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명사(e)s> 의 해석하는 방법
1. =제품들
2. -요소들
3. -사항들
There is no denying that engaging in argument carries certain significant risks.
(2023년 3월 고3 영어모의고사 20번)
해설본 : 논쟁을 하는 것은 어떤 중대한 위험을 수반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There is no denying 부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부인할 수 없다)
There is no -ing :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수 없다
that - -것을, -라는 사실을
타동사유래동명사 뒤의 that은 ‘-라는 사실을, -라는 것을’로 해석한다.
engaging in argument 논쟁에 참여하는 것은
engage in -는 ‘-하는 것’이 아니라 ‘-에 참여하다’의 뜻이다.
argument : 논쟁, 주장
carries 수반한다(=따른다)
'A carry B'는 'A는 B를 수반한다‘보다는 ‘A에는 수반된다(=따른다) B가’로 해석한다.
certain significant risks. 상당히 많은 여러 가지 어떤 위험요소들을
certain : 어떤
significant는 ‘중요한’보다는 ‘상당히 많은’으로 해석한다.
risks는 ‘추상명사(e)s'이므로 ’-요소들‘ 즉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로 해석한다.
<생략된 부분>을 넣어서 해석하는 방법
타동사 뒤의 생략된 목적어을 넣어서 해석하는 방법
자동사 뒤의 생략된 대상을 넣어서 해석하는 방법
<소유격 + 명사>를 해석하는 방법
소유격을 ‘-가 가지고 있는 + 명사’로 해석한다
When we argue, we exchange and examine reasons with a view toward believing what our best reasons say we should believe; sometimes we discover that our current reasons fall short, and that our beliefs are not well supported after all.
(2023년 3월 고3 영어모의고사 20번)
해설본 : 논쟁할 때 우리는 우리가 믿어야 한다고 우리의 최고의 논거가 말하는 것을 믿으려고 논거를 교환하고 검토하는데, 때로는 우리의 현재 논거가 부족하다는 것과 결국 우리의 믿음이 잘 뒷받침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When we argue, 우리가 (다른 사람과) 논쟁을 벌일 때에는
argue는 생략된 논쟁의 대상인 ‘다른 사람과’를 넣어서 해석한다.
we exchange and examine reasons 우리는 여러 논거들을 상대방과 교환을 한다 그리고 우리는 상대방과 여러 가지 논거들을 (맞는지) 검토를 한다.
exchange 뒤에 생략된 reasons를 넣어서 해석한다.
exchange의 대상인 ‘상대방과’를 넣어서 해석한다.
and와 examine 사이에 생략된 we를 넣어서 해석한다.
with a view 생각(=목적)을 가지고(서)
view는 ‘생각’ 혹은 ‘목적’의 뜻이다.
toward believing 믿는 방향 쪽으로 가려는
toward -는 ‘-쪽으로, -방향 쪽으로’의 뜻에 앞의 view를 수식하므로 ‘-ㄴ’를 붙여서 ‘믿는 방향 쪽으로 가려는’으로 해석한다.
what our best reasons say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고의 논거들이 말해 주는 것을
what은 앞의 believing의 목적어이므로 ‘-것을’로 해석한다.
our best reasons은 ‘우리의 최고의 논거가’가 아니라 our을 ‘-은/는/이/가 + -가지고 있는’으로 바꾸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고의 논거들이’로 해석한다.
we should believe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논거들을) 믿어야 한다라고
believe의 목적어인 our reasons를 넣어서 해석한다.
; sometimes 그러나 때때로
‘ : ’는 이 문장에서는 ‘그러나’의 뜻이다.
we discover 우리는 발견한다.
that - -라는 사실을
타동사 뒤의 that은 ‘-을/를, -라고, -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our current reasons fall short,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여러 논거들은 부족하다는 (사실을)
our은 ‘우리의’가 아니라 ‘우리가 가지고 있는’으로 해석한다.
current는 ‘현재의’ 뜻이지만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현재’ 즉 시간부사로 해석한다.
fall short : 짧게 떨어진다 = 부족하다
and 그리고
that - -라는 사실을 (우리는 발견한다)
that 앞에 생략된 we discover를 넣어서 해석한다.
our beliefs are not well supported 우리가 믿고 있는 믿음들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여러 논거들에 의해) 뒷받침을 잘 받고 있지 못하다(라는 사실을)
our beliefs는 ‘우리의 믿음이’가 아니라 ‘우리가 현재 믿고 있는 믿음들이’로 해석한다.
생략된 by our current reasons를 넣어서 해석한다.
after all. 결국(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