected의 목적어인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흡연을 할 가능성이 많다 라고 수정을 하면 즉 교란 변수를 수정하면’을 넣어서 해석한다.
If the confounding factors are known, it is often possible to correct for them.
해설본 : 교란 변수들이 알려져 있다면 그것들을 수정하는 것이 종종 가능하다.
수정본 : 만약 그 교란 변수들이 알려져 있는 변수들이라면 / 종종 가능하다 / (변수를) 수정하는 것이 / 그 교란 변수들에 대비해서
the confounding factors are known에서는 known 뒤에 factors를 붙여서 해석한다
However, if they are unknown, they will und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causal conclusions we draw from epidemiological surveys.
*homogeneous 동질적인 **epidemiological 역학의
해설본 : 그러나 그것들이 알려져 있지 않다면, 그것들은 우리가 역학 조사로부터 도출하는 인과적 결론의 신뢰성을 손상시킬 것이다.
수정본 : 그러나 / 만약 그 교란 변수들이 알려져 있지 않은 변수들이라면 / 그 교란 변수들은 약화시킬 것이다 / 신뢰성을 / 인과관계를 밝힌 결론들의 / 우리가 도출한 / 역학조사들로부터
they는 앞 문장의 confounding factors를 지칭하고 있다.
① distort the interpretation of the medical research results
② isolate the effects of the specific variable being studied
③ conceal the purpose of their research from subjects
④ conduct observational studies in an ethical way
⑤ refrain from intervening in their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