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영어단어외우는법 : 2023년 3월 고1 영어모의고사 30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영어단어외우는법 : 2023년 3월 고1 영어모의고사 30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3. 27.

<1 어휘 유형>

바로 뒷 문장과의 순접, 역접 관계를 봐야 하는 유형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20233월 고1 30)

 

The major philosophical shift in the idea of selling came when industrial societies became more affluent, more competitive, and more geographically spread out during the 1940s and 1950s.

 

해설본 : 산업 사회가 1940년대와 1950년대 동안 더 부유하고, 더 경쟁적이고, 더 지리적으로 퍼져 나가게 되면서 판매 개념에 주요한 철학적 변화가 일어났다.

 

수정본 : 주요한 철학적 변화가 / (상품을) 파는 것에 대한 생각에 있어서 / 일어났다. / 그때 / 산업사회들이 더 부유하고, 더 경쟁이 치열하고, 더 지리상 널리 퍼져 나가는 사회가 되었다

 

1, selling판매보다는 생략된 목적어를 넣어서 상품을 파는 것으로 해석한다

2. 문장 중간에 오는 when앞부분에 나온 동사의미 + 그 때라고 해석한다.

3. affluent 부유한

4. 주격보어인 affluent, competitive, spread 뒤에 주어인 society를 넣어서 해석한다

5. spread는 과거분사로 쓰였다

 

This forced business to develop closer relations with buyers and clients, which in turn made business realize that it was not enough to produce a quality product at a reasonable price.

 

해설본 : 이로 인해 기업은 구매자 및 고객과 더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켜야 했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기업이 합리적인 가격에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했다.

 

수정본 : 이 때문에 기업은 발전시켜 나가야만 했다 / 더 친밀한 관계를 / 구매자들 그리고 고객들과 / 그리고 그 때문에 / 결과적으로 / 기업들은 깨닫게 되었다 / -사실을 / 충분하지 않다는 / 생산하는 것(만으로)/ 질이 좋은 상품을 / 합리적인 가격에

 

1. This는 앞 문장을 지칭하고 사물주어이기에 ‘-때무에. -로 인해서로 해석한다.

2. ‘force + 목적어A + to 동사원형목적어A-할 수 밖에 없다, 어쩔수 없이 -하다로 해석한다.

3. which는 앞 부분 전체가 선행사이다 (, 절이 선행사이면 which)

4. realize 동사원형인 이유는 앞에 사역동사 made가 있다.

5. it was not enough to produce는 가주어, 진주어 구문이다.

6. reasonable price합리적인 가격

 

In fact, it was equally essential to deliver products that customers actually wanted.

 

해설본 : 사실, 고객이 실제로 원하는 제품을 내놓는 것이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했다.

 

수정본 : 사실 / 똑같이 중요했다 / 제품을 전달하는 것이 / 고객들이 실제로 원했던

 

1. it -도 가주어, 진주어 구문이다.

2,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3. equally 때문에 바로 앞 문장(고객과의 친밀한 관계)과 순접인 내용이 와야 하기에 ‘essential'이 문맥에 맞다.

 

Henry Ford produced his best-selling T-model Ford in one color only (black) in 1908, but in modern societies this was no longer possible.

 

해설본 : 1908년에 Henry Ford는 자신의 가장 많이 팔렸던 T-모델 Ford를 단 하나의 색상(검은색)으로만 생산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았다.

 

수정본 : Henry Ford는 생산했다 / 자신의 가장 잘 팔리는 T모델 Ford자동차를 / 한 가지 색깔(검정색)/ 1908년에 / 그러나 / 현대사회에서는 / 이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았다

 

1. this 가 지칭하는 바는? : 한 가지 색깔로 되어 있는 것을 지칭한다

2. but 앞 부분의 1908(한 가지 색깔이 가능)과 뒷부분의 현대가 반대이므로 불가능하다가 되어야 한다 no longer possible이 문맥에 맞다

 

The modernization of society led to a marketing revolution that strengthened the view that production would create its own demand.

 

해설본 : 사회의 현대화는 생산이 그 자체의 수요를 창출할 것이라는 견해를 강화하는(파괴하는) 마케팅 혁명으로 이어졌다.

 

수정본 : 사회가 현대화되었기 때문에 / 마켓팅 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다 / 강화시켜 주는 / 견해를 / 생산하기만 하면 생산이 창출할 거다라는 / 생산이 그 자체의 수요를

 

1. 주어인 The modernization of society가 사물주어이기에 ‘- 때문에, -로 인해서로 해석한다.

2. 두 개의 that 모두 관계대명사이다.

3. ‘production would -’는 사물주어이기에 생산하기만 하면 그것이(생산이)’로 해석한다.

4. 바로 뒷 문장이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시킨다이므로 생산하기만 하면 수요가 창출된다라는 견해와는 반대 내용이 되어야 하기에 strenthened는 문맥상 안 맞다

 

Customers, and the desire to meet their diverse and often complex needs, became the focus of business.

* affluent: 부유한

 

해설본 : 고객과 그들의 다양하고 흔히 복잡한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욕망이 기업의 초점이 되었다.

 

수정본 : 고객들과 / 그리고 / 충족시켜 주고자 하는 욕망이 / 그 고객들의 다양하고도 종종 복잡한 욕구들을 / 되었다 / 기업이 초점을 맞추는 대상이

 

1. meet은 충족시키다

2. A became B에서는 A, 가 같아야 한다

3.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 = 기업이 초점을 맞추는 대상이므로 meet가 문맥상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