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21강 1번 풀이 해설
본문 바로가기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2026년대비 2025년 수능특강영어 21강 1번 풀이 해설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3.

[2025 수능특강영어 21강 1번 분석] 문맥상 낱말 어휘 문제 완벽 해설 (2026 수능 대비)

안녕하세요! 2026학년도 수능 영어를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들을 위해,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21강의 첫 번째 문제인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어휘 문항을 상세히 분석해 드립니다. 이번 지문은 인류가 돌 도구에서 부싯돌 도끼를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한 사회적 변화, 특히 재산권과 교역의 시작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어휘 문제는 글 전체의 흐름과 문맥, 그리고 단어 간의 논리적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지문 원문, 구절별 해석, 전체 번역은 물론, 어휘 문제 풀이 전략에 초점을 맞춰 상세한 해설을 제공합니다. 

❓ 문제 (Question)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답: ④)

 

📰 영어 지문 원문 (Original Text)

We learnt to cut wood and plough the earth once we had acquired the ability to attach a stone tip to a wooden handle. Wood was abundant, but rare flint was needed for the tip. In axes, raw and unrefined stone was ① replaced with flint in about 4000 BCE. Found all over Europe, flint axes and knives were produced in great quantities — about half a million every year. But there were very ② few flint mines. Axe heads originating from one flint deposit in the Alps have been found all over Western Europe. Axes from central Poland have been discovered 800 kilometres away. So the earliest human tool, the flint axe, already ③ combined two types of raw material — the easily replaceable stick and the precious flint, which was hand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travelling huge distances on its way. The owners had to ④ abandon the sites where flint was found, and the first property rights developed. Others had to produce something of value to ⑤ exchange: a flock of sheep, for example, or cured hides. This is how trade began.

 

🔍 구절별 분석 및 번역 (Phrase-by-Phrase Analysis & Translation)

 

지문을 구절별로 나누어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을 함께 살펴보며 내용을 정확히 이해해 봅시다.

  • We learnt to cut wood and plough the earth
    • 우리는 나무를 자르고 땅을 가는 법을 배웠다
    • plough: (땅을) 갈다, 쟁기질을 하다      earth : 땅 
  • once we had acquired the ability
    • 일단 (그 전에) 우리가 능력을 습득하고 난 뒤에야
    • acquired: 습득하다
  • to attach a stone tip to a wooden handle.
    • 돌 끝부분을 나무 손잡이에 붙일 수 있는
    • attach: 부착하다   handle : 손잡이 
  • Wood was abundant,
    • 나무는 풍부했다,
    • abundant: 풍부한
  • but rare flint was needed for the tip.
    • 그러나 끝부분(돌날)에 필요한 부싯돌은 희귀했다 
    • rare: 희귀한, 보기 드문 / flint: 부싯돌    '희귀한 부싯돌'보다는 '부싯돌'이 희귀했다'로 해석한다 
  • In axes,
    • 도끼의 안에 들어가는 (=도끼의 경우에는)
    • In axes는 '도끼의 경우에는'보다는 '도끼들의 안에 들어가는'으로 해석한다 ,
  • raw and unrefined stone was ① replaced with flint
    • 가공되지 않고 거친 돌은 부싯돌로 대체되었다
    • raw: 가공하지 않은 / unrefined: 정제되지 않은 / replaced: 대체되었다
  • in about 4000 BCE.
    • 기원전 약 4000년에.
  • Found all over Europe,
    •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는,   
    • all over - : - 전역에 
  • flint axes and knives were produced
    • 부싯돌 도끼와 칼은 생산되었다
  • in great quantities
    • 대량으로
    • quantities: 양
  • — about half a million every year.
    • — 매년 약 50만 개나.   
    • 'about + 숫자' : (대)략 -
  • But there were very ② few flint mines.
    • 그러나 부싯돌 광산은 매우 드물었다(거의 없었다).
    • few: 거의 없는 / mines: 광산
  • Axe heads originating from one flint deposit
    • 한 부싯돌 매장지에서 유래한(=나온) 도끼날들이
    • originating from: ~에서 유래한 / deposit: 매장지
  • in the Alps have been found
    • 알프스에 있는 ~가 발견되었다
  • all over Western Europe.
    • 서유럽 전역에서.
  • Axes from central Poland have been discovered
    • 폴란드 중부에서 나온 도끼들은 발견되었다
  • 800 kilometres away.
    • 8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 So the earliest human tool, the flint axe,
    • 그래서 가장 초기의 인간 도구인 부싯돌 도끼는,
  • , already ③ combined two types of raw material
    • , 이미 두 가지 유형의 원재료를 결합시키고 있었다
    • combined: 결합시켰다 / raw material: 원재료
  • — the easily replaceable stick and the precious flint,
    • — 즉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막대기와 귀한 부싯돌을,
    • replaceable: 교체 가능한 / precious: 귀한
  • which was hand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 그런데 그 부싯돌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졌다,
    • was handed down: 전해졌다
  • travelling huge distances on its way.
    • 그 과정에서 엄청난 거리를 이동하며.
    • travelling: 이동하며    huge : 큰, 엄청난   on its way : 그 과정에서, 도중에 
  • The owners had to ④ abandon the sites
    • 그 소유자들은 그 장소들을 버려야 했다
    • owners: 소유자들   abandon: 버리다     site : 장소, 부지 
  • where flint was found,
    • 부싯돌이 발견된   
    • 선행사 뒤의 관계부사는 '-ㄴ'으로 해석한다 
  • and the first property rights developed.
    • 그래서 처음으로 재산권이 발전하게 되었다(=생기게 되었다).
    • property rights: 재산권   developed: 발전했다, 생겼다
  • Others had to produce something of value
    • 다른 사람들은 어떤 가치 있는 것을 생산해야만 했다
    • produce: 생산하다 / value: 가치   
    • 'of + 추상명시'는 '형용사'로 해석한다   of value = valuable 
  • to ⑤ exchange:
    • 교환하기 위해:
    • exchange: 교환하다
  • a flock of sheep, for example, or cured hides.
    • 예를 들어 양 떼나 가공된 날가죽 같은 것들을.
    • flock: 무리, 떼 / cured: 가공된 / hides: 날가죽
  • This is how trade began.
    • 이런 방식으로 교역이 시작되었다.
    • trade: 교역, 거래

📝 전체 한국어 번역 (Full Korean Translation)

다음은 위 지문 전체의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입니다.

우리가 나무를 자르고 땅을 갈 줄 알게 된 것은, 돌로 된 끝부분을 나무 손잡이에 붙이는 능력을 갖추고 나서였다. 나무는 풍부했지만, (도구의) 끝부분에는 희귀한 부싯돌이 필요했다. 도끼에서는, 가공되지 않은 거친 돌이 기원전 약 4000년에 부싯돌로 대체되었다.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는 부싯돌 도끼와 칼은 매년 약 50만 개나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부싯돌 광산은 매우 드물었다. 알프스에 있는 한 부싯돌 매장지에서 나온 도끼날들이 서유럽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폴란드 중부에서 만들어진 도끼들이 8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 그래서 가장 초기의 인간 도구인 부싯돌 도끼는 이미 두 가지 원재료 —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나뭇가지와 귀한 부싯돌 — 를 결합한 것이었고, 그 귀한 부싯돌은 세대를 거쳐 전해지며 아주 먼 거리를 이동했다. 부싯돌이 발견된 장소의 소유자들은 그 장소를 ④ 버려야 했다(-> 보호해야 했다), 그리고 처음으로 재산권이 발전하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은 교환을 하기위해 어떤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야 했다. 예를 들어 양 떼나 무두질한 가죽 같은 것들이다. 이렇게 해서 교역이 시작되었다.

💡 어휘 문제 해설 및 핵심 파악 (Vocabulary Question Explanation & Key Points)

어휘 문제는 밑줄 친 단어가 글의 전체적인 내용이나 흐름, 또는 문장 내 다른 단어와의 논리적인 관계에 비추어 보아 문맥상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유형입니다. 각 번호의 앞뒤 문맥과 글 전체의 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① replaced: 도끼의 돌이 부싯돌로 '대체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바로 다음 문장에서 부싯돌 도끼와 칼이 대량 생산되었다고 하므로, 돌에서 부싯돌로의 변화는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적절)
  2. ② few: 앞 문장에서 부싯돌 도끼가 '대량으로 생산되었다(in great quantities)'고 했고, 'But'으로 문장이 시작하므로 역접의 내용이 와야 합니다. 대량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재료인 부싯돌의 광산은 '매우 드물었다(very few)'는 것은 논리적으로 연결됩니다. (적절)
  3. ③ combined: 알프스에서 나온 도끼날이 서유럽에서 발견되고, 폴란드에서 나온 도끼가 80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는 내용 뒤에 'So'(그래서)로 연결됩니다. 이는 부싯돌(먼 거리 이동)과 나뭇가지(현지 조달)라는 두 가지 원재료가 '결합된(combined)' 도구였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입니다. (적절)
  4. ④ abandon: 이 부분이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문장은 "The owners had to ④ abandon the sites where flint was found, and the first property rights developed." 입니다. 'and'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앞 내용과 뒷 내용이 순접 관계여야 합니다. '재산권이 발전하게 되었다'는 결과는 부싯돌처럼 귀하고 중요한 자원이 나는 장소를 소유하고 보호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그 장소를 '버렸다(abandon)'면 재산권이 생겨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문맥상 'abandon' 대신 protect (보호하다)와 같은 단어가 와야 자연스럽습니다. (부적절)
  5. ⑤ exchange: 부싯돌 광산 소유주들이 자원을 보호하고 재산권을 갖게 된 상황과 대비하여, '다른 사람들(Others)'은 부싯돌을 얻기 위해 자신의 다른 '가치 있는 것'을 '교환해야 했다(exchange)'는 내용입니다. 이는 재산권 발생 이후 교역이 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며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적절)

핵심: 이 문제는 접속사(But, So, and)가 문장 간의 논리적 관계(역접, 순접, 결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활용하여, 밑줄 친 단어가 그 관계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특히 ④번 문장에서는 'and' 뒤의 결과(재산권 발달)를 통해 앞 내용(자원 발견 장소에 대한 태도)의 단어(abandon)가 틀렸음을 추론해야 했습니다.

✨ 마무리 (Conclusion)

2025 수능특강 영어 21강 1번 문제는 도구의 발전이 사회 경제 시스템의 변화(재산권, 교역)로 이어진다는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어휘 추론 유형은 단순히 단어의 뜻을 아는 것을 넘어, 지문 전체의 흐름과 문장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이번 지문 분석이 여러분의 수능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특히 어휘 문제 풀이 시에는 연결어와 문맥 속에서 단어가 가지는 정확한 뉘앙스 및 반의어, 유의어 관계를 고려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수능특강 및 다양한 영어 학습 자료를 통해 여러분의 성공적인 수능 대비를 돕겠습니다.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