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중간에 나오는 문장에 동의어를 주는 유형 + 나열 구문이 나오는 유형>
A and B. also C = 명사(e)s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22년 10월 고3 영어모의고사 32번 빈칸유형) 정답 ⑤
Ecological health depends on keeping the surface of the earth rich in humus and minerals so that it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healthy plant and animal life.
해설본 : 생태 건강은 지표면이 동식물의 건강한 삶을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것(지표면)을 부식토와 광물이 풍부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달려 있다.
수정본 : 생태계의 건강은 / 달려 있다 / 유지하는지 못하는 지에 / 지표면을 / 부식토와 광물질들이 풍부한 상태로 / 지표면이 제공해 줄 수 있도록 / 토대를 / 동식물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Ecological health는 ‘생태계 건강’도 해석이 괜찮지만 ‘생태계의 건강’으로 해석한다.
A depend on B는 ‘-인지 아닌 지’를 넣어서 ‘A는 B인지 아닌 지에 달려있다’로 해석한다.
rich in -에서 in은 ‘-은/는/이/가’로 해석한다.
so that it can provide에서 it은 ‘지표면’을 지칭하고 있고, ‘so that 주어 can(may) 동사원형’은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의 뜻이다.
for healthy plant and animal life에서 for는 ‘-할 수 있는’으로 해석해서 ‘동식물이 건강한 삶을 살아 갈 수 있는’으로 해석한다.
The situation is disrupted if the soil loses these raw materials or if _____________________.
해설본 : 토양이 이러한 원료를 잃거나 다량의 오염 물질이 그것(토양)에 유입되면 그 상황은 붕괴한다.
수정본 : 그 상황은(=생태계가 건강한 상황) 붕괴된다 / 만약 그 토양이 잃어 버리면 / 이런 원료들을 / 혹은 다량의 오염 물질들이 토양에 유입되면
The situation은 바로 앞 문장의 ‘생태계가 건강한 상황’을 가리킨다.
disrupt - : -을 붕괴시키다
these raw materials는 바로 앞 문장의 humus and minerals를 가리키고 있다.
When man goes beneath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drags out minerals or other compounds that did not evolve as part of this system, then problems follow.
해설본 : 인간이 지표면 아래로 가서, 이 시스템의 일부로 변하지 않은 광물이나 다른 화합물을 끄집어내면, 문제가 뒤따른다.
수정본 : 인간이 -아래로 내려가면 / 지표면 (아래로) / 그리고 밖으로 끄집어 내면 / 광물들을 혹은 다른 혼합물들을 / 정말로 발전하지 않는 / 이런 체계의(=생태계의) 일부로 / 그러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뒤따른다.
이 문장의 When은 if의 뜻으로 해석한다.
drag out - : -를 밖으로 끄집어 내다
did not evolve에서 did는 강조 조동사이므로 ‘정말(로)’를 넣어서 해석한다. evolve는 ‘발전하다’로 해석한다.
this system은 ‘생태계’를 말하고 있다.
The mining of lead and cadmium are examples of this.
해설본 : 납과 카드뮴의 채굴이 이것의 예이다.
수정본 : 채굴하는 것이 / 납과 카드뮴을 / 이것의 사례들이다.
‘The mining of -’는 ‘-의 채굴’이 아니라 ‘-를 채굴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this는 앞 문장의 ‘여러 가지 문제들이 뒤따르는 것’이란 의미이다.
Petroleum is also a substance that has been dug out of the bowels of the earth and introduced into the surface ecology by man.
해설본 : 석유 또한 인간에 의해 지구의 내부에서 채굴되어 지표 생태계에 유입된 물질이다.
수정본 : 석유도 또한 물질이다 / (인간이) 파내어 온 / 지구의 내부 밖으로 / 그래서 유입되어 온 / 지표면의 생태계 안으로 / 인간에 의해
바로 앞 문장의 lead and cadmium과 이 문장의 petroleum = contaminants
(has been) introduced = are introduced
into the surface = into it
that has been dug은 능동으로 바꾸어 ‘(인간이) 파내어 온’으로 해석한다
bowel : 내장, 내부
and와 introduced 사이에 생략된 that has been을 넣어서 해석한다
Though it is formed from plant matter, the highly reduced carbon compounds that result are often toxic to living protoplasm.
해설본 : 비록 그것(석유)이 식물로부터 형성되지만, 그로 인해 생기는 고도로 환원된 탄소 화합물은 살아 있는 원형질에 유독한 경우가 많다.
수정본 : 비록 그 석유는 형성되지만 /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로부터, 고도로 환원된 탄소혼합물들은 / 결과로 생기는 / 종종 독성을 띈다 / 살아있는 원형질(=생명체)에게는
it은 앞 문장의 petroleum을 가리킨다.
plant matter은 ‘식물’이 아니라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란 뜻이다.
that result에서 result는 동사로 쓰였고 ‘결과로 생기는’으로 해석한다.
living protoplasm는 ‘살아있는 원형질’로 해석하면 무슨 뜻인지 애매모호하다. ‘살아있는 생명체’로 해석한다.
In some cases this is true of even very tiny amounts, as in the case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 petroleum product which can cause cancer.
*humus 부식토, 부엽토 **protoplasm 원형질
해설본 :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석유 생성 물질인 ‘폴리염화 바이페닐’의 경우에서처럼, 몇몇 경우에는 심지어 매우 적은 양일 때도 이러하다.
수정본 : 몇몇 경우에는 / 이것은(=독성을 띄는 것은) 사실이다 / 심지어 아주 적은 양의 경우에도 / 경우에서처럼 / ‘폴리염화 바이페닐’의 / 즉 석유의 산물인 / 암을 일으킬 수 있는
this는 바로 앞 문장의 are toxic을 가리킨다.
this is true 뒤의 of는 ‘-의 경우에’로 해석한다.
① the number of plants on it increases too rapidly
② it stops providing enough nourishment for humans
③ climate change transforms its chemical components
④ alien species prevail and deplete resources around it
⑤ great quantities of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it