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해석법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test 1회 17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5. 23.

부사 + 형용사의 해석방법

형용사 + 명사로 바꾸어 해석할 수 있다

 

Many economic laws have been criticized as having only statistical necessity.

Consider the law stating that the quantity sold varies inversely with its price.

We can show that it is not universally true with a thought experiment featuring an isolated village of peasants.

(2024년 수능특강영어 test 117)

 

해설본 : 많은 경제 법칙이 통계상의 필연성만 있다고 비난받아 왔다.

판매은 가격에 반비례로 변한다고 하는 법칙을 생각해 보라.

우리는 고립된 소작농 마을을 상상하사고 실험에서 그것이 보편적으로 사실인 것은 아님을 보여 줄 수 있다.

 

Many economic laws 많은 경제 법칙들이

 

have been criticized (쭈욱) 비판을 받아 왔다

현재완료 시제의 계속용법이므로 쭈욱을 넣어서 해석하면 더 의미파악에 도움이 된다.

 

as having (경제 법칙들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as + ()명사에서 as‘-()’의 의미로 해석한다

 

only statistical necessity. 단지 통계상의 필연성 만을

통계상의 필연성전체로 통계를 내어 볼 때는 필연적으로 그렇게 된다라는 의미이다

 

Consider 생각해 보라

 

the law stating 말하는 법칙을

 

that - -라고

타동사 뒤의 that‘-라고, -/로 해석한다

 

the quantity sold varies 팔리는 양은(=판매량은 =수요는) 변한다

sold는 과거분사로 앞의 quantity를 수식하므로 ‘-로 해석한다

the quantity sold팔리는 양이라는 뜻이므로 수요로 해석해도 좋다

 

inversely 반비례해서

 

with its price. 그 상품의 가격과 (관련해서)

its는 앞에 나온 팔리는 양=수요의 대상인 상품을 의미한다.

with‘-와 관련해서의 뜻이다.

 

We can show 우리는 보여 줄 수 있다

 

that - -라는 것을(=사실을)

타동사 뒤의 that‘-라고, -/로 해석한다

 

it is not universally true 그것은(=그 법칙은) 보편적인 진리는 아니다(라는 것을)

it은 앞의 the law를 지칭한다

부사 + 형용사는 앞의 부사는 형용사로, 뒤의 형용사는 명사로 바꾸어 해석하면 우리말에 좀더 어울리는 해석이 된다

true는 법칙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사실인보다는 진리인으로 해석한다

 

with a thought experiment 사고는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한 가지 실험을 가지고

with‘-을 가지고, -를 사용해서의 의미이다.

‘a thought experiment'복합명사의 해석방법에 따라 사고는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실험으로 해석한다

 

featuring an isolated village 고립된 어떤 한 마을을 특징으로 삼은

feature‘-를 특징으로 하다(삼다)’의 뜻이다.

an어떤 한 -’로 해석을 해줘야 한다

 

of peasants. 소작농으로 구성되어 있는

of‘-으로 이루어진, -으로 구성되어 있는의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