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3년 9월 고1 영어모의고사 21번] 수능영어해석법 3단계영어학원 영어공부혼자하기 고1고2고3영어모의고사풀이 영어단어어원공부 부산양정동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3년 9월 고1 영어모의고사 21번] 수능영어해석법 3단계영어학원 영어공부혼자하기 고1고2고3영어모의고사풀이 영어단어어원공부 부산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9. 8.

<바로 앞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밑줄 친 fall silently in the woods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20239월 고1 영어모의고사 21)

 

Most people have no doubt heard this question: If a tree falls in the forest and there is no one there to hear it fall, does it make a sound?

 

대부분의 사람들은 틀림없이 이 질문을(다음과 같은 질문을) 들어 봤을 것이다(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만약 숲에서 나무가(나무 하나가) 쓰러지고 그것이(그 나무가) 쓰러지는 것을 들을 사람이 거기에 없다면, ( 그 나무는) 소리가 나는 것일까(소리를 낸 것일까)?

 

have heard는 지각동사의 현재완료시제이므로 경험용법 즉 ‘-를 들은 적이 있다로 해석한다

this question에서 this다음과 같은의 뜻이다

‘ ; ’', 말하자면의 뜻이다

it fall에서 itthe tree를 지칭한다

hear은 지각동사이므로 뒤에 오는 동사는 동사원형’ fall이다

it make에서 itthe tree이다

make a sound소리가 나다보다는 소리를 만들어 내다, 소리를 내다로 해석한다

 

The correct answer is no.

 

() 정답은 아니요이다.

 

The correct answerThe가 붙어 있으므로 정답이 아니라 그 정답은으로 해석한다

 

지시어 The가 있어서 바로 앞문장에 대한 정답으로 바로 앞문장과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Sound is more than pressure waves, and indeed there can be no sound without a hearer.

 

소리는 압력파 이상이며(이상의 것이며), 정말로 듣는 사람 없이는 소리가 있을 수 없다.

 

pressure waves : 압력파(=소리)

more than에서 more는 명사로 사용되었기에 ‘-이상의 것으로 해석한다.

can be‘-(있을) 수 있다, -가 될 수 있다의 뜻이다

 

바로 앞문장의 정답은 노이다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문장으로 이어지는 문장이다.

 

And similarly, scientific communication is a two way process.

 

마찬가지로, 과학적 커뮤니케이션은(과학과 관련된 의사소통은) 양방향 프로세스(과정)이다.

 

scientific communication과학적 커뮤니케이션보다는 과학과 관련된 의사소통으로 해석한다

 

Just as a signal of any kind is useless unless it is perceived, a published scientific paper (signal) is useless unless it is both received and understood by its intended audience.

 

어떠한 종류의 신호든 그것이 감지되지 않으면(그 신호를 사람들이 감지하지 않으면) 쓸모가 없는 것처럼(것과 마찬가지로), 출판된 과학 논문(신호)그것이(그 논문이) 의도된 독자에 의해(대상으로 의도한 독자에 의해) 수신 그리고이해가 둘 다 되지 않으면 쓸모가 없다.

 

just as --처럼혹은 ‘-와 마찬가지로로 해석한다

it is perceived에서 ita signal를 지칭하고 능동으로 바꾸어 사람들이 그 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면으로 해석한다.

paper : '종이가 아닌 논문

publishe와 뒤의 명사 scientific paper는 수동관계이므로 published로 과거분사형태가 되어야 한다

intend와 뒤의 명사 audience도 수동관계이므로 intended로 과거분사형태이다

 

바로 앞문장의 scientific communicationa two way process의 구체적 내용에 해당하는 단어가 각각 scientific paperboth received and understood by audience가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us we can restate the axiom of science as follows: A scientific experiment is not complete until the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nd understood.

 

따라서 우리는 과학의 자명한 이치를(기본원리를) 다음과 같이 재진술할 수 있다. 과학 실험은 결과가(그 결과물들이) 출판되고 그리고 이해될때까지(독자들이 그 결과물들을 이해할 때까지는) 완성되지 않는다(완성된 것이 아니다).

 

restate : 재진술하다

axiom : 기본원리, 공리, 자명한 이치

‘ ; ’', 말하자면의 뜻이다

results는 복수 s가 붙어 있으므로 결과가 아니라 결과물들로 해석한다

andunderstood 사이에 생략된 The results have been understood로 해석한다. 능동으로 바꾸어 해석하면 독자들이 그 결과물들을 이해하다로 해석한다

주어인 the resultspublish, understand는 수동관계이므로 수동태 문장이어야 한다

 

바로 앞문장과 Thus(원인&결과 : 순접관계)로 이어짐을 알 수 있다

 

Publication is no more than pressure waves unless the published paper is understood.

 

출판된 논문이 이해되지 않으면(출판된 논문을 독자가 이해하지 못하면) 출판은(과학 논문을 출판하는 것은) 압력파에(소리에 = 단순한 소리(외침)) 지나지 않는다.

 

Publication타동사유래명사이므로 생략된 목적어인 과학 논문을을 넣어서 해석한다

no more than = only

pressure waves소리를 일으키는 충격파이므로 ‘(단순한) 소리=외침으로 해석한다

understand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인 is understood가 되어야 한다

 

Too many scientific papers fall silently in the woods. * axiom: 자명한 이치

 

너무 많은 과학 논문()소리 없이 숲속에서 쓰러진다.

 

<바로 앞문장과 정답인 보기와의 동의어관계>

publication = are published

no more than = yet

unless - is understood = don't understand

 

fail to include the previous study

end up being considered completely false

become useless because they are not published

focus on communication to meet public demands

are published yet readers don’t understand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