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고2 40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본문 바로가기
수능영어유형풀이방법

[영어해석법 & 2023년 3월 고2 40번] 3단계영어학원 부산진구양정동영어학원

by 수능영어해석법 2023. 4. 3.

<요약문 빈칸 완성 유형>

마지막 문장과 끝에서 3번째 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233월 영어모의고사 고2 40)

 

A young child may be puzzled when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rections of right and left.

 

해설본 : 오른쪽과 왼쪽의 방향을 구분하라고 요구받으면 어린아이는 당황할 수 있다.

 

수정본 : 어린 아이는 당황할 수도 있다 / 구별을 해보라고 요청받으면 / 오른쪽 방향부분과 왼쪽 방향부분 사이를 (동물과 식물들은 좌우대칭으로 똑같기 때문에)

 

1. may‘-할 수도 있다의 의미이다.

2. be puzzled, (be) asked로 수동태인 이유는? : puzzle, ask 둘 다 타동사 + 뒤에 목적어가 없다

3. when‘-할 때보다는 ‘-하면if로 해석하면 더 잘 어울린다.

4. direction방향의 뜻이지만 ‘-방향부분이 더 어울리는 해석이다.

 

But that same child may have no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s of up and down or back and front.

 

해설본 : 하지만 그 아이는 위아래나 앞뒤의 방향을 알아내는 데에는 전혀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수정본 : 그러나 / 그 아이는 전혀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있다 / 알아 내는 데에 / 위쪽부분과 아랫부분 / 혹은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이 (어떻게 되어 있다고)

 

1. that same child는 첫문장의 a child를 지칭한다

2. ‘have difficulty -ing’ 형태에 유의하라

3. determine결정하다보다는 알아 내다가 어울리는 해석이다

 

Scientists propose that this occurs because,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 only two had a strong influence on our evolution: the vertical dimension as defined by gravity and, in mobile species, the front/back dimension as defined by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

 

해설본 : 과학자들은 이것이 발생하는 이유는, 비록 우리가 세 가지 차원을 경험하지만, 두 가지만이 우리의 진화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데, 그것들은 중력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적 차원과 이동하는 종의 감각과 먹이 섭취 메커니즘의 배치로 정의되는 앞/뒤 차원이다.

 

수정본 :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 -라고 / 이런 것은 일어난다(라고) / 왜냐하면 / 비록 우리가 경험하지만 / 3가지 차원을 / 오직 2가지 차원만이 강하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라고) / 우리가 진화하는 데에 : (말하자면) / 수직(위아래)차원 / 중력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서의 / 그리고 / 움직이는 종에 있어서는 / 앞부분 & 뒷부분 차원 / 배치된 것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서의 / 감각을 담당하는 (신체구조) 그리고 먹는 것을 담당하는 신체구조가

 

1. ‘propose that -’‘-을 제시(제안)하다이지 주장하다는 아니다

2. 타동사 뒤의 that‘-/를 혹은 -라고로 해석한다.

3. this는 앞문장 내용 전체를 지칭한다

4. three dimensions를 일반적인 경우처럼 ‘3차원으로 해석하지 말고 ‘3가지 차원, 3가지 부분으로 해석하는 게 더 낫다

5. ‘;’. 말하자면의 뜻이다

6. ‘positioning of -’‘-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을 배치한 것이 아니라

7.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에서 mechanism구조로 해석한다. 감각을 담당하는 신체구조와 먹는 것을 담당하는 신체구조로 해석한다.

 

These influence our perception of vertical versus horizontal, far versus close, and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below (such as a snake).

 

해설본 : 이것들은 수직 대 수평, 원거리 대 근거리에 대한 우리의 지각과 (독수리와 같은) 위로부터의 또는 (뱀과 같은) 아래로부터의 위험 탐색에 영향을 미친다.

 

수정본 : 이런 2가지 차원(부분)은 영향을 끼친다 / 우리가 인식하는 데에 / 수직으로 나누어 인식하느냐 수평으로 나누어 인식하느냐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하느냐 가까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느냐에 / 그리고 탐색하는 데에 (영향을 끼친다) /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을 / 위로부터(독수리와 같은) 혹은 아래로부터(뱀과 같은) 오는

 

1. our perception of -우리가 -를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2. the search for -‘-를 탐색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3. dangers'위험'이 아니라 여러가지 위험요소들로 해석한다.

 

However, the leftright axis is not as relevant in nature.

 

해설본 : 그러나 좌-우 축은 자연에서는 그만큼 중요하지 않다.

 

수정본 : 그러나 /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을 구별하는 축은 의미가 없다 / 자연에서는

 

1. However로 이어지는 이유는? : 앞문장의 수직, 수평, 가깝고 먼과 반대되는 좌우축이 나오므로 역접관계이다.2. relevant관련있는, 의미가 있는의 뜻이다.

 

A bear is equally dangerous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 but not if it is upside down.

 

해설본 : 곰은 그것의 왼쪽 편에서든 오른쪽 편에서든 똑같이 위험하지만, 거꾸로 뒤집혀 있다면 그렇지 않다.

 

수정본 : 곰은 똑같이 위험하다 / 왼쪽 측면으로 봐도 오른쪽 측면으로 봐도 / 그러나 / 위험하지 않다 / 곰이 위아래 부분이 거꾸로 되어 있으면

 

1.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왼쪽 측면으로 봐도 오른쪽 측면으로 봐도로 해석한다.

2. notif사이에 dangerous가 생략되어 있어 넣어서 해석한다.

3. upside down윗부분과 아랫부분이 거꾸로 된의 뜻이다. 곰의 상체와 하체가 거꾸로 뒤바뀐의 뜻이다.

 

In fact, when observing a scene containing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such as cars or street signs, we can only tell when left and right have been inverted if we observe those artificial items. * axis:

 

해설본 : 사실, 우리가 식물, 동물, 그리고 자동차나 도로 표지판과 같은 인간이 만든 물체가 포함된 장면을 관찰할 때, 만약 그 인공적인 물체들을 관찰한다면 좌우가 뒤바뀐 것을 겨우 구별할 수 있을 뿐이다.

 

수정본 : 사실 / 우리가 관찰할 때는 / 한 장면을 / 식물들, 동물들 그리고 사람이 만든 물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 자동차들 혹은 거리의 표지판같은 / 우리는 구별할 수 있다 / 왼쪽부분과 오른쪽 부분이 뒤바꿔져 있을 때에만 / 만약 우리가 관찰한다면 / 그러한 인공적인 물건들을 (동식물은 좌우가 뒤바꿔져 있어도 구별 못하고)

 

1. observed로 하면 틀린다 observe는 타동사 이고 뒤에 목적어가 있다.

2. contained로 하면 틀린다 contain은 타동사이고 뒤에 목적어가 있다.

4. tell구별하다의 뜻이다.

 

󰀻

Having affected the evolution of our ___(A)___ perception,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 are easily perceived, but the leftright axis, 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 doesn’t come instantly to us.

 

(A) (B)

spatial ··· significant

spatial ··· scarce

auditory ··· different

cultural ··· accessible

cultural ··· desirable

 

<마지막 문장과 요약문과의 동의어 관계>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 spatial

tell(구별하다) = perception

relevant(의미가 있는) in nature = significant(의미있는) i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