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o’의 해석방법
그 결과 -(으)로 되다
Research shows that greater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mproves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 decisions, but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better group performance.
(2024년 수능특강영어 16강 4번)
해설본 : 연구에 따르면, 의사 결정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은 그 결정에 대한 직원들의 만족도를 향상하지만, 반드시 더 나은 집단 성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Research shows that -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다.
‘연구가 -를 보여 준다’가 아니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다’라고 해석한다.
greater participation (하급자들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것은
참여의 주체인 ‘하급자들이’를 넣어서 해석한다.
participation은 ‘참여’가 아니라 ‘참여하는 것’으로 풀어서 해석한다.
in decision making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내리는 데에)
in은 ‘-하는 데에’로 해석한다.
improves employees' satisfaction 직원들의 만족감을 향상시켜 준다.
with the decisions, 그 의사결정들과 관련된
the는 ‘그’라고 해석을 해줘야 한다.
, but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그러나 당연히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not necessarily'는 부분부정구문으로 ’당연히 -아니다‘로 해석한다.
translate은 자동사로 쓰였기에 ‘해석하다’가 아닌 ‘해석되다’로 해석한다.
into better group performance. 집단이 거둘 성과가 더 좋아질 것이다는 것으로
into는 ‘그 결과 -(으)로 되다’의 의미이다.
better group performance는 ‘형용사 + 명사’구조이므로 ‘더 좋은 집단의 결과’가 아니라 ‘집단의 성과가 더 좋아질 것이다’로 해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