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영어 : 2025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영어 해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본문 바로가기
고3 영어 모의고사

수능영어 : 2025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영어 해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by 수능영어해석법 2025. 5. 16.

2025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문제 분석 및 해설 및 변형 문제

본 문서는 2025년 5월에 시행된 전국연합학력평가 고등학교 3학년 영어 영역 20번 문항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해당 문항은 AI 기술 발전과 관련된 사회적 논의의 주체에 대한 필자의 주장을 다루는 지문을 제시하고,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를 파악하는 유형입니다. 제공해주신 분석 내용을 토대로 지문 원문 분석, 구절별 번역, 문제 해설 및 선택지 분석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본 지문을 활용한 다양한 변형 문제들을 제시하여 실전 대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 문제 영어 지문 원문 구절별 분석 및 번역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I technology is powerful,

해석: AI 기술은 강력하고

해석스킬: 주어(AI technology)와 보어(powerful)를 연결하는 be동사의 기본 문장 구조입니다.

 

📌 and it is transformative,

해석: 그리고 세상을 변화시킵니다.

해석스킬: 앞선 절과 'and'로 연결된 절입니다. 'is transformative'는 '세상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로, 목적어 '세상을'을 자연스럽게 추가하여 해석할 수 있습니다. transformative는 '변형시키는, 변화시키는'이라는 형용사입니다.

 

🌱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해석: 하지만 최근 몇 년 간의 AI 열풍은

해석스킬: 'but'은 앞선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합니다. 'the AI hype of recent years'는 문장의 주어입니다. hype는 '열풍, 과대광고'라는 의미입니다.

 

📌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해석: 신격화된 복합증의(신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는 콤플렉스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해석스킬: 'contribute to ~'는 '~의 원인이 되다, ~에 기여하다'는 의미의 숙어입니다. a god complex는 '신처럼 여기는 콤플렉스, 신격화된 복합증'을 의미합니다.

 

🌱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해석: 과학기술 리더들을 자리잡게 만든

해석스킬: 앞선 명사(a god complex)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that절입니다. position은 여기서는 '~를 (어떤 위치에) 자리잡게 하다'는 의미의 동사로 쓰였습니다.

 

📌 as voices of authority

해석: 권위가 있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로

해석스킬: 'position A as B'는 'A를 B로서 자리잡게 하다'는 구조입니다. voices of authority는 직역하면 '권위의 목소리들'이지만, 문맥상 '권위 있는 발언을 하는 사람들'로 의역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on the societal problems

해석: 여러 사회 문제들에 대해

해석스킬: 'on ~'은 '~에 대해'라는 의미의 전치사입니다. 특히 전문적이거나 세부적인 주제에 대해 말할 때 쓰입니다. societal problems는 '사회 문제들'입니다.

 

📌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해석: 자기들이(=과학 전문가들이) 만들어 낸 것들이 자주 일으킨

해석스킬: the societal problem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which 또는 that)가 목적격으로 생략되었습니다. creations는 '창조물, 만들어낸 것'으로, 여기서는 기술 전문가들이 만든 AI 기술 등을 의미합니다.

 

🌱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해석: 과학자들과 혁신가들의 말을 듣는 것

해석스킬: 동명사구(Listening to ~)가 문장의 주어입니다. innovator는 '혁신가'라는 명사입니다.

 

📌 is important.

해석: 중요합니다.

해석스킬: 주어(Listening to ~)에 대한 보어(important)와 동사(is)입니다.

 

🌱 But those

해석: 하지만 사람들은

해석스킬: 'But'은 대조를 나타냅니다. those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해석: AI 열풍으로 이익을 얻고 있는 사람들은

해석스킬: those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who절입니다. 'profit from ~'은 '~로부터 이익을 얻다'는 의미입니다. hype는 다시 '열풍, 과대광고'의 의미로 쓰였습니다.

 

🌱 are not experts

해석: 전문가들이 아니다

해석스킬: 주어(those who ~)에 대한 동사(are)와 보어(experts)입니다.

 

📌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해

석: 그 작업을 (=AI결과물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해석스킬: 'on ~'은 '~에 대해'라는 의미의 전치사입니다. how 절(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은 on의 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입니다. 'should be judged'는 '판단되어야 한다'는 수동태 표현이며, 문맥상 AI 결과물을 '평가하다, 판단하다'는 능동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해석: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들도

해석스킬: 'Neither +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은 '~~도 또한 아니다'라는 부정 동의 구문입니다. distinguished는 '저명한, 뛰어난'이라는 형용사입니다.

 

📌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해석: 아무리 자신들의 분야에서 재능이 있든지 간에

해석스킬: 'no matter how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는 '아무리 ~하더라도'라는 양보의 부사절을 이끄는 복합관계부사 구문입니다. gifted는 '재능이 있는'이라는 형용사입니다.

 

🌱 automatically understand

해석: 자동으로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해석스킬: Neither 구문의 본동사 부분입니다. automatically는 '자동으로'라는 부사입니다.

 

📌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해석: 권력, 돈, 정치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시스템을

해석스킬: understand의 목적어(the complex systems)입니다. 'of + 명사들'은 앞선 명사(systems)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that will govern 해석: 지배를 하게 될 해석스킬: the complex system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that절입니다. govern은 '~를 지배하다, 규제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해석: 미래에 자신들이 만들어낸 제품들의 용도를

해석스킬: govern의 목적어(the use)와 부사구(in the future)입니다. use는 '사용, 용도'라는 명사이며, products는 기술 전문가들이 만든 AI 제품 등을 의미합니다.

 

🌱 In fact,

해석: 실제로,

해석스킬: 문장 처음에 와서 앞선 내용에 대한 사실이나 부연 설명을 시작하는 연결 부사입니다.

 

📌 those already living

해석: 이미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해석스킬: 주어(those)를 현재분사구(already living ~)가 수식합니다.

 

🌱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해석: AI에 기반을 두고 노동자를 감시하는 것의 최전선에서

해석스킬: 'at the frontline of ~'는 '~의 최전선에서'라는 의미입니다. AI-enabled는 'AI에 의해 가능해진' 즉 'AI 기반의'라는 의미의 복합 형용사입니다. surveillance는 '감시'라는 명사입니다.

 

📌 or trapped in a nightmare

해석: 혹은 악몽에 갇혀있는(=시달리고 있는)

해석스킬: living과 병렬 구조를 이루며 those를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입니다. 'trapped in ~'는 '~에 갇힌'이라는 의미이며, nightmare는 '악몽'이므로 '악몽에 시달리는'으로 자연스럽게 의역할 수 있습니다.

 

🌱 of AI decision­making,

해석: AI가 의사결정을 하는

해석스킬: a nightmare를 수식하는 'of + 명사' 형태입니다. AI decision-making은 'AI 의사결정'입니다.

 

📌 are far better qualified

해석: 훨씬 더 좋은 자격이 있다(=자격이 있는 사람들이다)

해석스킬: 주어(those ~)에 대한 동사(are)와 보어(qualified)입니다. 'qualified'는 '자격이 있는'이라는 형용사입니다. far는 비교급(better qualified)을 강조하는 부사로 '훨씬'으로 해석합니다.

 

🌱 for that.

해석: 그런 판단을 내리는 것에 대해.

해석스킬: 'for ~'는 '~에 대해, ~에 있어서'라는 의미의 전치사입니다. that은 앞선 내용, 즉 'AI 결과물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것(judging that work)'을 가리킵니다.

 

🌱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해석: 그래서 매우 중요하다(=중요한 일이다)

해석스킬: 'So'는 결과를 나타내는 연결 부사입니다. 'it is ~ important that ...'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구문으로, it은 가주어, that절은 진주어입니다. critically는 '매우, 비판적으로'라는 부사로 important를 수식합니다.

 

📌 for the future of AI

해석: AI의 미래를 위해

해석스킬: 'for ~'는 '~를 위해'라는 의미의 전치사구입니다.

 

🌱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해석: 훨씬 더 폭넓은 집단의 사람들이 참여하게 되는 것이

해석스킬: 진주어 that절입니다. a much wider group of people이 that절의 주어이며, 'become involved in ~'은 '~에 참여하게 되다'는 의미입니다. much는 비교급(wider)을 강조합니다.

 

📌 in shaping its future.

해석: AI의 미래를 형성하는 일에.

해석스킬: 'in + 동명사'는 '~하는 일에 있어서'라는 의미입니다. shaping은 '형성하는 것'이라는 동명사입니다. its는 AI를 가리킵니다.

 

🌱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해석: 계속 의존하는 대신에

해석스킬: 'Instead of + 동명사'는 '~하는 대신에'라는 의미입니다. 'turn to ~'는 '~에 의지하다, ~에 의존하다'는 의미의 숙어입니다. continually는 '계속해서'라는 부사입니다.

 

📌 to the architects of AI

해석: AI의 설계자들에게

해석스킬: turn to의 목적어입니다. architects는 '건축가, 설계자'로, 여기서는 AI 기술을 만든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이릅니다.

 

🌱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해석: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해석스킬: 'for ~'는 '~를 위해, ~을 얻기 위해'라는 의미입니다. predictions of the future는 '미래에 대한 예측'입니다.

 

📌 and solutions to its ills,

해석: 그리고 AI가 일으키는 여러가지 폐해들에 대한 해결책들을 얻기 위해

해석스킬: for에 이어지는 목적어입니다. solutions to ~는 '~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its는 AI를 가리키며, ills는 '폐해들, 문제점들'이라는 의미입니다. solutions 앞에도 for가 생략된 것으로 이해합니다.

 

🌱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해석: AI를 사회에 도입하는 데에는 필요하다

해석스킬: 문장의 주어(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와 동사(requires)입니다. introduction of ~ into society는 '~를 사회에 도입하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 a broader and more inclusive approach.

해석: 더 폭넓고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해석스킬: requires의 목적어입니다. broader와 more inclusive는 approach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며, 'broader'는 '더 넓은'이라는 비교급이고 'inclusive'는 '포괄적인, 포용하는'이라는 형용사입니다.

📝 문제 해설 및 핵심 파악

이 문제는 필자가 글에서 주장하는 바를 묻고 있습니다. 지문은 AI 기술의 강력함과 그로 인한 AI 전문가들의 과대평가된 권위에 대해 비판하며 시작합니다. 필자는 AI의 미래를 판단하고 만들어가는 데 있어 기술 전문가뿐만 아니라 AI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사람들, 즉 더 폭넓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문장("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shaping its future.")에서 필자의 핵심 주장이 명확하게 드러나며, 마지막 문장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의 주장은 AI의 미래 형성에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선택지 분석

  1. ① AI 개발로 인한 고용 시장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 지문에서 AI가 사회 문제(노동자 감시 등)를 일으킨다는 언급은 있지만, 고용 시장 변화에 대한 직접적인 주장이나 대비책 마련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2. ② AI 기술 개발에 있어 윤리적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 AI의 부정적 영향(일탈 행위 등)이 암시되지만, 기술 개발 자체의 윤리성 고려를 주장하는 것은 글의 핵심이 아닙니다.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통한 사회적 판단을 강조합니다.
  3. ③ 높은 접근성이 AI 기술의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한다. - AI의 접근성 용이성을 주장하는 내용은 지문에 없습니다.
  4. ④ 미래 사회문제 해결에 AI 전문가가 중대한 역할을 해야 한다. - 필자는 오히려 AI 전문가들만으로는 AI의 사회적 문제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며, 그들 외의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를 강조합니다. AI 전문가의 역할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이 '중대한 유일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글의 내용과 다릅니다.
  5. ⑤ AI의 미래를 만드는 데 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관여되어야 한다. - 지문의 핵심 문장("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과 마지막 문장에서 명확하게 드러나는 필자의 주장입니다. 'shaping its future'는 'AI의 미래를 만드는 데', 'a much wider group of people'은 '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 'become involved in'은 '관여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정확히 일치합니다. (정답)

 

 

📝 변형 문제

1. 주제 (Theme)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새로운 주제 유형 추가)

 

① The ethical challenges of AI development and deployment

② The need for broader societal input in governing AI

③ The potential for AI to solve complex global issues

④ The risks associated with over-reliance on technology leaders

⑤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rapidly advancing AI industry

 

정답: ②

해설: 지문은 AI 전문가의 한계를 지적하며 AI의 미래 결정과 사회적 영향 판단에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펼칩니다. 이는 AI 거버넌스에 더 폭넓은 사회적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②번 선택지와 일치합니다.

 

2. 제목 (Title)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Risks and Rewards of AI Hype

② Sports: A Mirror of Society's Values

③ The Importance of Inclusive Governance for AI's Future

④ Overcoming the God Complex in Technology

⑤ AI: Transforming Society for Better or Worse

 

정답: ③

해설: 지문 전체는 AI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술 전문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Inclusive Governance : 포용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핵심으로 다룹니다. "A Mirror of Society's Values"는 이러한 핵심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하는 제목입니다.

 

3. 어휘 (Vocabulary)

밑줄 친 부분의 문맥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① experienced    ② creative    ③ dedicated    ④ talented    ⑤ ethical

 

정답: ④

해설: 'gifted'는 '재능이 있는, 뛰어난'이라는 뜻입니다. 'talented'가 이와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3-2. 어휘 (Vocabulary)

(A), (B), (C), (D), (E)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A)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B)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C)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D) qualified for that.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broader and more (E) exclusive pproach.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정답: ⑤

해설: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필자는 AI를 사회에 도입하려면 '더 폭넓고 포괄적인(broader and more inclusive)'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exclusive'는 '배타적인, 독점적인'이라는 의미로, 문맥상 'inclusive'와 상반되는 뜻이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4. 어법 (Grammar)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①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②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In fact, those already ③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④ qualified for that.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⑤ shape its future.

 

정답: ⑤

해설: 'in'은 전치사이므로 뒤에는 명사 또는 동명사 형태가 와야 합니다. 'shape'는 동사원형이므로 동명사 'shaping'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① contributed: 현재완료 has contributed는 시제상 적절합니다. ② Neither: 'Neither do + 주어 + 동사원형'은 앞선 부정문에 대한 동의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③ living: 'those'를 수식하는 현재분사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올바릅니다. ④ qualified: 'those'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자격이 있는'의 의미이며, better qualified로 비교급 형태도 올바릅니다.

 

5. 빈칸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qualified for that.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__________ approach.

 

① technology-driven

② profit-oriented

③ narrowly-focused

④ politically-neutral

⑤ broader and more inclusive

 

정답: ⑤

해설: 마지막 문장에서 AI를 사회에 도입하는 데 필요한 접근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AI 전문가에게만 의존하는 대신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강조하므로 '더 폭넓고 포괄적인(broader and more inclusive)'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문맥상 가장 적절합니다.

 

5-2. 빈칸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__________ for that.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broader and more inclusive approach.

 

① compensated    ② influenced    ③ criticized    ④ qualified    ⑤ isolated

 

정답: ④

해설: 빈칸 앞 문장에서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들도 사회/정치 시스템을 자동으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언급한 후, 빈칸이 있는 문장에서 '실제로 AI의 영향을 직접 겪는 사람들이 그 일(AI 결과물 판단)에 대해 훨씬 더 __________' 하다고 말합니다. 문맥상 AI 결과물을 판단할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qualified'가 가장 적절합니다.

 

6. 글의 순서 (Order of paragraphs)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A)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qualified for that.

 

(B)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C)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broader and more inclusive approach.

 

① (A) - (B) - (C)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 ②

해설: 주어진 문장은 AI 열풍이 기술 리더들을 사회 문제 해결의 권위자로 자리매김하게 했다는 내용입니다. (B)는 이어서 과학자와 혁신가의 말을 듣는 것은 중요하지만, AI 과대광고로 이익을 얻는 사람들은 AI 결과물 평가 전문가가 아니며,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들도 사회/정치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설명하여 기술 전문가의 한계를 지적합니다. (A)는 'In fact'로 시작하여 기술 전문가보다 AI 영향을 직접 겪는 사람들이 AI 결과물 판단에 더 적합하다고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B)의 주장을 강화합니다. (C)는 'So'로 시작하며, 앞선 내용(기술 전문가의 한계와 사용자 경험자의 적합성)을 바탕으로 AI의 미래를 만드는 데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필자의 핵심 주장을 제시하고 마무리합니다.

 

7. 문장 삽입 (Sentence insertion)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qualified for that.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①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②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broader and more inclusive approach. 

 

정답: ①

해설: 주어진 문장은 'In fact'로 시작하며, 앞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이나 강력한 근거를 제시합니다. 앞 문장에서는 기술 전문가들이 AI 결과물 판단이나 사회 시스템 이해에 한계가 있다고 말합니다. 주어진 문장은 'AI 영향을 직접 겪는 사람들이 AI 결과물 판단에 더 자격이 있다'고 말하며, 이는 기술 전문가의 한계를 언급한 내용 뒤에 이어져야 자연스럽습니다. ①번 위치 뒤에 오는 문장은 필자의 최종 주장으로, 주어진 문장은 그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8. 무관한 문장 고르기 (Choose the irrelevant sentence)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AI technology is powerful, and it is transformative, but the AI hype of recent years has contributed to a god complex that positions technology leaders as voices of authority on the societal problems their creations have often caused. Listening to scientists and innovators is important. But those who are profiting from AI hype are not experts on how that work should be judged. ① Neither do distinguished computer scientists, no matter how gifted in their field, automatically understand the complex systems of power, money, and politics that will govern the use of their products in the future.  ② In fact, those already living at the frontline of AI-enabled worker surveillance, or trapped in a nightmare of AI decision-making, are far better qualified for that. ③ So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AI that a much wider group of people become involved in shaping its future.  ④ The rapid pace of AI development necessitates significant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⑤ Instead of continually turning to the architects of AI for predictions of the future and solutions to its ills, the introduction of AI into society requires a broader and more inclusive approach. 

 

정답:

해설: 글은 AI의 사회적 판단 주체에 대한 필자의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기술 전문가의 한계와 다양한 주체의 참여 필요성을 역설합니다. ④ 번 문장은 AI 연구 개발 투자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는 글의 핵심 주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9. 요약문 빈칸 완성 (Summary fill in the blank)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passage argues that AI's transformative power and the hype surrounding it have unfairly positioned technology leaders as the sole authorities on its societal impacts. Instead, it is crucial for a __________ group, including those directly affected by AI, to be __________ in shaping its future and addressing its problems, as they are better equipped to judge its implications.

 

① small - ignored

② diverse - involved

③ professional - praised

④ limited - consulted

⑤ critical - compensated

 

정답: ② 해설: 글은 AI 전문가에게만 의존하는 대신 AI의 영향을 직접 받는 사람들을 포함한 '다양한(diverse)' 집단이 AI의 미래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여해야 한다(involved)'고 주장합니다.

마무리

2025년 5월 고3 영어 모의고사 20번 문제는 AI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그에 대한 논의의 주체에 대한 필자의 주장을 파악하는 문항이었습니다. AI 전문가의 한계를 지적하고, AI의 영향을 직접 겪는 사람들을 포함한 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AI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글의 핵심이었습니다. 마지막 문단에서 필자의 주장이 명확하게 드러나므로,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제시된 변형 문제들을 통해 지문의 내용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