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hich -에서 ’ , ‘의 해석방법>
1. and
2. but
3, because
We are often told that there is no innovation without competition, which is absurd given that most of the greatest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resulted from the sharing of research across academic silos, national borders, and language barriers.
(2022년 수능특강영어 3강 1번)
해설본 : 우리는 경쟁 없이는 혁신이 없다는 말을 흔히 듣는데, 과학과 기술의 가장 위대한 혁신의 대부분이 (구분되는) 학문 영역, 국경, 언어 장벽을 넘어 연구를 공유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것은 터무니없는 말이다.
We are often told 우리는 자주 듣는다.
are told를 능동태로 바꾸어 ‘우리는 듣는다’로 해석한다.
that - -라는 말을
타동사 뒤의 that은 ‘-을/를’로 해석한다. 앞에 are told가 있으므로 ‘말’을 넣어서 해석한다.
there is no innovation 어떠한 혁신도 없다(라는 말을)
‘no + 명사’는 ‘어떤 -도 없다’로 해석한다.
without competition 경쟁이 없으면
, which is absurd 그러나 그 말은 터무니 없는 말이다
‘ , ’는 이 문장에서는 but의 의미이다.
‘be동사 + 형용사’는 주어를 형용사 뒤에 붙여 해석한다.
given that - -를 고려해 보면
‘given that -’는 ‘-가 주어지면’의 뜻인데 우리말에 맞게 바꿔 ‘-를 고려하면’으로 해석한다.
most of the greatest innovations 가장 위대한 혁신들 중에서 대부분의 혁신들은
most of -는 뒤의 명사를 most 뒤에 넣어서 해석한다.
of는 ‘-중에, -중에서’의 뜻이다.
i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과 과학기술 분야에서 일어난 혁신들 중에서
in은 최상급 표현 뒤에 있으므로 '-중에서'로 해석한다 앞의 명사 innovations를 넣어서 '과학과 과학기술 에서 일어난 혁신들 중에서'로 해석한다.
have resulted from - - 때문에 그 결과로 발생했다
A result from B는 B 때문에 A라는 결과가 발생하다‘로 해석한다.
the sharing of research 연구를 공유한 것( 때문에 발생했다)
of는 타동사유래명사 뒤에 있으므로 ‘-을/를’로 해석한다.
across academic silos, national borders, and language barriers. 학문 영역들, 국경들, 언어라는 장벽들을 넘어서서
across - 는 ‘-를 가로 질러 = -를 넘어서서’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