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문장 속에 부분적 & 구체적 의미의 명사를 주는 유형>
전체적 & 추상적 의미의 단어가 있는 문장이 바로 앞문장이 된다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24년대비 수능완성영어 15강 1번)
A 50 per cent reduction of salt in bread might have quit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amount of salt in our diet because bread is a staple.
빵에 든 소금을 50퍼센트 감소시키는 것은, 빵이 주식이기 때문에 우리 식단의(우리 식단에 들어가는) 소금 함량에 아주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영향을 끼칠 지도 모른다).
‘reduction of -’는 ‘-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한다
substantial : 상당히 많은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 : -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끼치다
salt in our diet는 ‘우리 식단의’가 아니라 ‘우리들의 식단에 들어가는 소금’으로 해석한다
a staple : 주식
Box 문장의 reduction of -는 보기④와 보기⑤ 사이의 문장에 있는 attempts to reduce -와 같은데 Box 문장의 salt in bread에서 bread가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보기④와 보기⑤ 사이의 문장에 있는 low-salt versions of products의 products가 전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전체 & 부분 관계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In our evolutionary history, innate and learned responses to food properties were an adaptive response to real or potential energy requirements.
우리의 진화 역사에서, 음식의 속성에(음식이 가진 속성에) 대한 선천적이며 학습된 반응은(선천적으로 보이는 반응과 학습을 통해서 보이는 반응들은) 실제이거나(실제로 에너지들을 필요로 하는 것들에 대한 혹은) 잠재적인 에너지 요구량에(잠재적으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들에) 적응하는(적응하기 위한) 반응이었다.
innate and learned responses to -는 선천적이며 학습된 반응‘이 아니라 능동으로 바꾸어 ‘-에 선천적으로 보이는 반응과 학습을 통해서 보이는 반응들로 해석한다
real 뒤에 생략된 energy requirements를 넣어서 해석한다
( ① ) These energy needs are still real, although reduced by our sedentary lifestyle, but what has changed is that sufficient energy is now always available.
이러한 에너지 요구량은(이러한 에너지들을 필요로 하는 것은)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우리의 생활 양식에 의해 줄어들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실재하지만, 변한 것은 현재는 그 충분한 에너지를 언제나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needs = requirements (필요로 하는 것은)
available : ‘이용할 수 있는’이 아니라 ‘구할 수 있는’으로 해석한다
These energy needs는 바로 앞문장의 energy requirement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 ② ) The same is true of other nutrients that the body values, such as salt.
같은 상황이 소금처럼 신체가 가치 있게 여기는 다른 영양소에도 해당된다.
The same is true는 ‘-도 마찬가지이다’로 해석한다
is true 뒤의 of는 ‘-에 관해서’의 뜻이다
other nutrients 앞에는 nutrients와 동의어인 energy가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 ③ ) At the same time, our diets are still driven by the same pleasure-seeking processes that have always operated and we tend to resist reductions in those food ingredients that contribute to sensory pleasure.
동시에, 우리의 식습관은(식단들은) 항상 작동해 온 동일한 즐거움 추구 과정에 의해(똑같이 즐거움을 추구하는 과정들에 의해서) 여전히 좌우되며 우리는 감각적인 즐거움에(감각을 통해 얻는 즐거움에) 이바지하는 그러한 음식 재료의 감소에(음식 성분들이 감소하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be driven by - : -에 좌우되다
reductions 뒤의 in은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ingredients는 ‘재료들’보다는 ’성분들‘로 해석한다
those food ingredients는 바로 앞문장의 other nutrients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 ④ ) For instance, attempts to reduce our physiologically excessive salt intake by using low-salt versions of products typically fail due to their lack of flavour impact.
예를 들어, 저염 버전의 제품을(제품들을)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생리학적으로 과도한 소금 섭취를 줄이려는 시도는(여러 가지 시도들은) 그것들이(그것들에게) 맛의 효과가 부족해서 대개 실패한다.
‘명사A의 소유격 lack of 명사B'는 '명사A에게 명사B가 부족한 것’으로 해석한다
For example 바로 앞문장의 ‘reductions in those food ingredients’가 전체적인 & 추상적인 내용에 해당하고 For example 뒤의 ‘reduce our physiologically excessive salt intake’가 부분적 & 구체적인 내용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food ingredients와 salt)
( ⑤ ) But this will mainly be due to a dramatically reduced intake of a product that now tastes like cardboard. ✽sedentary: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그러나 이것은 이제는 판지 같은 맛이 나는 제품의 급격히 줄어든 섭취에 주로 기인할 것이다(때문일 것이다).
this는 Box문장의 내용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