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뒷 문장에 ‘지시어 + 명사’를 주는 유형>
이 때 지시어 뒤의 명사가 바로 앞 문장의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혹은 ‘절’을 축약한 명사인 유형이다. 즉 바로 앞 문장의 ‘구’; 혹은 ‘절’이 지시어 뒤의 명사와 동의어가 되는 유형이다.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2023년 5월 고3 영어모의고사 38번 문장끼워넣기 유형) 정답 ②
Jacques Derrida argues that instead of one line between Man on the one side and Animal on the other, there is a multiple and heterogeneous border; beyond the edge of the “so-called human,” we find a heterogeneous plurality of the living.
해설본 : Jacques Derrida는 한쪽에 있는 ‘인간’과 다른 한쪽에 있는 ‘동물’ 사이의 하나의 선 대신에 복합적이고 이질적인 경계가 있다고 주장하는데, ‘소위 인간’의 가장자리 너머에서 우리는 살아 있는 것들의 이질적인 복수성을 발견한다.
수정본 : Jacques Derrida는 주장한다 / -라고 / (경계)선 하나 대신에 / 한쪽에 있는 인간 그리고 나머지 한쪽에 있는 동물 사이에 놓여진 / 다양하고 이질적인 경계선이 있다라고 / 즉 경계선 너머에서 / 소위 “인간”이란 / 우리는 발견한다 / 이질적이면서 다양한 생명체들이 있다는 사실을
one line between -는 ‘-사이에 놓여진 경계선’으로 해석한다. line을 ‘선’보다는 ‘경계선’으로 해석한다.
a border도 ‘경계선’을 의미한다.
the edge도 ‘경계선’을 다르게 표현한 단어이다.
a heterogeneous plurality of - 는 ‘이질적이고 다양한’으로 해석한다.
the living은 ‘살아 있는 것들’ 즉 ‘생명체들’이란 의미이다.
we find 뒤를 절로 풀어서 즉 we find that the living are heterogeneous and plural로 해석한다.
Language, and the word “animal,” deceives us.
해설본 : 언어, 그중에서도 ‘동물’이라는 단어는 우리를 속인다.
수정본 : 언어가 그리고 “동물”이라는 단어가 / 우리를 속이고 있다
and는 ‘그중에서도’ ‘그리고’ 둘 다 가능한 해석이다.
The word “animal” categorizes all non-human animals and distances humans from other animals.
해설본 : 동물’이라는 단어는 인간이 아닌 모든 동물을 분류하고 인간을 다른 동물로부터 떼어 놓는다.
수정본 : “동물”이라는 단어는 범주화시킨다 / 인간이 아닌 모든 동물들을 / 그리고 (동물이라는 단어는) 멀리 떼어 놓는다 / 인간들을 / 다른 동물들로부터
categorize - : -를 범주화시키다, -를 분류하다
distance(동사) - : -를 멀리 떼어 놓다
( ① ) Seeing all other animals as one group in contrast to humans reinforces anthropocentrism, which contributes to the legitimization of practices in which other animals are used for human benefit.
해설본 : 모든 다른 동물을 인간과 대조되는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것은 인간 중심주의를 강화하는데, 이는 다른 동물이 인간의 이득을 위해 이용되는 관행의 정당화에 기여한다.
수정본 : 다른 모든 동물들을 보는 것은 / 하나의 집단으로 / 인간들과 대비되는 / 강화시켜 준다 / 인간 중심주의를 / 그리고 그 인간 중심주의는 원인이 되고 있다 / 관행들을 정당화시키는 것의 / 다른 동물들을 사용하는 / 인간의 이익을 위해
see A as B : A를 B로 보다(여기다, 간주하다)
‘ , which'는 ’and 그 인간 중심주의는‘으로 해석한다.
A contribute to B는 ‘A가 B의 원인이 되다’로 해석하는 것이 ‘A가 B에 기여하다’보다 문맥에 어울리는 해석이다.
the legitimization는 ‘정당화’보다는 ‘정당화시키는 것’으로 해석한다.
in whuch는 ‘-ㄴ’로 해석한다.
other animals are used는 능동으로 바꾸어 ‘(인간들이) 다른 동물들을 사용한다’로 해석한다.
( ② ) To account for this multitude, using the word “animot” has been proposed.
해설본 : 이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 ‘animot’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것이 제안되어 왔다.
수정본 : 설명하기 위해 / 이러한 다양성을 / “animot"이라는 그 단어를 사용할 것을 (여러 학자들은) 제안해 왔다
'지시어 + 명사‘인 this multitude가 Box 문장의 a heterogeneous plurality of the living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Box 문장과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using the word “animot” has been proposed는 능동으로 바꾸고 propose의 주체인 ‘여러 학자들’을 넣어서 해석한다.
( ③ ) In speech it refers to the plural, the multiplicity of animals, which is necessary because there is no one “animal.”
해설본 : 언어에서 그것은 복수, 즉 동물의 다양성을 가리키는데, 이는 하나의 ‘동물’만 있지는 않기 때문에 필요하다.
수정본 : 말로 표현할 때는 / 그것은(animot이란 단어는) 나타낸다 / 복수 즉 다양성을 / 동물들의(동물들이 다양하다는 사실을) / 그리고 그 동물들의 복수 즉 다양성은 꼭 필요하다 / 왜냐하면 “하나의” 동물은 없기 때문에
it이 바로 앞 문장의 animot를 지칭하고 있기 때문에 보기③에는 어떤 문장도 들어갈 수 없다
In speech에서 in은 when으로 speech는 동사유래명사이므로 ‘말하는 것, 말로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해서 ‘말로 표현할 때’로 해석한다.
it은 animot란 단어를 가리키고 있다.
refer to - : -를 나타내다, 가리키다, 언급하다, 지칭하다
which의 선행사는 he plural, the multiplicity of animals이다
( ④ ) The “mot” in “animot” refers to the act of naming and the risks involved in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by the human.
해설본 : ‘animot’의 ‘mot’은 명명하는 행위와 인간에 의한 인간과 동물 사이의 구분을 짓는 데 수반되는 위험을 나타낸다.
수정본 : “animot"속에 들어 있는 ”mot"은 나타낸다 / 동물들에게 이름을 지어 주는 행동과 그리고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을 / 구분하는데 포함되는 / 인간과 동물 사이를 / 인간에 의해
바로 앞 문장의 존체를 의미하는 단어 animot 뒤에 부부을 나타내는 단어 mot가 있기 때문에 전체와 부분으로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the act of naming에서 name의 목적어인 ‘동물들에게’을 넣어서 해석한다.
the risks는 ‘위험’이 아니라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로 해석해야 한다.
draw a distinction between - : -사이를 구분하다
( ⑤ ) It reminds us of the fact that it is a word for animals, not a reference to an existing group of animals.
해설본 :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그것이 기존의 동물 집단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동물들을 위한 단어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수정본 : 그것은(animot이란 단어는) 상기시켜 준다 / 우리에게 / 사실을 / -라는 / animot이란 단어는 단어라는 / 동물들을 위한 / 나타내는 단어가 아니라 / 기존의 동물들 집단을
It은 animot이란 단어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바로 앞 문장과 이어지는 문장임을 알 수 있다.
of the fact that -에서 of는 '-을/를‘로 혹은 ’-에 대해서‘로 해석해도 좋다. that은 동격접속사로 ’-라는 (사실을)‘로 해석한다.
not a reference to -는 ‘-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혹은 ‘-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