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 of + 명사 A'의 해석방법
명사 : 명사의미 그대로 해석
of 명사A : : '명사A(은/는/이/가) + -ㄴ‘로 해석한다.
가정법 문장에서 if절만 있고 주절이 없는 경우
생략된 주절을 찾아 넣어서 해석한다.
In the door‑in‑the‑face technique, a large, unreasonable request is made, which is turned down; this is followed by a smaller more reasonable request.
People are more likely to agree to this smaller second request when it is placed in the context of the more unreasonable request than if it had been placed at the outset.
The success of this technique may be related to the reciprocity social norm, the rule that we should pay back in kind what we receive from others.
해설본 : ‘면전에서 문 닫기 기법’에서는, 크고 불합리한 요청이 이루어지고, 그것이 거절되며, 이것이 더 작으면서 더 합리적인 요청으로 이어진다.
사람들은 이 더 작은 두 번째 요청이 처음부터 이루어진 경우보다 더 불합리한 요청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질 때 그것에 동의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이 기법의 성공은 ‘호혜적 사회 규범’, 즉 우리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것을 동일하게 갚아야 한다는 규칙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In the door‑in‑the‑face technique, ‘면전에서 문닫기’ 기법에서는
a large, unreasonable request is made, (어떤 사람이) 크고 불합리한 요청을 하고
능동태로 바꾸어서 즉 A person makes a large, unreasonable request으로 해석한다.
, which is turned down; 그리고 그 (크고 불합리한) 요청은 거절당한다
‘ , ’는 and로 해석한다
which는 앞 문장의 ‘크고 불합리한 요청’이 선행사이다.
this is followed by a smaller more reasonable request. 요청을 거절당한 것 뒤에 더 작고 더 합리적인 요청이 잇따른다
this는 '요청을 거절당한 것‘을 지칭한다.
‘A be followed by B’는 ‘A뒤에 B가 잇따르다‘의 의미이다.
People are more likely to agree 사람들은 동의를 할 가능성이 더 많다
'be likely to 동사원형’은 ‘-할 가능성이 많다’라는 뜻이다.
to this smaller second request 이 더 작은 두번째 요청에
when it is placed 그 (더 작은 두번째) 요청이 이루어 질 때
it은 this smaller second request를 지칭한다.
‘place a request’는 ‘특정한 사람에게 요청하다’의 뜻이다.
‘make a request'는 ’특정한 사람이 요청하다‘의 뜻이다
in the context 맥락 속에서
of the more unreasonable request 더 비합리적인 요청이 (앞에) 있었다라는
of는 ‘-은/는/이/가 + -ㄴ’로 해석한다
than if it had been placed 만약 그 (더 작은 두번째) 요청을 (이전에) 했다면 동의를 했을 가능성 보다
it은 the smaller second request를 지칭한다.
생략되어 있는 가정법 문장의 주절 부분(people would have agreed)을 넣어서 해석한다.
at the outset. 처음에
The success of this technique 이 기법의 성공 유무는
success를 그냥 ‘성공’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성공하느냐 못하느냐’ 즉 ‘성공유무’로 해석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may be related 관련이 있을 수 있다.
may는 ‘-할 수도 있다’의 뜻이므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가 아니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라고 해석한다.
to the reciprocity social norm 호혜적 사회 규범과
to는 앞 단어 be related와 이어지므로 ‘-와(과)’로 해석한다.
, the rule that - 즉 -라는 규칙과
‘ , ’는 ‘즉, 말하자면’으로 해석한다.
that은 동격을 나타내는 접속사이므로 ‘-라는, -인’으로 해석한다.
we should pay back 우리는 되갚아야 한다(라는)
pay back은 ‘갚다, 되갚다’라는 뜻이다.
in kind 똑같이(=동일하게)
what we receive 우리가 받은 것을
from others. 다른 사람들로부터
'수능영어해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해석법 & 수능특강영어 30강 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1) | 2023.04.28 |
---|---|
[영어해석법 & 수능특강영어 29강 3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28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9강 2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법 (0) | 2023.04.27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9강 2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수능영어단어외우는법 (0) | 2023.04.26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9강 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수능영어단어외우는법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