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타동사유래명사의 해석방법
명사 : 목적어로 해석한다
타동사유래명사 : ‘타동사의미 + -것’으로 해석한다
(2024년대비 수능특강영어 test 2회 16번)
Gaining self‑knowledge through reflected self‑appraisals might seem to suggest that we have little say in how we see ourselves.
해설본 : ‘반영된 자기 평가’를 통해 자기 인식을 얻는 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발언권이 거의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Gaining self‑knowledge 자기자신을 아는 것은
self-knowledge는 self를 목적어로 해석한다
knowledge는 ‘지식’이 아니라 ‘아는 것’으로 원래 품사로 풀어서 해석한다
gaining knowledge는 ‘아는 것’으로 해석한다
through reflected self‑appraisals (다른 사람들이 하는 생각을) 반영해서 자기자신을 평가하는 것을 통해서
‘반영된 자기평가’라고 해석하면 무슨 의미인지 알기가 어렵다
생략된 reflected의 목적어를(다른 사람들이 하는 생각을) 넣어서 해석해야 한다
might seem to suggest 시사하는 말(=것)처럼 보일 지도 모른다
‘suggest -’는 ‘-를 시사한다’의 뜻이다
that - -라는 것을
we have little say 우리가 발언권을 거의 가지고 있지 못하다(라는 것을)
say는 명사로 ‘발언권’이란 의미이다
in how we see ourselves. 우리가 우리자신을 어떻게 보는가에 (있어서)
But the idea here is that we internalize how we think others appraise us, not necessarily how others actually see us.
해설본 : 하지만 여기에서 요점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평가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내면화하는 것이지, 반드시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실제로 어떻게 보는지를 내면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But 그러나
the idea here 여기서 요점은
the idea는 ‘요점’이란 뜻이다
is that - -라는 것이다
we internalize 우리는 내면화시킨다(라는 것이다)
how we think others appraise us, 우리가 생각하기에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평가하는 방식을
not necessarily 우리가 반드시 내면화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not 앞에 생략된 we internalize를 넣어서 해석한다
how others actually see us.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우리를 어떻게 보고 있는 지를
In fact, our reflected self‑appraisals often do not correlate highly with the appraisals that others actually make of us.
해설본 : 사실, 우리의 반영된 자기 평가는 흔히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우리에 대해서 하는 평가와 크게 연관성이 없다.
In fact, 사실(은), 실제로
our reflected self‑appraisals (다른 사람들이 하는 생각을) 반영해서 우리가 우리자신을 평가하는 것은
생략된 reflected의 목적어를(다른 사람들이 하는 생각을) 넣어서 해석해야 한다
often do not correlate highly 흔히 상관관계가 아주 없다
with the appraisals 평가하는 것들과는
appraisals는 ‘평가’가 아니라 ‘평가하는 것들’로 해석한다
that others actually make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make appraisals(평가를 하다)에서 make는 ‘하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명사 뒤의 that은 ‘-ㄴ’로 해석한다
of us. 우리들에 관해서
‘of -’는 ‘-에 관해서’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