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단어의 해석방법
intuitive : 직관적인 = 보자마자 알 수 있는
It may be well known to many readers, but I was surprised that something that I thought was highly intuitive, such as human resource management, could be described in terms of an elaborate theory.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20번)
해설본 : 그것은 많은 독자에게 잘 알려져 있을 수도 있지만, 내 생각에 인사 관리와 같은 매우 직관적인 것이 정교한 이론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It may be well known 그것은(=토너먼트모형이론은) 잘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may는 ‘-할 수도 있다’의 뜻이다
to many readers, 많은 독자들에게
but 그러나
I was surprised 나는 깜짝 놀랐다
that - -에
느낌, 감정 형용사 뒤에 오는 접속사 that은 ‘-에, -해서, -때문에’로 해석한다
something 어떤 것도
that I thought was highly intuitive, 내 생각에 아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것도)
명사 뒤의 관계대명사 that은 ‘-ㄴ’로 해석한다
I thought는 삽입어구이므로 ‘내 생각에’로 해석한다
intuitive를 사전의 의미인 ‘직관적인’으로 해석하면 내용파악이 어렵다 ‘직관적으로(=직감으로=보자마자) 알 수 있는’으로 해석한다
such as human resource management, 인사관리와 같은
could be described 설명할 수 있다는 (것에)
능동태 could describe로 바꾸어 해석한다
in terms of an elaborate theory. 정교한 하나의 이론의 관점에서
‘a(n) -’은 해석에서 빼면 안되고 ‘하나의 -’로 해석해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