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4번 빈칸유형 영어구문독해 방법 영어직독직해 방법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수능영어해석법 2023년 12월(11월) 고1 영어모의고사 34번 빈칸유형 영어구문독해 방법 영어직독직해 방법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12. 31.

<마지막 문장이 빈칸인 유형>

바로 앞 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312(11) 1 영어모의고사 34번 빈칸유형) 3점 정답

 

Plato’s realism includes all aspects of experience but is most easily explain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mathematical and geometrical objects such as circles.

 

해설본 : 플라톤의 실재론은 경험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지만, 원과 같은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대상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가장 쉽게 설명된다.

 

수정본 : 플라톤의 실재론에는 들어가 있다 / 경험을 구성하는 모든 측면들이 / 그러나 플라톤의 실재론은 대개 쉽게 설명할 수 있다 / 고려함으로써(=생각해봄으로써) / 본질을 / 수학에서 다루는 물체들과 기하학에서 다루는 물체들의 / 원과 같은

 

mathematical and geometrical objects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대상으로 해석하면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는 단어 나열 해석이다. ‘수학에서 다루는 물체들과 기하학에서 다루는 물체들로 해석한다.

 

realismplato가 있어서 사실주의보다는 실재론으로 해석한다.

‘A includes B'sms 'A에는 들어가 있다 B로 해석한다.

ismost 사이에 생략된 Plato's realism을 넣어서 해석한다.

 

He asked the question, what is a circle?

 

해설본 : 그는 원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했다.

 

수정본 : 그는(=플라톤은) 질문을 했다 / 하나의 원은 무엇인가?(라는)

 

question 뒤의 ‘ , ’는 동격을 나타내므로 ‘-라는, -으로 해석한다.

a circle보다는 하나의 원혹은 하나의 원이란 것으로 해석한다.

 

You might indicate a particular example carved into stone or drawn in the sand.

 

해설본 : 여러분은 돌에 새겨져 있거나 모래에 그려진 특정한 예를 가리킬 수 있다.

 

수정본 : 여러분은 (대답으로) 가리킬 지도 모른다 / (원에 대한) 한 가지 특정한 사례를 / 돌 안에 새겨진 혹은 모래 속에 그려진

 

a particular example특정한 사례보다는 a가 있으므로 ‘(원에 대한 대답으로)) 한 가지 특정한 사례로 해석한다.

 

However, Plato would point out that, if you looked closely enough, you would see that neither it, nor indeed any physical circle, was perfect.

 

해설본 : 그러나 플라톤은 여러분이 충분히 면밀히 관찰한다면, 여러분이 그 어느 것도, 진정 어떤 물리적인 원도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지적할 것이다.

 

수정본 : 그러나 / 플라톤은 지적할 텐데 ... / -라고 / 만약 여러분이 아주 세밀하게 관찰을 한다면 / 여러분은 알게 될 것이다(라는 사실을) / 그 특정한 사례는 , 또한 사실 어떤 물리적인 원도,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would point out that -’는 가정법과거 문장이므로 지적할 것이다보다는 지적할 텐데로 해석한다.

enough은 이 문장에서는 충분히보다는 아주가 어울리는 해석이다.

see that -에서 that‘-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neither it was perfect에서 neithernot으로만 해석해도 된다. it은 바로 앞 문장의 a particular example을 가리키므로 그 특정한 사례는 완벽하지 않다로 해석한다.

nor indeed any physical circle was perfect에서 nor또한 -도 않다(아니다)’로 해석한다.

 

They all possessed flaws, and all were subject to change and decayed with time.

 

해설본 : 그것들 모두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고, 모두 변화의 영향을 받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쇠하였다.

 

수정본 : 그것들은 모두 가지고 있었다 / 여러 결함들을 / 그리고 모두 변화를 당했고 쇠퇴했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They all에서 They는 바로 앞 문장의 any physical circle을 받는 대명사이다. any physical circle은 단수가 아니라 복수로 받는다.

be subject to 동사원형 : ‘-을 받다, -를 당하다

decay : 쇠퇴하다

with time : 시간이 지남에 따라

 

So how can we talk about perfect circles if we cannot actually see or touch them?

 

해설본 : 그렇다면, 우리가 완벽한 원을 실제로 보거나 만질 수 없다면, 그것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수정본 : 그렇다면 / 어떻게 우리는 말할 수 있을까?(=말할 수 없다) / 완벽한 원들에 대해서 / 만약 우리가 실제로 보거나 만질 수 없다면 / 그 완벽한 원들을

 

So그래서보다는 그렇다면이 어울리는 해석이다

them은 앞의 perfect circles를 가리킨다.

 

Plato’s extraordinary answer was that the world we see is a poor reflection of a deeper unseen reality of Forms, or universals, where perfect cats chase perfect mice in perfect circles around perfect rocks.

 

해설본 : 플라톤의 비범한 대답은 우리가 보는 세상이 완벽한 고양이가 완벽한 암석 주변에서 완벽한 원을 그리며 완벽한 쥐를 쫓는 형상또는 보편자라는 더 깊은 보이지 않는 실재의 불충분한 반영물이라는 것이다.

 

수정본 : 플라톤이 한 비범한 대답은 이였다 / 우리가 보는 세상은 / 조잡하게(=완벽하지 않게) 반영한 것이다 / 더 깊은 곳에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의 실재로 존재하는 것을 / Forms, or universals라는 / Forms, or universals에서는 완벽한 고양이가 쫒고 있다 / 완벽한 쥐를 / 완벽한 원들로 / 완벽한 바위 주변에서

 

‘a poor reflection of -’‘-의 불충분한 반영물보다는 ‘-를 조잡하게(=완벽하지 않게) 반영한 것으로 해석한다.

a deeper unseen reality of Forms, or universals 에서 reality실재로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of‘-가 아니라 동격으로 ‘-라는, -으로 해석한다.

‘ , where'’and 그 선행사에()으로 즉 그리고 그 Forms or universals에서는으로 해석한다.

 

<빈칸이 있는 마지막 문장의 바로 앞 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unseen = invisible

perfect = perfect

deeper (reality)= beyond (our senses)

 

Plato believed that the Forms or universals are the true reality that exists in ____________________. [3]

 

해설본 : 플라톤은 형상또는 보편자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감각을 넘어선 완벽한 세계에 존재하는 진정한 실재라고 믿었다.

 

수정본 : 플라톤은 믿었다 / -라고 / Forms or universals진짜로 실재하는 것이다(라고) / 존재하는 /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완벽한 세계에 / 우리의 감각기관들로는 감지할 수 없는

 

the true reality진정한 실재보다는 진짜로 실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beyond our senses에서 senses감각이 아니라 감각기관들이란 뜻이므로 우리의 감각을 넘어선이 아니라 우리의 감각기관들로는 감지할 수 없는으로 해석한다.

 

observable phenomena of the physical world

our experiences shaped by external influences

an overlapping area between emotion and reason

an invisible but perfect world beyond our senses

our perception affected by stereotype or gener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