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용어’의 해석방법 attributions & learned helplessness
쉬운 말로 풀어서 해석한다.
Learners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ir attributions through training.
In a pioneering study, Carol Susan Dweck, an American psychologist, provided students who demonstrated learned helplessness with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experiences.
When the students were unsuccessful, the experimenter specifically stated that the failure was caused by lack of effort or ineffective strategies.
Comparable students were given similar experiences but no training.
해설본 : 학습자는 훈련을 통해 자기의 귀인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선구적인 한 연구에서, 미국 심리학자인 Carol Susan Dweck은 학습된 무력감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성공한 경험과 성공하지 못한 경험 모두를 제공했다.
학생들이 성공하지 못했을 때, 실험자는 그 실패가 노력의 부족이나 비효과적인 전략 때문에 일어났다고 명확하게 말했다.
비교 가능한 학생들에게 유사한 경험이 주어졌지만, 훈련은 전혀 주어지지 않았다.
Learners can improve 학습하는 사람들은 향상시킬 수 있다.
‘-er'은 ’-자‘보다는 ’-하는 사람들‘로 해석한다.
the effectiveness of their attributions 자신들의 학습실패의 원인을 아는 것이 (학습에 있어서 거두는) 효과성을
effectiveness는 ‘효과’가 아니라 ‘효과성’이다. 이 때의 효과성은 ‘학습에 있어서의 효과성’을 말한다.
their는 ‘learners'를 지칭하므로 ’자신들이‘로 주격으로 바꾸어 해석한다.
attributions는 ‘귀인’이라는 어려운 말보다는 ‘학습실패의 원인을 아는 것’으로 해석한다.
through training. 훈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In a pioneering study, 선구적인 역할을 한 한 연구에서
‘선구적인 연구’라고 해석하면 어색하다. ’선구적인 역할을 한 연구‘로 해석한다.
Carol Susan Dweck, an American psychologist, 미국의 심리학자인 Carol Susan Dweck은
provided students 학생들에게 제공해 주었다.
who demonstrated 실제로 보여주는
주격 관계대명사인 who는 ‘-ㄴ’로 해석한다.
demonstrate은 ‘실제로 보여주다’의 뜻이다.
learned helplessness 경험을 통해 (자신들이) 학습에 무력하다는 것을
helpless 무력감은 ‘학습에 있어서의 무력감’을 말한다.
누가 무력한가 즉 무력한 주체인 자신들이(=학생들이)를 넣어서 해석한다.
learned는 ‘학습된’보다는 ‘과거의 경험들을 통해 학습에 있어서’ 무력하다는 의미이다
with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experiences. (학습에) 성공을 경험한 사례들과 성공하지 못한 경험을 한 사례들을
with는 앞에 나온 동사 provided와 연결되므로 ‘-을/를’로 해석한다.
experience는 ‘경험’보다는 ‘경험한 사례들’이 더 어울린다.
successful과 unsuccessful의 영역인 ‘학습에’를 넣어서 해석한다.
When the students were unsuccessful, 그 학생들이 (학습에) 성공을 거두지 못했을 때
the experimenter specifically stated 그 실험을 실시한 사람은 명확하게 말을 해 주었다
that - -라고
타동사 뒤의 that은 ‘-을/를, -라고, -라는 것을’ 등으로 해석한다.
the failure was caused 그 (학습에 있어서의) 실패는 일어났다(라고)
failure의 영역인 ‘학습에 있어서의’ 실패로 해석한다.
by lack of effort or ineffective strategies.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혹은 효과적이지 못한 (학습)전략들 때문에
by는 ‘-에 의해’보다는 ‘-때문에’가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Comparable students were given 비교해 볼 수 있는 학생들에게(도) 주었다.
comparable students는 ‘비교가능한 학생’으로 해석하면 어색하다. ‘비교해 볼 수 있는 학생들’로 해석한다.
similar experiences 비슷한 (성공을 거둔 그리고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경험을 한 사례들을
but no training. 그러나 어떠한 훈련도 시키지는 않았다
'수능영어해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6강 2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법 수능영어단어외우는 법 (0) | 2023.04.21 |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6강 1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21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5강 3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외우는 법 (0) | 2023.04.20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5강 3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영어단어 외우는법 (0) | 2023.04.19 |
[영어해석법 & 2024년 수능특강영어 25강 2번] 3단계영어학원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