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 + 명사’의 해석방법
형용사 : 술어로 해석한다.
명사 : ‘명사의미 +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It could be argued that the 'processual' nature of personhood means that one becomes a person as one 'goes along' in society.
(2024년 수능특강영어 15강 3번)
해설본 : 사람다움의 '과정적' 본질은 우리가 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한 사람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It could be argued that - -라고 주장할 수는 있다.
It can be argued that - rk 아니므로 ‘주장할 수 있다’라고 해석하면 안된다.
It could be argued이므로 ‘주장할 수는 있다’로 해석한다(주장의 근거가 약할 때 사용한다).
the 'processual' nature of personhood means 사람답게 되는 것의 본질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라는 말은 의미한다 라고
nature는 ‘특성, 특징’이 아니라 ‘본질’이란 의미이다.
processual은 형용사로 술어로 해석한다. 과정을 거친다 =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nature of personhood는 ‘사람답게 되는 것의 본질은’으로 주어로 해석한다.
personhood는 ‘사람다움’도 좋지만 ‘사람답게 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된다.
that - -라는 것을(=말을)
타동사 뒤의 that은 ‘-을/를 혹은 -라고’로 해석한다.
one becomes a person 어떤 사람이 사람다운 사람이 된다
one은 ‘어떤 (한) 사람’이란 의미이다.
a person은 ‘사람다운 사람’이라고 해석한다. 이 문장에서는
as one 'goes along' 그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지내면서
one은 앞의 one을 지칭하므로 ‘그 (어떤) 사람이’로 해석한다.
goes along은 ‘살아가다’도 좋지만 ‘지내다’가 조금 더 나은 해석이 아닐까요
along은 원래 의미대로 ‘함께'를 넣어서 해석해 줘야 한다.
along의 목적어인 ‘다른 사람들’을 넣어서 해석한다.
as는 ‘-하면서’로 해석한다.
in society. 사회 속에서
'수능영어해석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법 : 3단계영어학원] '전치사 of'의 해석방법 (0) | 2023.03.11 |
---|---|
[영어해석법 & 수능특강영어해석 : 3단계영어학원] 2024년 수능특강영어 15강 4번 (0) | 2023.03.11 |
[영어해석법 & 수능특강영어해석 : '조동사 will과 would의 의미차이'] (0) | 2023.03.10 |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 : 3단계영어학원] '형용사 + 명사'의 해석 (0) | 2023.03.10 |
[영어해석법 & 수능영어해석 : 3단계영어학원] 'of'의 해석방법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