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3년 6월 고2영어모의고사 37번] 글의 순서 유형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3년 6월 고2영어모의고사 37번] 글의 순서 유형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 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6. 2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 (B), (C) 모두 글의 순서를 나타내는 5가지 중 하나씩 모두 주는 유형>

(20236월 고2영어모의고사 37)

 

Species that are found in only one area are called endemic species and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extinction.

 

종들을 / 발견되는 / 오로지 한 지역에서만 / 부르고 있다 / 토착종들이라고 / 그리고 그 종들은 특히 취약하다 / 멸종에

 

수동태 문장은 능동태로 바꾸어 해석하면 우리말에 더 잘 어울린다

명사 species 뒤의 that‘-로 해석한다

find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본동사 자리에 쓸 때는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주어가 species로 복수이므로 is가 아닌 are로 해야 한다

endemic고유의, 토착의뜻이다

andare 사이에 주어 species가 생략되어 있다

 

(A) But warmer air from global climate change caused these clouds to rise, depriving the forests of moisture, and the habitat for the golden toad and many other species dried up. The golden toad appears to be one of the first victims of climate change caused largely by global warming.

 

그러나 / 더 따뜻한 공기가 / 전 세계에 걸친 기후변화 때문에 생긴 / 만들었다 / 이 구름들이 상승하도록 / 그리고 빼앗아 갔다 / 그 열대우림에게서 수분을 / 그리고 그 금두꺼비와 다른 많은 종들을 위한 서식지가 완전히 말라 버렸다 / 그 금두꺼비는 인 것 같았다 / 기후변화의 첫 번째 희생자들 중의 하나(인 것 같았다) / 대개 지구 온난화가 일으킨

 

these clouds(C)의 끝부분에 나온 clouds를 지칭함으로 (C()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warmer air 뒤의 from‘-때문에의 뜻이고 앞의 air를 수식함으로 ‘-를 붙여 해석한다

cause + 명사A + to 동사원형’A-하게 만들다로 해석한다

콤마 뒤의 deprive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 the forests가 있으므로 현재분사 형태가 되어야 한다

‘deprive A of B'sms 'A에게서 B를 빼앗다, 빼앗아 가다의 뜻이다

dried up에서 up완전히, 철저하게의 의미이다

 

(B) They exist on islands and in other unique small areas, especially in tropical rain forests where most species are highly specialized. One example is the brilliantly colored golden toad once found only in a small area of lush rain forests in Costa Rica’s mountainous region.

 

그 종들은 존재하고 있다 / 섬들에 그리고 다른 독특한 작은 지역들에 / 특히 열대우림 지역에 / 대부분의 종들이 아주 특화되어 있는. 한 가지 예는 / 밝은 색깔의 금두꺼비이다 / 한 때 발견되었던 / 오로지 작은 지역에서만 / 무성한 열대우림의 / 코스타리카의 산악지역에 있는

 

TheyBox문장의 endemic species를 지칭하므로 Box문장과 이어지는 문장이다

명사 뒤의 관계부사는 위 문장에서는 where‘-로 해석한다

color(동사)가 뒤의 golden toad와 수동관계(색깔은 조물주로부터 부여받는 것이니까)이므로 과거분사 형태로 되어 있다

부사 once를 빼고 보면 명사 golden toad 뒤에 있고 find는 타동사인데 목적어가 뒤에 없으므로 과거분사 형태가 되어야 한다

 

(C) Despite living in the country’s well-protected Monteverde Cloud Forest Reserve, by 1989, the golden toad had apparently become extinct. Much of the moisture that supported its rain forest habitat came in the form of moisture-laden clouds blowing in from the Caribbean Sea. * lush: 무성한, 우거진

 

살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그 나라의(=코스타리카의) 보호를 잘 받고 있는 Monteverde Cloud Forest Reserve에서 / 1989년 경에 / 그 금두꺼비는 겉으로 보기에는 멸종되었다 / 수분 중에 많은 수분이 / 그 금두꺼비의 열대우림 서식지를 지탱해 준 / 왔다 / 수분을 실은(=머금은) 구름의 형태로 / 카리브해로부터 불어 들어오는

 

the country(B)의 마지막 부분에 나온 코스타리카를 지칭하므로 (B)와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despite은 전치사이므로 뒤에는 동명사 형태가 와야 한다

well-protected로 과거분사인 이유는 뒤의 Monteverde Cloud Forest Reserve와 수동관계이기 때문이다(이 지역은 코스타리카 나라로부터 보호받는 관계)

had become으로 과거완료시제인 이유? : 1989 경까지 즉 과거이전까지 쭈욱 멸종되어 왔기 때문이다

itsgolden toad를 지칭하고 있다

명사 moisture-laden clouds 뒤의 blow는 자동사이므로 현재분사 형태로 되어 있다

blowing in에서 in 뒤에 생략된 its rain forest habitat를 넣어서 해석한다

 

(A) - (C) - (B) (B) - (A) - (C)

(B) - (C) - (A) (C) - (A) - (B)

(C) - (B)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