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한 문장 고르기 유형>
보기① : ‘지시어this + 명사’를 주는 유형
보기② : 앞 문장의 추상적 내용과 이어지는 구체적인 내용
보기③ : ‘지시어this + 명사’를 주는 유형
보기⑤ : 원인&결과를 나타내는 And so를 주는 유형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은?
(2022년 11월 고2 영어모의고사 35번 무관한 문장 고르기 유형) 정답 ④
Of all the human emotions, none is trickier or more elusive than envy.
해설본 : 인간의 모든 감정 중에서 질투보다 더 까다롭거나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없다.
수정본 : 그 모든 인간의 감정들 중에서 / 어떤 감정도 더 까다로운 감정 혹은 더 이해하기 어려운 감정은 없다 / 질투심보다
of + 복수명사에서 of는 ‘-중에서’의 뜻이다.
‘none’은 no + 앞에 나온 명사 emotion으로 풀어서 ‘어떤 감정도 -않다’로 해석한다.
tricky : 까다로운
elusive : 이해하기 어려운
trickier과 elusive 뒤에 생략된 emotion을 넣어서 해석한다.
It is very difficult to actually discern the envy that motivates people's actions.
해설본 : 사람들의 행동을 자극하는 질투를 실제로 알아차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수정본 : 아주 어려운 일이다 / 실제로 알아차리는 것은 / 질투심을 / 자극을 주는 / 사람들이 하는 여러 행동들에
① The reason for this elusiveness is simple: we almost never directly express the envy we are feeling.
해설본 : 이러한 모호함의 이유는 간단한데, 우리는 우리가 느끼고 있는 질투를 대부분 절대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수정본 : 이유는 / 이런 (질투심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에 대한 / 간단하다 / 말하자면 / 우리는 거의 결코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 질투심을 / 우리가 느끼고 있는
이 문장의 this elusiveness가 앞 문장의 more elusive를 지칭하고 있으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e reason에서 The는 ‘그’라고 해석하지 않는다. 뒤의 전치사구의 수식을 받을 때에는.
for this elusiveness에서 this elusiveness는 앞 문장의 ‘질투심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을 말하고 for는 ’-에 대한‘으로 해석한다.
' ; '는 ‘즉, 말하자면’의 뜻이다.
전체 주어가 reason(이유)이므로 ‘표현하지 않는다’보다는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로 해석한다.
② Envy entails the admission to ourselves that we are inferior to another person in something we value.
해설본 : 질투는 우리가 가치 있게 여기는 무언가에서 우리가 또 다른 사람보다 열등하다는 스스로에 대한 인정을 수반한다.
수정본 : 질투심은 수반한다 / 인정하는 것을 / 우리 자신들에게 / 우리가 열등하다는 사실을 / 또 다른 어떤 사람보다 / 어떤 것에서 /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는
바로 앞 문장에서 '우리는 질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마음 속에 있다)‘라고 표현 한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문장이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entail - : -를 수반하다
the admission to ourselves that -는 ‘스스로에 대한 인정’보다는 admission은 ‘인정’이 아니라 풀어서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that을 목적어로 해석한다. to ourselves에서 to는 ‘-에 대한’이 아니라 ‘-에게’의 뜻이다.
inferior 뒤의 to는 ‘-보다’의 뜻이다.
③ Not only is it painful to admit this inferiority, but it is even worse for others to see that we are feeling this.
해설본 : 이 열등감을 인정하는 것은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이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알게 되는 것은 훨씬 더 나쁘다.
수정본 : 고통스러운 일이다 / 이러한 열등감을 인정하는 것은 / 뿐만아니라 훨씬 더 나쁜 일이다 /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은 / 우리가 이것을(=이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Not only is it painful to admit -는 ‘부정부사(Not only + 동사 + 주어’의 도치구문이다.
it은 가주어이고 to admit이 진주어 구문이다.
‘Not only A but (also) B’는 Not loly는 해석하지 말고 ‘A이다 / 뿐만아니라 B'이다로 해석한다.
see 타동사 뒤의 that은 ‘-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feeling this에서 this는 this inferiority를 가리키고 있다.
이 문장의 this inferiority가 바로 앞 문장의 the admission to ourselves that we are inferior를 지칭하므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④ Envy can cause illness because people with envy can cast the "evil eye" on someone they envy, even unwittingly, or the envious person can become ill from the emotion.
해설본 : 질투는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질투하는 사람이 무의식적으로라도 그들이 시기하는 사람에게 ‘증오에 찬 눈초리’를 보낼 수 있거나 질투심이 강한 사람이 그 감정 때문에 건강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정본 : 질투심은 야기할 수 있다 / 질병을 / 왜냐하면 질투하는 사람들은 던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사악한 눈길을” / 자신들이 질투하는 어떤 사람에게 / 심지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 혹은 그 질투심에 사로잡힌 사람은 아프게 될 수도 있다 / 그 감정 때문에(=그 질투 감정 때문에)
people with envy는 ‘질투하는 사람들’ 혹은 ‘질투심을 가진 사람들’ 모두 좋은 해석이다.
they envy의 they는 주어와 같은 경우에는 ‘그들이’가 아니라 ‘자신들이’로 해석한다.
unwittingly :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from the emotion의 from은 ‘-때문에’라는 뜻이다.
⑤ And so almost as soon as we experience the initial feelings of envy, we are motivated to disguise it to ourselves — it is not envy we feel but unfairness at the distribution of goods or attention, resentment at this unfairness, even anger.
*elusive 이해하기 어려운
해설본 : 그래서 우리가 최초의 질투심을 경험하는 거의 즉시, 우리는 그것을 우리 자신에게 감추고자 하게 되는데, 즉 그것은 우리가 느끼는 질투가 아니라 재산의 분배나 관심에 대한 불공평함, 이 불공평함에 대한 분개, 심지어 분노이다.
수정본 : 그래서 / 거의 우리가 겪자마자 / 처음에 질투심이라는 감정들을 / 우리는 욕구를 느낀다 / 그 질투심을 숨기고 싶은 / 우리지신들에게 - 즉 우리가 느끼는 것은 질투심이 아니라 불공평함이다라고 / 분배할 때 느끼는 / 재화나 관심을 / 즉 분노이다 라고 / 이런 불공평함이 일어날 대 느끼는 / 심지어 화를 내는 것이다(라고)
and so는 앞과 뒤 문장이 원인&결과의 순접관계이다. 보기③의 painful, even worserk 원인이 되고 are motivated to disguise it이 결과에 해당함으로 보기③과 보기⑤ 문장이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으므로 보기④가 관계없는 문장이 된다.
as soon as - : -하자마자
the initial feelings of envy는 ‘최초의 질투심’보다는 ‘처음에 질투심이란 감정들을’로 해석한다.
we are motivated to 동사원형은 ‘-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다’의 뜻이다.
disguise ot에서 it은 envy를 가리킨다.
at the distribution of -에서 at 은 ‘-에 대한’이 아니라 ‘when'의 뜻이다.
at this unfairness는 ‘이 불공평함에 대한 분개’가 아니라 ‘이런 불공평한 일이 일어날 때 느끼는’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